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정치

방언 터진 김문수 “박정희 땐 누가 죽진 않았잖아…광화문에 동상 세워야”

by 체커 2025. 4. 15.
반응형

다음

 

네이버

 

6·3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15일 “박정희 대통령 때는 (전두환·노태우 때처럼) 참사가 없었다. 총을 쏴서 누가 사망하고 이런 거 없었지 않았느냐”라며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에 반박정희·반이승만, 이런 것들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두고 보수층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되지만, 박정희 정권이 자행한 무자비한 국가폭력에 눈 감고 민주화 운동마저 부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것이다. 김 전 장관은 “박정희·이승만 대통령 동상을 광화문 광장에 세워야 된다”는 주장도 내놨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상암동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에서 이철우 경북지사를 만난 뒤 기자들에게 “박 전 대통령이 돌아가셨을 때 저는 이제 민주주의가 된다고 굉장히 기뻐했는데, 그 뒤로 민주화도 안됐다. 거꾸로 전두환·노태우 때문에 광주에서 피 흘리는 걸 봤다”며 “박 전 대통령 땐 총을 쏴서 누가 사망한 게 없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박정희 정권 때 인민혁명당 사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등 각종 시국사건과 긴급조치 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체포·구금돼 고문당하고 숨졌다.

김 전 장관은 “박 전 대통령이 계실 땐 항상 배가 고팠지만, 지금은 저도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 전깃불이 없었지만 지금은 전기가 너무 많고, 물도 없었는데 지금은 틀면 나오고, 아파도 병원을 못 갔는데 지금은 몇 천원이면 된다”며 “박정희 대통령 때 모든 면에서 다 바뀐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때 박정희 군사독재다, 유신독재다 계속 싸웠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전세계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배우러 온다. 세계적으로 위대한 업적을 가지고 있는 대통령도 평가를 잘 안 하고 있는 게 많다”며 “다른 나라에서 모두 존경하는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을 우리 국민들이 민주화 운동한다는 이름으로, 두 분을 아직까지도 제대로 알지 않고 교육도 안하는 것은 대한민국을 부강하게 하는 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전 지사는 “박정희 대통령과 이승만 대통령 동상을 광화문 광장에 세워야 된다”고 주장했다. 또, 2017년 만들어진 박 전 대통령 동상을 “이 기념관 앞에 세우면 되는데, 반대 여론을 우려해 아직까지 주물공장 창고같은 데 누워 계신다”며 “이런 부분은 나라 전체로 봐서도 손실이고, 수치”라고 주장했다.

자리에 함께한 이철우 지사 역시 박 전 대통령 찬양에 맞장구를 쳤다. 이 지사는 “박 대통령은 독재도 했지만 우리나라의 근간을 만들었다. 여러분들 오늘 밥 잘 먹고 잘 사는 것은 박 대통령 덕분”이라며 “외국에서 다 인정하는데 우리나라만 인정을 안하려 한다. 김일성을 인정해야지 왜 박정희를 인정하느냐는 사상이 자꾸 투입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경북 칠곡에 6·25 전쟁기념관이 있는데, 이승만·트루먼 대통령 동상을 세울 당시 ‘좌빨’들이 와서 데모도 많이 했다”며 “기념관 앞에 동상 하나 못 세우게 하는 나라가 나라 맞느냐”고 주장했다.

손현수 기자 boysoo@hani.co.kr


...

 

아마도.. 나무위키의 이 문서가 답을 해줄 수 있겠더군요..

 

참고링크 : 박정희 정부/평가/부정적 평가/경제 - 나무위키

 

1. 개요


2. 비정상적인 경제 발전 수단
2.1. 아동 인신매매·해외 불법 입양 사업
2.2. 구로공단 농지 강탈 사건
2.3. 일제의 과거사 배상 문제와 맞바꾼 돈
2.4. 시체의 산으로 쌓은 경부고속도로
2.5. 베트남 전쟁 참전자 배상금 횡령

 

3. 각종 경제 실책들
3.1. 국가 부도 위기 초래
3.1.1. 8.3 사채 동결 조치로 인한 중산층 붕괴 및 정경유착 심화
3.1.2. 성급한 중공업 투자와 오일쇼크 파동
3.2. 살인적인 물가상승률
3.3. 화폐개혁
3.4. 새마을운동의 문제점
3.4.1. 농촌의 고령화와 희생 강요

 

3.5. 농업 실책
3.5.1. 농민 부담 경감 실패
3.5.1.1. 농업 투자 미비로 인한 농민의 삶 개선 실패
3.5.1.2. 비료 수급 안정화 정책의 실패로 인한 농민 부담 증가
3.5.2. 통일벼의 문제점
3.5.3. 농민계층과의 불화
3.5.4. 노풍벼, 내경벼 파동

 

3.6. 아르헨티나 개발

 

4. 노동착취와 양극화
4.1. 전태일의 분신자살
4.2. YH 사건
4.3. 여성 노동자 차별
4.4. 노동 탄압
4.5. 광주대단지사건
4.6. 영호남 격차

 

5. 환경오염 문제


상당수의 노인들이 저리 생각하고 있을 겁니다. 본인은 덕을 봤다 하더라도.. 다른 이들은 피해를 본 사례는 철저히 외면하죠.. 자기중심적 생각으로 말이죠...

 

특히.. 경부고속도로... 아마 많은 노인들이 칭송하고 있는 부분이고.. 그외에도 박정희 정권에 대해 우호적 생각을 하는 이들도 주장하고 강조하는 부분인데...

박정희 정부는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16년이 걸릴 공사를 29개월 만에 끝내려고 최소 77명 이상, 최대 900명의 사망자를 냈다.

내용대로라면... 그리고 그 기준을 현재의 기준으로 생각하면... 아마도 중대재해처벌법에 걸리고도 넘쳐날 정도가 아닐까 싶겠더군요..

 

그리고 무엇보다.. 저렇게 공사중에 죽은 이들.... 보상이나 제대로 받긴 했을까요? 산재.. 산업재해라 해서 부상을 입으면 치료를 받는 정책... 이전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선... 산재로 보험혜택을 받는 것보단... 공상처리가 대부분이었던 걸 생각하면 말이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