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우려가 현실로..태풍 뒤 '세슘' 수치 치솟아

by 체커 2019. 11. 7.
반응형

다음

 

네이버

 

 

[뉴스데스크] ◀ 앵커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희는 오늘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과 관련해 우려했던 일이 결국 현실이 됐다는 단독 보도로 뉴스 시작합니다.

지난달 태풍 하기비스가 후쿠시마 지역을 강타한 직후 홍수가 난 일본 내륙의 주택가와 특히 강물에서 방사능 물질 '세슘'의 농도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수치는 국제 환경 단체 그린피스가 최근 현지에서 측정한 겁니다.

이 방사능에 오염된 강물은 결국 바다로 흘러갈 것이고 이웃한 우리한테도 심각한 상황일 수 밖에 없습니다.

먼저, 최훈 기자의 단독 보도로 시작합니다.

◀ 리포트 ▶

태풍 하기비스가 일본을 강타했던 지난달 12일, 후쿠시마 원전 인근 나미에 지역을 흐르는 다카세 강이 범람했습니다.

강이 범람하고 약 3주 후인 지난달 31일.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특수 드론을 띄워 이 일대 방사능 수치를 측정해봤습니다.

측정 결과 강 위쪽에서 깜짝 놀랄 정도로 고농도의 방사성 물질이 확인됐습니다.

이 일대에서 검출된 방사선 신호는 초당 1800-2300개, 일본 정부가 접근을 금지하는 방사능 위험지역에서 검출되는 방사선 신호가 1500개인 것과 비교하면 최대 50%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일본 정부가 인정했던 지역에서 왜 갑자기 방사능 농도가 치솟았을까?

흙이나 나무에 쌓여있던 방사성 물질이 태풍이 몰고온 비바람에 쓸려내려와 강물을 오염시켰고 그 강물이 범람하면서 주변까지 오염시켰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이번에 근처 숲에서 측정한 방사능 농도는 시간당 9마이크로 시버트로 강물 범람이 있기 전인 2017년보다 3배 이상 높았습니다.

[서균렬/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나무에 그리고 목초에. 이런 부분들은 기본적으로 (방사능 물질) 제거가 안 되는 것이고요. 적어도 8년 지났지만 (반감기가 30년이라) 앞으로 22년 이상 갈 때까지는 그대로 있는 겁니다."

후쿠시마는 매년 두어 차례 태풍이 지나가는 곳입니다.

그린피스는 태풍이 올 때마다 비슷한 일이 되풀이됐을 것으로 의심합니다.

[숀버니/그린피스 원자력 수석 전문가] "폭우가 빠르게 방사능 물질을 강 아래로 쓸어 내려서 오염되고 또 재오염 되는 겁니다."

더 큰 문제는 해양 오염입니다.

방사능 농도가 높아진 강물이 후쿠시마 앞바다로 흘러들면서 바닷속 방사성 물질 농도도 높아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후쿠시마 앞바다와 맞닿은 아부쿠마 강 하구에서 이번 태풍 이후 확인된 세슘 농도는 3년 전보다 최소 5배 이상 올라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MBC뉴스 최훈입니다.

(영상취재: 박동혁, 전승현 / 영상편집: 장예은)

[연관기사]

최훈 기자 (iguffaw@mbc.co.kr)


 

우려했단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지역에 대해 제염작업을 했었는데 다 허사가 되었다는 보도입니다.

 

다시 수치가 높아졌다네요.. 제염을 한 노력이 왠지 허사가 된 것 같아 보입니다. 더욱이 방사능 제염작업에 외국인 노동자까지 동원되었었는데 말이죠..

 

거기다 일본 앞바다 까지도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태풍 이후 세슘 농도가 올라갔으니..

 

일본.. 후쿠시마지역에서 나오는 농수산물은 먹지 말아야 할 이유가 확실해진 상황입니다.

 

더욱이 앞으로도 계속 태풍이 올라오면서 이런 오염확산은 계속 반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럴진대 일본은 도쿄올림픽의 일부 경기를 후쿠시마 지역에서 시행할 예정입니다. 각국의 선수들의 방사능 피폭이 우려되는 상황이죠..

 

11월 7일... JTBC의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에서는 그린피스와 함께 후쿠시마지역의 방사능 조사를 하는 방송을 했습니다. 

 

나중에 다시보기등으로 보면 실감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세슘의 반감기는 30년입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2011년에 발생하였습니다. 최소 2041년까지는 일본에.. 후쿠시마 지역에 안가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