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크메니스탄서 받은 '해피·조이' 동물원에 넘겨
윤석열 전 대통령과 배우자 김건희 전 코바나 대표가 키우던 반려견이 윤 전 대통령 사저가 아니라 동물원에서 살게 됐다. 3년 전 문재인 전 대통령의 '풍산개 파양' 논란 당시 윤 전 대통령은 "강아지는 아무리 정상 간(선물)이라고 해도, 키우던 주인이 계속 키워야 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 이 비난을 고스란히 돌려받게 됐다.
19일 서울대공원과 대통령기록관 등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이 투르크메니스탄 순방 당시 선물받았던 알라바이 2마리 '해피'와 '조이'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윤 전 대통령 사저가 아니라 서울대공원 동물원 견사에서 지내게 된다.
해피와 조이는 지난해 6월 한국에 도착했고 약 5개월간 용산 한남동 관저에서 윤 전 대통령 부부 손에 키워졌다. 이후 같은 해 11월 서울대공원 동물원 내 견사로 옮겨졌고 전담 사육사의 돌봄으 받고 있다. 알라바이는 최대 몸무게가 100Kg까지 나가는 대형 견종이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평소 애견인으로 알려졌다. 이때문에 대통령직에서 파면된 후 자신이 키우던 알라바이 두 마리가 사저로 가게 될지 설왕설래했다. 문 전 대통령의 풍산개 파양 당시 윤 전 대통령이 문 전 대통령을 비난한 적이 있어 특히 관심을 모았다.
문 전 대통령은 앞서 지난 2018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선물받은 풍산개 곰이와 송강이를 관저에서 계속 키웠고, 퇴임 후에도 사저로 데려가 키웠다. 그러나 사료비 등 관리 문제 등이 발생하고 정부가 위탁 사육 근거를 마련하지 않기로 하면서 문 전 대통령은 풍산개를 파양해야 했다.
큰 논란이 불필요했던 이 사안은 당시 당선인 신분이었던 윤 전 대통령이 "키우는 주인이 계속 키워야 한다"고 문 전 대통령을 비판하면서 정치적 공방 소재가 됐다.
윤 전 대통령은 당시 기자들의 질문에 "그래도 강아지는 아무리 정상 간에 뭐 해서 받았다 해도 키우는 주인이 계속 키워야지. 주인이 바뀌면은... 강아지는 좀 일반 물건하고 다르죠. 오히려 키우던 주인이 계속 키우는 게 맞지 않나 싶어요"라며 "(문 전 대통령이) 두고 가신다면 뭐, 저한테 주신다면 내가 잘 키우고... 그런데 글쎄, 우리가 아무리 그래도 동물을 볼 때 사람 중심으로만 생각할 게 아니고 정을 자기한테 많이 쏟은 주인이 계속 기르게 하는 것이 오히려 선물의 취지에 맞는 거 아니겠어요?"라고 반문했다.
당시 극성 친여 지지자들은 문 전 대통령을 '개버린(개를 버렸다는 의미의 밈)'이라고 비난했다. 똑같은 논란이 윤 전 대통령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온 셈이다.
[박세열 기자(ilys123@pressian.com)]
일단... 투르크메니스탄 순방 당시 선물받았던 알라바이 2마리 '해피'와 '조이'... 서울대공원으로 이사갔죠.
견종 특성상... 덩치가 꽤 커져.. 같이 살고 있는 반려동물과 문제가 발생할 것 같아... 동물원에 보내야 한다는 의견을 따랐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거기다.. 보낸 시점은 비상 계엄을 선포하기 전인.. 2024년 11월이죠..
논란도 그렇고.. 결국 자업자득... 윤석열 부부도 개버린.. 이라는 비난을 받습니다.
만약... 그 개버린.. 이라는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뭘해야 했었나 생각하는 이들..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그 견종 2마리가 서울대공원에서 계속 머물때... 윤석열 부부가 이들의 사육비용을 지원하면 됩니다.
현재는 오롯이 서울대공원에서 모두 감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혈세가 그리로 들어간다는 것이고... 이는 윤석열 부부가 알리바이 2마리에 대해 완전히 손절했다는 것을 의미하죠.. 그런데 여기에 사육비용이라도 지원을 하고.. 방문도 가끔씩 한다면... 위탁이라는 것으로 변명할 여지는 있습니다. 근데 과연....
그렇게 된다면... 개버린.. 이라는 비난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 있죠..
이후.. 대통령기록물로서... 대통령기록관이 담당하게 되고 관리하게 되면... 이후는 손을 떼도 문제가 되지는 않을듯 싶죠.
아.. 관련해서... 당시 문재인쪽에서 시행령 개정을 요구했었다는건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시행령은 국무회의에서 통과시켜 선포하면 효력이 발생하죠... 근데 당시 윤석열 정권의 행안부등.. 정부기관에서 반대해서 결국 무산되었었습니다.
당시에 사육비용에 대해 논란이 있었죠.. 이번의 조이와 해피의 사례로.. 그 요구는 당연한 요구였다는걸 알 수 있죠.. 위의 보도에 나온 해피와 조이 두마리의 사육비용도.. 결국 서울대공원이 전부 전담했었습니다. 11월부터 지금까지 말이죠.. 물론 대통령이 궐위되어 결국 물러났으니... 조만간 대통령 기록물 지정이 이루어질테고... 이후에는 대통령기록관이 관여할 여지가 나옵니다.. 근데 그전까지 아무런 지원이 없었다는걸 이번에 알게 된 것이... 이전의 그 문재인의 풍산개 논란에 대해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지 않았겠나 싶군요.
'세상논란거리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준표쪽, 2만9천명 당원 명부 빼돌려 대구시장 경선 여론조사 활용 (0) | 2025.04.21 |
---|---|
김문수 "65세 이상, 오전 9시~오후 5시 버스도 무료탑승" 공약 (0) | 2025.04.20 |
尹부부 맡긴 투르크국견, 서울대공원이 키운다…비용 지원은 없어 (0) | 2025.04.18 |
"이완규 함상훈 지명했다"더니 …한덕수 “발표했지만 지명 아니다” 헌재에 의견서 제출 (0) | 2025.04.16 |
최상목 "폰 바꾼 적 없다"더니... 5분 만에 나온 '교체 기록' (0)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