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이대로라면···"'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낙동강 녹조

by 체커 2023. 6. 19.
반응형

다음

네이버

◀앵커▶
2023년에 낙동강의 녹조가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 주말 대구에 2023년 들어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지는 등 무더위가 이어지자, 녹조 발생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금처럼 낙동강 보 수문을 닫아둔다면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

변예주 기자? 현재 녹조 발생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6월 17일이죠, 주말에 환경단체가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 일대의 녹조 현황을 현장 조사했습니다.

단체가 촬영한 영상을 보면, 강물이 거대한 녹조 덩어리로 뒤덮였습니다.

빈틈을 찾아볼 수 없어 '녹조라테'를 넘어 '녹조 곤죽', '녹조밭'을 연상시킬 정도였습니다.

6월 19일 낙동강 현장에서는 바람이 불어 녹조가 다소 옅어졌지만, 맨눈으로도 녹색 띠를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일단 겉보기에도 녹조가 상당히 심각해 보인다, 이런 얘기인데요, 수치상으로도 확인이 되나요?

◀기자▶
지난주 강정고령보에서 뜬 물의 남조류 세포 수는 1mL당 5,851개였습니다.

일주일 전 166개보다 무려 35배가량 급증한 것인데요, 지난주 30도를 넘는 한여름 날씨가 이어지면서 녹조가 급증하는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도 "기상청 날씨 전망을 보면 이제 앞으로 계속 날씨가 작년 대비해서  올라갈 것 같고, 이번 주부터 조류경보가 발령될 수도 있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환경단체는 이런 상황을 좀 더 심각하게 보고 있죠?

◀기자▶
환경단체는 6월 중순에 이런 상황이라면 최악의 녹조가 발생한 2018년을 능가할 수 있다며 걱정하고 있습니다.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예상되는 데다 오랜 기간 수문이 꽉 막힌 탓에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사무국장 얘기 들어보시죠.

◀정수근 대구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강이 보로 막힌 지가 횟수가 10년이 넘었습니다. 계속 횟수가 더해 갈수록 양상이 심해집니다."

특히 낙동강 수상 레포츠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달성군에는 이용자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천만한 행위라며 멈출 것을 촉구했습니다.

환경부는 낙동강 변 야적 퇴비를 관리하고, 취수구 주변에 정수 처리와 수질 검사를 강화하는 등 녹조 종합관리대책을 내놨습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2023년 여름의 극심한 녹조를 정부는 도대체 어떻게 감당할 것이냐며 섣부른 녹조 종합대책을 발표할 것이 아니라 정부는 현실을 제대로 진단하고 적확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수문 개방을 통한 자연성 회복이 최고의 녹조 치료제라며 낙동강 보 개방을 거듭 촉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낙동강에 녹조가 발생했다 합니다.. 녹조야 어디 하루이틀인가... 여름이면 연례행사처럼 따라 옵니다.

그래서.. 환경단체는 여름 초기.. 낙동강에선 물만난 고기처럼 활동적입니다. 낙동강만큼 정부와 지자체를 까기 좋은 사례가 없죠.

녹조가 발생하는 요인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유기물, 수온, 체류시간입니다.

환경단체가 요구하는건 보 수문을 열어 물을 흘려보냄으로서 체류시간을 단축시키자는 요구... 당연히 할법한 주장입니다.

이에 지자체나 농민단체는 말합니다. 다 흘려보내고 저장한 물이 없으면 앞으로 물부족시 농사는 어떻게 짓느냐고.. 낙동강을 수원으로 하는 취수장이 물이 부족해지면 주민들이 수돗물을 쓰지 못해 불편을 겪을텐데 그때가선 어찌할 거냐고...

환경단체나.. 지자체나 맞는 말이긴 합니다. 그래서 근원을 제거해야 하죠.. 낙동강 상류를 쥐잡듯... 오염물질 배출하는 곳을 단속해서 배출을 막는 겁니다.

의심되는 시설은 축산시설입니다. 그외엔 농민들이 강에 쓰레기를 투기하는 행위도 의심됩니다.

결국.. 상류의 각 지류 말단에 수질 측정지점을 정해 모니터링을 하면서.. 배출등을 못하게 감시를 하고.. 각 지류 말단에 하폐수처리시설을 만들어 운영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녹조의 발생조건중에 유기물 부분은 상당수 해결됩니다. 이게 첫번째 해결방법입니다. 돈이 든다는게 문제지만...

그외엔 물부족을 우려한다면.. 중간에 저수지를 조성하는게 낫습니다. 즉 높이차로 자연스럽게 낙동강 물이 유입.. 저장할 수 있는 저수지를 여러군데 만들고.. 수질이 좋을 때.. 수문을 열어 저장하고.. 나쁠 때는 막아 수질을 보전하는 방식입니다. 귀찮더라도 수위측정과 원격 수문조작등으로 사전에 낙동강 물을 확보하거나.. 만약 집중호우등으로 보 수위가 올라갈 것 같으면 미리 빼뒀다 채워넣어 보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죠..

일부에선 아마 보가 그런 역활을 한다 주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보의 역활중에는 물 확보가 있지만..원래 역활은 유속 제어입니다. 댐과 보를 혼동하는 경우에 그런 주장을 하는것 같더군요. 더욱이 현재의 보는 수질을 담보하지 못합니다. 물을 따로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도 결국 상류로부터 녹조가 유입되면 그냥 오염될 뿐.. 섞이는걸 막진 못합니다. 거기다 저 수질로 농사를 짓고.. 재배한 농산물을 사람이 먹을 수 있느냐.. 그게 힘들다는게 현실입니다. 애초 농민들도 상류로부터 오염물질이 섞인 물이 유입되는 상황에서 그나마 수질이 좋은 부분을 따로 취수하여 쓸 수도 없으니까요.. 현재 낙동강의 수질상태를 생각하면.. 녹조가 발생한 상태를 생각하면.. 그냥 흘려보내는게 상책입니다. 그리고 예전.. 낙동강의 보 인근의 제방이 무너진 사례도 있습니다. 보를 모두 열었음에도 보로 인해 유속이 줄어들면서 보에 부하가 가해졌고.. 제방이 그걸 버티지 못해 무너졌죠..

따라서.. 보를 막는 것보단.. 차라리 저수지를 만들어 따로 보관하는 것이 수질관리면에서 더 낫지 않겠나 보여집니다. 이게 두번째 해결방법입니다.

그렇게 물을 따로 확보하는 방안이 되면 좋겠는데.. 당장에 녹조만 없애서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 이들도 있겠죠. 방법은 있습니다.. 돈만 많다면..

간단합니다. 그냥 황토를 다량으로 뿌리면 됩니다.

그렇게 되면 녹조류가 황토에 달라붙어 그대로 강바닥에 가라 앉습니다. 그리고 물은 잠시 깨끗해지죠.. 계속 녹조로 오염된 상류의 물이 내려오니 계속 깨끗해지진 않지만요..

그런식으로 녹조를 잠시 없애고 깨끗해진 물을 양수에서 쓰고.. 다시 녹조가 채워지면 또 황토 뿌려서 제거하고 양수하고.. 귀찮지만 그게 당장에 녹조가 있는 강물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돈이 더 많다면 숯으로 만든 활성탄을 뿌려도 됩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쓰진 못하는 것이.. 가라앉은 녹조류가 많아질수록 강바닥의 깊이는 낮아집니다. 당연히도 담을 수 있는 물그릇의 용량도 작아지죠.. 즉.. 정기적으로 준설작업을 해야 합니다. 돈이 들죠..

거기다 가라앉은 녹조류가 결국 강바닥에서 부패를 합니다. 가스가 발생하죠.. 부패가 어느정도 진행이 되면 메탄가스로 인해 탈락이 진행되어 결국 부패된 오염물질이 표층으로 떠오릅니다. 그리고 강바닥은 부패로 오염된 진흙상태로 남죠.. 강 생태계는 최악으로 갈 여지가 큽니다. 물론 황토를 뿌리면 물고기들도 피해를 입는데.. 녹조가 상당히 발생하면 어차피 살아있는 물고기는 몇 안됩니다. 근데 지자체에선 안하죠.. 우선 돈이 많이 들고.. 한번만 하는게 아닌 지속적으로 해야 하니 지속적인 비용 투입은 부담스럽죠..

필터를 사용하면 되지 않느냐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모래여과.. 활성탄여과.. 분리막 여과.. 다양한 여과방식이 있는데.. 투입했다간 얼마 처리도 못해 폐색되어 필터가 제역활을 못합니다. 그래서 여과방식은 녹조상태의 물에 대해선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취수를 한다면 응집제를 투여해서 가라앉혀 제거하는 방식을 쓸테고.. 낙동강에서 취수하여 수돗물을 만드는 정수장에서도 응집제를 이용한 선처리 방식을 적용하고 있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돈이 꽤 들죠.. 그럼 다른 정수장에선 어떠냐... 원수가 깨끗하면.. 그냥 모래여과방식으로 처리해서 염소소독을 한 뒤에 송수합니다. 비용차이가 크죠..

결국.. 지자체가 나서서 강 상류를 바꿔야 합니다. 돈이 드는 것도 피하고.. 수질도 개선되길 원한다면 말이죠... 그렇기에.. 저 보도가 나오면..환경단체를 탓할게 아니라.. 지자체가 나서서 강 상류에 뭔 조치를 하라 요구하는게 현실적입니다.

보 수문을 환경단체의 요구대로 계속 개방하는걸 반대한다면 말이죠...

다만... 낙동강은 국가가 관리하는 국가하천입니다. 수질은 환경부가 관리하죠.. 그래서 윤석열 정권탓을 할 수 밖에 없는 부분도.. 지자체가 나서서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에... 좀 답답한 부분이 있죠.. 일단 지자체는 당장에는 낙동강으로 흐르는 지류에 할 수 있는 조치를 해야 하겠지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