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IT

'독일·일본서 전량수입' 차세대 전지 핵심 소재 국산화 성공

by 체커 2019. 7. 30.
반응형

다음

 

네이버

 

화학연, 음이온 교환 막 연료전지 전극바인더·분리막 개발

 

음이온 교환 막 연료 전지 전극 바인더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독일과 일본에서 전량 수입 중인 차세대 연료전지 핵심 소재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화학연)은 이장용 화학소재연구본부 박사팀이 음이온 교환 막 연료전지에 쓰이는 음이온 교환 소재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료전지는 문자 그대로 연료를 사용해 전기를 만드는 장치다. 예컨대 수소연료전지는 연료인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나 열을 생성한다.

현재 관련 업계에서는 양이온 교환 막 연료전지를 주로 쓴다.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 때문이다.

다만, 촉매로 백금을 사용하다 보니 가격이 비싼 게 흠이다.

대안으로 등장한 게 음이온 교환 막 연료전지다. 니켈과 구리 등 비 귀금속계 촉매를 사용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데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어서다.

 

음이온 교환 막 연료 전지 분리막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장용 박사 연구팀은 음이온 교환 막 연료전지 핵심인 전극 바인더와 분리막을 제작했다.

연료전지에서 바인더는 분말 형태 전극을 단단히 결합하고 전극 층 내부에서 이온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분리막(이온 교환 막)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음이온(수산화이온)이 선택적으로 움직일 때 경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기존 상용 음이온 교환 소재보다 성능과 내구성을 더 높였다. 특히 이온전도도는 3배 이상 좋아졌다.

여기에 더해 독일과 일본에 100% 의존하던 음이온 교환 소재를 국내 기술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는다.

음이온 교환소재 적용 예시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장용 박사는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음이온 교환 소재를 상용화하는 한편 제조 가격을 더 낮추기 위한 원천기술 연구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 대응기술 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했다.

관련 기술은 화학·기계 분야 전문 기업에 이전됐다.

walden@yna.co.kr


 

음이온 교환 소재의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소식입니다.

 

해당소재는 일본과 독일에 100% 수입에 의존했던 소재인 만큼 국산화를 통해 국내 산업 활성화와 더불어 의존도를 낮추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기술을 전문 기업에 이전되었기에 앞으론 상용화와 더불어 양산체계를 갖춰 가격을 낮추는게 중요하겠죠.. 양산화가 되어 가격경쟁력이 높아진다면 국내 활용과 더불어 수출도 가능해질터..기술이전을 받은 전문기업의 의지와 결과가 앞으로 중요해 질 것 같습니다.

 

양산화가 시작된다면 해당 기업이 주식상장 기업이라면 주가가 올라가겠죠..

 

그리고 해당 기술을 연구한 연구원들에게도 충분한 보상이 돌아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