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경제

남양주·하남·인천 계양에 신도시, 과천에도 중규모 택지 조성(종합)

by 체커 2018. 12. 19.
반응형

서울 경계에서 2km..광역교통망 축 중심으로 선정

3기 신도시 발표(PG)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정부가 경기도 남양주와 하남, 인천 계양에 신도시를 건설한다.

공공택지 조성을 두고 논란이 일었던 과천에도 중규모의 택지를 조성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경기도지사, 박남춘 인천시장 등 7명의 지방자치단체장도 배석했다.

신도시의 면적은 남양주가 1천134만㎡, 하남은 649만㎡, 인천 계양은 335만㎡ 순이다

과천에는 155만㎡ 규모의 중규모 택지가 조성된다.

남양주 신도시는 진접·진건읍, 양정동 일대로 6만6천호가 공급된다.

하남 신도시는 천현동, 교산동, 춘궁동, 상·하사창동 등 일대로 3만2천호가 공급되고, 인천에는 계양구 귤현동, 동양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대에서 1만7천호가 나온다.

과천의 경우 과천동, 주암동, 막계동 일대가 택지로 지정됐으며 7천호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들 택지는 서울 경계로부터 2㎞ 떨어져 있으며 광역급행철도(GTX) 등 광역교통망 축을 중심으로 선정됐다.

국토부, 수도권 3기 신도시 발표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와 2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jieunlee@yna.co.kr

서울과 거리는 2기 신도시의 경우 10㎞라는 점에서 서울과 매우 인접한 곳임을 알 수 있다.

국토부는 이들 택지 후보지는 대부분 훼손되거나 보존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이들 택지 입주 시 교통불편이 없도록 2년 빨리 교통대책을 수립·시행할 방침이다.

현재 신규 택지 교통대책은 지구계획 수립 단계에 마련되지만 앞으론 지구지정 제안 단계부터 수립하게 된다.

이와 함께 부천 역곡(5천500호), 고양 탄현(3천호), 성남 낙생(3천호), 안양 매곡(900호)에서는 장기 집행 공원부지를 활용해 중소규모 택지가 조성된다.

서울에서는 강서구 군 부대와 군 관사 부지를 개발해 2천400호가 공급된다.

이와 함께 노량진 환경지원센터와 석관동 민방위센터, 서울의료원, 동부도로사업소, 수색역과 금천구청역 등 서울 도심 국공유지 17곳을 활용해 1만4천600호가 나온다.

노후 저층 공공시설을 재건축해 공공주택을 함께 짓는 복합개발을 통해 7곳에서 500호를 공급한다.

서울시는 상업지역 주거 용적률과 역세권 용도지역 상향을 허용해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새롭게 공급하는 주택이 3만호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한다.

banana@yna.co.kr

국토부, 수도권 3기 신도시 발표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와 2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 김현미 국토부 장관, 이재명 경기도지사 조광한 남양주시장. jieunlee@yna.co.kr

-------------------------------------------------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경기도, 남양주시의 각 장이 나와 신도시계획과 주택보급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뭐.. 그린밸트 해제해서 만들라는 요구도 있었고 재개발을 허용하라는 말도 많았고.. 별의별 요구도 많았기에 이번 발표를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으리라 생각합니다.

거기다 개발 계획이 사전 유출되는 바람에 구설수도 많이 올랐는데 유출된 신도시 계획중에 과천이 이번 계획에 포함이 되었지만 해당 지역은 아닌듯 보입니다.

이번 신도시 계획으로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혜택이 돌아갈지는 모르겠으나 없는 것보단 낫겠죠..

다만 또 돈많은 인간들이 싹쓸이 해서 임대료를 올리는 용도로 쓰이지 않길 바랄뿐입니다.

그리고 해당 부지에 살고 있는 원주민의 피해도 없길 바랍니다. 여지껏 신도시 개발한다고 해서 기존 원주민이 다시 개발된 곳으로 다시 들어간 경우는 거의 없었거든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