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전을 앞두고 작성된 일본군 극비문서가 발견됐다. ‘1945년 3월 예하부대장 회동시 상황보고, 인천육군조병창’이라는 문서다. 제목만 보면 정례보고처럼 보인다. 하지만 총 120쪽에 달하는 내용은 모두 ‘극비’로 분류돼 있다. 전쟁 막바지 일제의 한반도 활용 계획과 침탈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문서가 다루는 지역은 현재 인천시 부평구에 있는 미군기지 ‘캠프마켓’, 옛 이름은 인천 일본육군조병창(부평 조병창)이다.
극비문서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크게 두 가지다. ‘조선인을 강제동원해 조병창을 지하화한다’, ‘일본 도쿄 제1조병창을 부평으로 옮긴다’. 단순해 보이지만 무서운 의도가 담겼다. 일제는 부평 조병창을 지하화해 침략전쟁을 지속하려고 했다. 이와 동시에 생산시설을 부평으로 옮겨 도쿄에 집중되는 미군 폭격을 분산하고자 했다. 전쟁은 지속하되 위험은 전가하려고 한 것이다.
문서 속 계획은 실제로 진행됐다. 부평 지역 곳곳에 남은 일제시대 흔적들은 당시 계획을 그대로 반영했다. 극비문서에 첨부된 지도를 들고 부평일대를 돌면 일제 유적들을 찾을 수 있을 정도다. 지금까지 유적들이 ‘왜 그곳에 있는지’, ‘무슨 용도인지’ 아무도 몰랐을 뿐이다.
경향신문은 지난 1일 부평 조병창 유적이 철거된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병원시설로 알려져 있는 일명 1780호 건물이 철거되는 이유와 그 결정과정을 밝히기 위해 부평 조병창의 역사적 가치는 후속보도로 미뤘다. 이 때문에 ‘역사적 가치가 없는 일제시대 건물을 왜 남겨야 하느냐’는 주장도 있었다.
지금부터는 부평 조병창 유적의 역사적 중요성을 밝힌다. 드문드문 알려진 사실들이 아닌 일제가 직접 작성한 극비문서로 확인한 내용들이다. 새롭게 공개되는 사실들은 부평 조병창 유적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다만, 현재까지 밝혀낸 사실들은 시간, 인력, 미군기지 접근성이라는 제약 속에서 찾아낸 것들이다. 부평에는 밝혀낸 사실보다 아직 밝혀지길 기다리는 이야기들이 더 많다.
■‘새우젓’ 토굴
지난 7월 26일, 인천 지역 한낮 날씨는 34도를 넘어서고 있었다. 부평문화원 김규혁 팀장의 안내를 받아 오른 함봉산도 뜨거운 공기로 가득했다. 산 속 비탈길을 따라 걷던 김 팀장은 육군 제3보급대 뒷편이 보이는 장소에서 걸음을 멈췄다. “이곳입니다”라는 말과 함께 그의 손가락이 한 방향을 가리켰다. 바위 틈 사이 움푹 들어간 곳에는 굳게 닫힌 철문이 있었다.
철문을 열자 별세계가 펼쳐졌다. 끝이 보이지 않는 동굴이었다. 안으로 한 발 내딛을 때마다 “시원하다”를 넘어 “쌀쌀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동굴은 별다른 전등 설비가 없었다. 김 팀장이 준비해 온 손전등을 들었다. 그는 동굴 길이는 150m 정도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왼편으로 휘어지는 구조가 특징이라고 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출구를 활짝 열어두고 안으로 들어갔다. 얼마쯤 걸었을까. 뒷편에서 반짝이던 빛이 완전히 사라졌다.
동굴 내부는 4~5명도는 나란히 걸을 수 있겠다 싶을 만큼 넓었다. 천장 높이 역시 키가 182㎝인 기자가 걷기에 불편함이 없었다. 5분쯤 더 들어가자 드디어 동굴 끝에 다다랐다. 김 팀장은 이곳에서 잠시 손전등을 끄겠다고 했다. 이내 빛이 사라졌다. 말 그대로 칠흑 같은 어둠이었다.
몇 초나 흘렀을까. 어느새 공간감이 사라졌다. 서 있는 곳을 가늠할 수 없자 한 발 떼는 것도 두려웠다. 제자리에 박힌 듯 가만히 서서 불이 켜지길 기다렸다. ‘여기서 손전등이나 휴대폰을 놓치면 죽겠다’는 생각이 스쳤다. 잠시 후 “손전등 켜겠습니다”라는 소리와 함께 공간이 밝아졌다. “밝은 빛도, 추위를 막을 방한복도 없이 강제동원된 노동자들이 이곳을 만들었다”는 설명과 함께였다.
이날 방문한 동굴 이름은 함봉산 제6호 지하호다. 극비문서는 이 동굴이 일제가 부평 조병창의 지하화를 위해 만든 것임을 증명한다. 함봉산 자락에는 이러한 지하호가 총 13개가 더 있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수치다. 얼마나 더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실제로 미군기지인 ‘캠프마켓’까지 범위를 확대하면 발견된 지하호는 총 21개로 늘어난다. 원래 4개가 더 발견됐지만 빌라를 짓는 공사중에 파괴됐다. 만약 극비문서대로 공사가 완료됐다면 현재 확인된 것보다 3~4배 이상의 지하시설이 더 있게 된다.
동굴은 2016년까지 ‘새우젓’ 보관과 판매에 이용됐다. 이 때문에 지역에서는 여전히 ‘새우젓 토굴’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일부 어른들을 중심으로 동굴이 일제와 관련됐다는 말은 있었다. 하지만 뜬소문 정도로 인식됐다. “부평 동굴이 인천항까지 연결된다”는 식의 과장된 소문은 오히려 동굴이 일제와 관련됐다는 주장의 신빙성을 낮췄다. 당시 강제동원됐던 사람들도 사정은 비슷했다. ‘왜 동굴을 팠는지’ 아는 사람이 드물었다. 일제는 노동력을 착취하면서 정보는 일본인들끼리 독점했던 것이다.
동굴이 일제가 만든 지하호라고 명확히 인식한 것은 2017년 무렵이다. 김 팀장이 지역 어른들과 일일이 발품을 팔아가며 조성시기를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숨겨져 있던 동굴들까지 추가로 발견했다. 하지만 정확한 용도까지는 알 수 없었다. 이를 확인할 만한 자료가 없었기 때문이다.
극비문서는 바로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지하시설의 구축부터 운영까지 일제의 종합계획이 모두 담겨 있다. 문서 속 지하화 계획과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부평 조병창 건물들을 연결해 볼 때 가치는 배가된다. 전쟁 막바지, 패전에 몰린 일제의 ‘비이성적’ 구상을 낱낱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부평은 문서와 실제 유적이 모두 존재하는 일종의 타임캡슐과 같은 상태다.
■1945년, 본토결전 “주요 시설을 지하화하라”
오랜기간 찾을 수 없었던 자료는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에서 발견됐다. 극비문서의 내용을 처음 확인한 것은 동북아역사재단 조건 연구위원이다. 그는 일본 육군일반사료 중 ‘예하부대장 회동시 병기생산 상황보고’라는 문서철 속에서 해당 문서를 찾았다. 당시 일제 병기행정본부는 관할 조병창에게 그해 생산할 군수물자의 현황과 계획, 관련 시설물 건축 등의 보고를 명령했다. 부평 조병창 역시 매년 병기행정본부에 실태 및 계획을 보고했는데 이중 1945년 3월 보고자료가 남아 있었던 것이다. 조 위원은 곧바로 문서를 번역 및 분석했고, 현재 이에 관한 책과 논문 출간을 앞두고 있다.
극비문서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전황을 살펴봐야 한다. 패전을 거듭하던 일제는 1945년 초 미군의 본토 상륙에 대비한 방어진지 구축에 나섰다. 이른바 ‘본토결전’이라는 최후의 전쟁 준비다. 일제는 방어를 위해 ‘결호작전’이라는 계획을 입안했다. 이는 작전구역을 총 7개로 나누는 것인데 이중 6개의 작전구역이 일본 본토를 둘러싸고 만들어졌다. 그런데 마지막 작전구역 ‘결7호’는 일본이 아닌 한반도에 만들었다. 전쟁 막판에 이르러 한반도를 본토처럼 취급하며 전쟁 한가운데로 끌고 들어간 것이다.
당시 공습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전쟁을 이어나갈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주요 시설의 지하화’였다. 이에 따라 각각의 작전 구역에서 지하화 작업이 착수됐다. 한반도에서는 미군 상륙이 예상됐던 제주도나 남서해안 일대의 지하화가 이뤄졌다. 이들 지역 산, 해안가 등에서 발견되는 인공동굴은 이를 잘 보여준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한반도는 점차 커다란 벙커로 변모하고 있었다.
그런데 예상되는 미군의 상륙지점과 거리가 있는 부평 조병창도 지하화가 결정됐다. 이는 부평과 제주도 일대의 지하화가 성격이 다르다는 의미다. 제주도 등이 전투가 벌어지는 진지였다면, 부평은 무기를 생산·공급하는 기지였다. 부평 조병창의 지하화는 한반도에서 계속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느냐와 직결되는 중대 사안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극비문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문서는 총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지하화와 관련된 항목은 네 번째 항목 제10항 ‘분산 및 방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에서 언급된다. “인천육군조병창 및 주요 민간공장의 생산 시설 중 중요한 것을 분산하고 또한 이를 지하시설로 한다”는 내용이다.
극비문서에는 또 하나 특기할 만한 사실이 있다. 이는 부록에 나온다. ‘이설 분산 및 방호 등의 진척 상황’과 ‘이설 분산 방호 실시 요강’이라는 문건이다. 이곳에는 전쟁 수행을 위해 도쿄 제1조병창의 실포(탄환) 생산 설비를 부평으로 옮긴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일제는 조선, 만주 등에서 최후까지 전투를 치르기 위해 월 150만발의 실탄 생산이 가능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부평 조병창의 생산력은 그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도쿄 제1조병창 시설을 옮기는 방안을 추진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제안 수준이 아니었다. 부평으로 옮긴 도쿄 제1조병창 시설은 지하공장을 만들어 설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월별 계획도 작성됐다. 4월 중 도쿄를 출발해 5월 중 부평에 도착하고, 연말까지 기계 설치를 마치는 일정이다. 조 위원은 “1945년 말까지 공사가 계속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8월이면 굴착공사가 마무리되는 정도였을 것”이라며 “현재 부평 지하호의 높이, 너비 등을 감안할 때 대규모 설비를 장치할 계획이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제동원으로 만든 지하호
실제로 부평 조병창을 지하화하고, 도쿄 제1조병창 시설까지 수용하려고 했다면 방대한 굴착 공사가 진행됐을 것이다. 그렇다면, 공사에 누가 참여했는지도 나와야 한다. 문서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까지 있다. 가장 중요한 지하공장 공사는 조선전업주식회사를 주축으로 가지마구미, 니시마쓰구미, 도비시마구미 등이 참여했다.
공사에 실제 동원돼 노역을 한 것은 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이었다. 문서의 네 번째 항목 중 제8항 ‘근로관리’ 부분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여기에는 조병창의 노동자 현황과 향후 동원 계획까지 상세히 기재돼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45년 3월 1일, 부평 조병창에 소속돼 있는 전체 노동자는 총 1만1300명이었다. 이중 약 9000명이 조선인이다. 1945년도에 추가로 필요한 노동력은 제2제조소 신설에 따른 약 1500명, 지하공사 등에 따른 임시적 요원 약 3500명, 결원 보충까지 포함하면 약 8000명이다. 지하 공사 등에 필요한 임시 요원은 모두 강제동원하고, 그 외는 관 알선 및 학도 동원에 의해 충족하도록 시책 중이다. 학도 동원 이용은 다시금 활발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신설제조소 요원으로 약 600명(남자 300명, 여자 300명)의 증원을 수배 중이다. 이밖에 장래는 학도로서 종업원의 반수를 확충하고자 한다. 3월 30일 현재 동원 학도 수는 약 930명으로 인천 및 경성의 주요한 중등학교는 거의 동원한 상황이다.”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우선, 부평 조병창에는 제2제조소도 신설할 계획이었다. 건설을 위해 필요한 약 1500명과 신설제조소 요원으로 필요한 약 600명은 강제동원될 예정이었다. 지하화 공사를 위해 필요한 약 3500명은 모두 강제동원된 인원이었다. 관 알선과 학도동원도 있었다. 조 위원은 “관 알선은 총독부를 통한 모집과 소개 등의 방식을 이용한다는 것인데 이는 사실상 강제동원이었다”며 “학도동원은 당시 신문에도 나왔고, 증언으로도 확인되는 바 모두 실제 실행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일제는 미래에 필요한 종업원 절반도 학도동원을 하기로 했다. 이미 3월 30일 당시 경성, 인천 지역 주요 중등학교 학생은 대부분 동원됐다. 이는 향후 부평 조병창에 필요한 인력을 채우기 위한 학도 동원이 다른 지방으로 확대할 것임을 암시한다. 부평 조병창이 곧 일제의 한반도 침탈사라는 것은 이곳에 전국에서 끌려온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문서는 이 사실들을 증언하고 있다.
■일제는 무엇을 노렸나
극비문서는 부평 지하호의 용도부터 이를 누가, 어떻게 만들었는지까지 보여준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가 남았다. ‘부평 조병창 지하화’와 ‘도쿄 제1조병창의 부평 이전’이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이다. 이는 부평 조병창 지역이 미군으로부터 반환이 완료되고, 극비문서 등과 함께 추가 연구가 진행되면 그 의미가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현재까지 밝혀진 극비문서 등을 보면 일제는 전쟁 막판 한반도를 ‘총알받이’로 쓰려는 생각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일제가 ‘본토결전’을 외치며 쉽게 항복하지 않았던 것에는 ‘책임’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전쟁 막바지 일제와 연합군 간 협상의 주요 의제는 ‘일왕의 면책’이었다.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더욱 격렬한 저항이 필요했다. 신민들이 일왕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마다하지 않는다는 이른바 ‘옥쇄’가 강요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오키나와다. 이와 동시에 본토 밖에서 미군에게 타격을 입힐 필요가 있었다. 부평 조병창의 지하화와 무기 생산설비 보강은 한반도에서도 옥쇄와 대규모 소모전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작업이었다.
일본 본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반도를 ‘희생양’으로 내세운 것이기도 하다. 일제는 19세기 후반부터 본토를 의미하는 ‘주권선’을 지키기 위해 조선 등을 일종의 방파제인 ‘이익선’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정립했다. 실제로 전쟁 막바지, 무기 생산시설을 한반도로 옮기고 전투를 이어나가면 방어적 측면에서 두 가지 이점이 있다. 우선 미군이 일제를 상대로 한 공격 범위가 넓어진다. 그리고 일본 본토에 집중되는 공격을 분산시켜 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조 위원은 한 가지 흥미로운 해석을 내놓는다. 그는 “일제는 패전의 책임을 지고 연합국에 의해 영토가 분할 점령되는 최악의 순간을 모면할 방법을 찾고 있었다”며 “실제로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희생양으로 제공할 땅이 필요했는데 그게 한반도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계획이 실패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 전후 일본은 분할되지 않았지만 한반도는 연합국에 의해 분할됐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일제가 정말 끝까지 싸우려고 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도쿄 제1조병창 시설을 부평으로 옮겨 한반도에서 장기항쟁을 계획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경우 식민지 조선은 침략행위와 관계가 없음에도 일제의 전쟁책임을 떠안게 된다.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은 “당시 일제는 미군이 오키나와를 점령하고 한반도로 올라올 것이라고 생각해 전력을 한반도에 집중시키려 했다”며 “일제 입장에서는 승부수를 던진 것이겠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전쟁에 총알받이로 던져진 것”이라고 말했다.
일제는 부평 조병창 지하화를 실행하며 방공부대나 방공망, 방공시설 등을 사실상 아무것도 배치하지 않았다. 당시 부평이 포함되는 인천지역에는 고사포 제151연대 1개 중대가 배치됐다. 이들이 보유한 방공 병기는 고작 고사포 6문뿐이었다. 강제동원된 노동자가 폭격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고려 대상도 아니었던 것이다.
일제의 의도를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주목해봐야 할 것은 극비문서의 제목이다. ‘1945년 3월 예하부대장 회동시 상황보고, 인천육군조병창’. 여기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우선, 예하부대장들이 모여 이 문제를 논의하고 상황보고를 했을 정도로 조병창의 지하화, 도쿄 시설의 이전은 진척된 단계였다는 점이다. 최소 1945년 3월 이전에 이미 결정권자들은 관련 판단을 내렸다는 의미도 된다. 이는 일제가 패전에 대한 위기감을 언제, 어느 정도로 느끼고 있었는지를 엿보게 한다.
또 상황보고 문서가 있다는 것은 1945년 3월뿐만 아니라 4월, 5월 하는 식으로 문서가 더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제는 전후 만행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주요 문서를 대부분 소각했다. 하지만 해당 문서처럼 평범한 제목으로 또, 문서철 속에 끼워져 보관되고 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조 위원이 극비문서를 확보한 것은 그곳에 해당 문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다. “이미 다 사라졌겠지”라는 생각보다 증거 확보를 위한 노력이 권장되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앞으로 한국은 피해 당사자 없이 일본과 역사문제를 다퉈야 한다.
■부평 조병창의 가치
지난 경향신문 보도 후 ‘부평 조병창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기자에게 메일을 보내오기도 했다. 특히, 인터넷 부동산 카페 등에서는 ‘독립운동을 한 곳도 아닌데 왜 일본군 건물을 남겨두느냐’, ‘역사적 가치가 있느냐’는 논리로 비판했다. 이들은 해당 부지에 ‘호수 공원’을 만들어 이른바 ‘부평 센트럴파크’를 만들자고 주장했다. ‘센트럴파크’ 이야기는 이 지역 국회의원 홍영표 의원의 총선 공약이기도 하다. 하지만 홍 의원은 조병창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도 동시에 공약한 바 있다.
우선, 부평 조병창이 독립운동을 한 곳이냐는 지적이다. 조병창에는 독립투사의 흔적이 있다. 조병창 한켠에 ‘조선독립만세’라고 쓴 종이를 붙였던 인천공업직업학교 2학년 양재형. 조병창의 무기조작기술을 습득해 독립운동을 하려고 잠입했다가 체포된 오순환. 1943년 조병창 내에서 고려재건당을 조직하고 이듬해 권총과 실탄을 입수해 임시정부에 인도하려다 붙잡힌 황장연이 있다. 정 위원은 “조병창은 무기, 폭파 기술 등을 다루는 곳이다 보니 위장 취업을 해서 들어오는 사람들이 많았다”며 “특히, 황장연 선생과 같이 임시정부 또는 항일독립단체와 연결된 인물이 조병창 내에서 더 활동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역사적 사실이 없는 것이 되는 것은 아니다.
부평 조병창이 역사적 가치가 있느냐 하는 부분도 마찬가지다. 극비문서를 통해 밝힌 것처럼 이곳이 전쟁 막바지 일제의 한반도 활용계획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특히, 문서와 관련 유적이 동시에 남아 있는 경우는 부평을 제외하면 찾아보기 어렵다. 이뿐만이 아니다. 조병창 건물을 만드는 데 참여했던 일본 기업 대부분이 현재까지 존재한다. 건설 과정에 대한 조사가 진행된다면 향후 이들에 대한 소송도 충분히 가능하다.
부평 지역에 얽힌 안타까운 이유도 있다. 정 위원은 “일제강제동원위원회가 피해 접수를 받았던 당시, 부평지역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었다”며 “이는 스스로 피해자라는 인식이 없다는 독특함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일제는 부평지역 사람들을 조병창에 강제동원하며 “너희는 단순 노동자가 아닌 기술자”라고 주입했다. 그 결과, 스스로 피해자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조병창 역사를 밝히는 것은 늦게나마 이들의 피해사실을 객관화한다는 역사적 의미도 갖는다.
부평 조병창의 보존을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모든 건물을 영원히 남겨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조병창 일대는 2019년에야 미군으로부터 일부 지역 반환이 이뤄졌다. 이마저도 환경정화 등을 이유로 제대로 조사 한번 하지 못했다. 미군으로부터 아직 반환되지 않은 곳에는 무엇이 더 남아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이들의 주장은 적어도 건물들이 온전한 상태에서 한 번이라도 조사를 해보자는 것이다.
취재 중 만난 10여명의 역사 전문가들에게 공통적으로 “건물을 철거하기 전에 기록을 하거나 향후 복원을 해서 조사할 수도 있느냐”고 물었다. 단 한명의 예외도 없이 “그런 식의 조사는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특히, 부평 지하호와 조병창의 관계를 밝혀낸 조 위원은 “부평 조병창을 철거하고 지하호만 남겨둔다면 그게 역사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라고 말했다.
■핑퐁게임의 진실
경향신문 보도 후 문화재청은 지난 2일 부평 조병창 지역을 다시 방문했다. 문화재청은 철거가 예정된 1780호 건물을 확인하고 인천시에 ‘철거를 유예하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문화재청 공문은 접수받았다. 딱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말했다. 철거결정은 여전히 ‘인천시가 아닌 국방부 결정 사안’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주한미군 특별법) 제12조를 근거로 제시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국방부에 오염제거 책임이 있다”며 “건물철거 결정은 국방부에서 한 게 맞다”고 말했다. 또 철거 일정에 대한 물음에는 “잘 모른다. 작업일정은 환경공단과 국방부가 협의해서 진행하기 때문에 우리도 수시로 확인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에도 다시 입장을 물었다. 국방부는 서면답변으로 “존치, 철거 여부 결정 권한은 국방부에 없다. 법에 따라 오염된 지상물·지하매설물은 지자체의 활용여부에 따라 철거가 이루어지는 체계다”고 답변했다. 여기서 지자체는 인천시를 의미한다. 흥미로운 점은 국방부가 인용한 법 역시 주한미군 특별법 제12조라는 점이다. 즉, 두 기관이 똑같은 법을 방패로 “우리가 철거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경향신문은 두 기관의 끝나지 않는 ‘핑퐁게임’의 원인을 찾기 위해 각각의 기관이 법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부터 되짚어 봤다. 그 결과, 차이가 발견됐다. 해당 법 제12조의 예외조항 해석이다. 이는 국방부장관은 미군으로부터 반환된 토지에서 오염 등을 제거해야 하는데 ‘사업시행자가 지상물 또는 지하매설물의 계속 활용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거하지 아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해당 조항을 두고 “법에 나와 있는대로 지자체가 건물을 계속 활용하겠다고 하는 경우 무상으로 그대로 양여하게 된다. 간단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국방부 마음대로 건물을 철거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결국, 인천시의 의사에 따라 철거나 존치가 결정된다는 말이다. 실제로 인천시는 ‘활용계획’이라는 제목으로 국방부에 의견을 전달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최근에 나간 활용계획은 국방부에서 건물을 존치하면서 정화가 어렵다고 하니, 시민참여위원회에서 결정한 ‘철거의견’을 반영해 활용계획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중간 정리가 필요하다. 우선, 법에는 1780호 건물을 철거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조항이 있다. 국방부는 해당 예외조항에 따라 인천시가 ‘철거하지 말라’고 한다면 무상양여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시민참여위원회 의견을 반영해 ‘철거하라’는 내용의 활용계획을 보냈다. 그렇다면, 인천시는 어떻게 ‘철거결정은 우리가 하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일까.
인천시 관계자는 “법에는 국방부가 오염을 제거해야 ‘한다’로 나오고, 건물을 계속 활용하기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거하지 ‘아니할 수 있다’로 나온다”며 “아니할 수 있다는 것은 결국, 활용계획은 참고사항일 뿐이고 결정은 국방부가 하는 것으로 우리는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쉽게 말해, 인천시는 의견만 전달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결국, 국방부는 인천시가 철거하라고 활용계획을 전달했기 때문에 결정을 인천시가 했다는 것이고, 인천시는 활용계획은 단순 참고사항일 뿐이기 때문에 결정을 국방부가 했다는 것이다. 두 기관이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취재 시작 이후 양쪽 모두 “상대가 오해할까 염려스럽다”고 했다. 두 기관이 상대를 배려하는 사이 아무도 철거를 결정하지 않은 건물만 사라질 위기다. 문제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기에 양측 입장의 차이를 경향신문이 우선 정리했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
1780호 건물은 여전히 철거 위험 속에 있다. 하지만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국방부는 “문화재청으로부터 ‘철거유예’ 요청을 받았고,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8월 9일로 예정됐던 건물의 석면제거 작업은 연기됐고, 이에 따라 20일로 예정된 철거 일정도 유예됐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정을 이끌어 낸 것은 국민들의 관심 덕분이다. 실제로 경향신문 기사가 보도되고 하루 뒤인 지난 2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인천시는 조병창 건물을 철거하지 말라’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다. 해당 글은 정식 청원으로 채택돼 현재 ‘청원진행중’인 상태다. 인천 시민들의 관심도 있다. 문화유산국민신탁과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제19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을 개최했는데 인천에서 신청된 3곳 중 ‘부평미군기지 조병창 병원(1780호 건물)’이 포함됐다.
기성세대가 후세대에게 남겨줘야 할 것은 호수가 있는 공원만이 아니다. 두 번 다시 반복하지 말아야 할 침략전쟁의 증거와 교훈은 호수 이상의 가치가 있을 지도 모른다. 누구나 한국 역사를 배우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유적을 보호한 해당 지역 주민들의 노력 덕분이라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1780호 건물은 아무도 철거를 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경향신문은 해당 건물의 운명을 끝까지 기록할 예정이다.
김찬호 기자 flycloser@kyunghyang.com
[영어 번역]
A secret document was found in the Japanese military, which was written in the run-up to the defeat. It is a document called “Situation Report at the March 1945 meeting of the subordinate commander, Incheon Army Corps.”,But all 120 pages of the contents are classified as “extreme secrets.” This is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s plan to use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and the situation of invasion are fully contained.,The area covered by the document is Camp Market, a U.S. military base in Bupyeong-gu, Incheon, and the old name is Incheon Japanese Army Jo Byung-chang (Bupyeong Jo Byung-chang).
There are two major things to note in the secret documents: 'Forcibly mobilize Koreans to underground the ship', 'Transport the first shipbuilder in Tokyo, Japan to Bupyeong'. It seems simple but with scary intentions.,The Japanese imperialists tried to continue the war of aggression by undergrounding Bupyeong Cho Byung-chang, and at the same time, they moved production facilities to Bupyeong to distribute the concentration of US military bombing in Tokyo.,The war was to continue, but the danger was to be passed on.
The plan was actually carried out. The trac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Bupyeong area reflected the plan at that time.,If you take a map attached to the secret documents and go around Bupyeong area, you can find the remains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No one has known why they are there or what they are for.
The Kyunghyang newspaper reported on the 1st that the remains of Bupyeong Cho Byung-chang were demolished.,The reason why the so-called 1780 building, known as a hospital facility, is being demolished and the historical value of Bupyeong Cho Byung-chang was delayed by follow-up reports to reveal the decision process.,For this reason, there was also a claim that 'why should we leave a Japanese-style building without historical value?'
From now on,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remains of Cho Byung-chang in Bupyeong is revealed, not in rare cases, but in the secret documents written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themselves.,The newly released fac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remains of Bupyeong Cho Byung-chang, but the facts that have been revealed so far are found in the constraints of time, manpower, and access to US military bases.,There are more stories in Bupyeong that are still waiting to be revealed than the facts revealed.
‘Shrimp’ cave
On July 26, the midday weather in Incheon was exceeding 34 degrees. Hambongsan, which was led by Kim Kyu-hyuk, head of Bupyeong Cultural Center, was also filled with hot air.,As he walked along the slope of the mountain, Kim stopped at a place where he could see the back of the Army 3rd Reservation.,The hollow between the rocks was a hard-closed iron door.
The iron door opened and the star world unfolded, an unending cave, and every step inside, I felt that it was “cold” beyond “cool.” The cave had no lighting fixtures.,He picked up the flashlight that Kim had prepared. He said, The length of the cave is about 150 meters, and the structure is bent to the left as he enters.,I left the exit wide open to check. I wondered how long I had walked. The glow of light on the back was gone.
The interior of the cave was wide enough to walk side by side for four or five people, and the ceiling height was also 182cm tall, so there was no inconvenience for a reporter to walk.,After five minutes, he finally reached the end of the cave. Team leader Kim said he would turn off the flashlight.
I couldn’t figure out where I was standing, and I was afraid to take one step off, and I stood there, waiting for the light to turn on.,The thought of “missing a flashlight or a cell phone here will kill you.” After a while, the space brightened with the sound of “I’ll turn on the flashlight.”,"The workers who were forced to work here without bright light or cold clothes to prevent the cold," he explained.
The name of the cave that I visited on this day is the underground lake No. 6 of Hambongsan Mountain. The secret document proves that the cave was made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for the undergroundization of Bupyeong Cho Byungchang.,There are a total of 13 more of these underground lakes at the foot of Mount Hambong - figures found so far - no one knows how much more.,In fact, if the range is expanded to Camp Market, a U.S. military base, the number of underground lakes found will increase to 21. Four more were originally found, but were destroyed during construction of the villa.,If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ecret document, there will be three to four times more underground facilities than currently confirmed.
Caves were used to store and sell shrimp sauces until 2016, and some people still know them as shrimp sauce caves in the region.,Some adults said that the cave was related to Japanese colonial rule, but it was recognized as a rumor.,The exaggerated rumor that Bupyeong Cave is connected to Incheon Port lowered the credibility of the claim that the cave was related to Japanese imperialism.,Few people knew why they had dug a cave. Japanese exploited labor and monopolized information among Japanese.
It was around 2017, when Kim clearly recognized that the cave was a Japanese-made underground lake, and he confirmed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by selling each item with local adults.,In the process, we found additional caves hidden. But we didn’t know the exact use, because we didn’t have enough data to confirm them.
The secret document provides the answer to this problem. It contains all the Japanese comprehensive plans from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to the operation.,When you connect the underground plan in the document and the Bupyeong Cho Byeongchang buildings that are preserved as they are, the value doubles.,It is easy to say that Bupyeong is like a kind of time capsule where both documents and actual remains exist.
1945, mainland battle “underground the main facilities”
The data, which had not been found for a long time, was found at the Japan Defense Agency's Defense Research Institute. The first time the contents of the secret documents were confirmed by the Northeast Asian Historical Foundation.,He found the document in the document, "Report on the production of weapons at the meeting of the subordinate commander" among the Japanese Army general feeds.,At that time, the Japanese military administration headquarters ordered the jurisdiction of Cho Byung-chang to report on the current status, plans, and construction of related facilities to be produced that year.,Bupyeong Cho Byeong-chang also reported the actual situation and plan to the weapons administration headquarters every year, of which the report data remained in March 1945.,Cho immediately translated and analyzed the documents, and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books and papers on th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cret documents, the Japanese imperialists, who had been defeated, began to build a defensive position in preparation for the landing of US troops on the mainland in early 1945.,The Japanese government has planned a plan called “reunion operation” to defend itself.,This is a total of seven operational zones, six of which were built around the Japanese mainland, but the last operational zone, Resolution 7, was built on the Korean Peninsula, not Japan.,At the end of the war, the Korean peninsula was treated like a mainland and dragged into the middle of the war.
The best strategy to continue the war while minimizing the damage from air strikes was to “underground the main facilities.” As a result, underground work was undertaken in each operational area.,In the Korean Peninsula, underground paintings were made in Jeju Island and the southwestern coast, where U.S. troops were expected to land. Artificial caves found in mountains and coastal areas in these areas show this well.,As the war progressed, the Korean peninsula was gradually becoming a large bunker.
But the undergroundization of the Bupyeong Cho Byung-chang, which is far from the expected landing site of the U.S. military, was decided, which means that the undergroundization of Bupyeong and Jeju Island is different in character.,If Jeju Island and other countries were in the midst of battle, Bupyeong was a base for producing and supplying weapons. The undergroundization of Bupyeong Cho Byung-chang was a serious issue directly related to whether the Korean Peninsula could continue to fight.
This perception can be confirmed in the secret documents.,The document is divided into five parts, and the items related to undergroundization are mentioned in the strategy to achieve the goal of 'distribution and protection' in the fourth item 10.,"We distribute important things among the production facilities of Incheon Army Army and major private factories and make them underground facilities."
Another thing in the secret book is that it is in the appendix: “Progressive situation such as dissemination and protection of the theory” and “Progressive measures for dissemination of the theory”.,It contains the fact that the production facilities of the first artillery warehouse in Tokyo are moved to Bupyeong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e war.,The Japanese imperialists decided that 1.5 million rounds of live ammunition should be produced per month in order to fight until the end in Joseon and Manchuria, but the production power of Bupyeong Cho Byung-chang did not reach that.,Therefore, the plan to move the first military facility in Tokyo was promoted.
This was not just a suggestion. The first tank facility in Tokyo, which was moved to Bupyeong, was built and installed an underground factory, and a monthly plan was made to achieve this effectively.,It is scheduled to depart from Tokyo in April and arrive in Bupyeong in May and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machine by the end of the year.,“The construction was going to continue until the end of 1945, so the excavation work would have been completed in August,” Cho said. “We can see that the plan was to install large-scale facilities consider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upyeong underground lake.”
Underground Lakes Made of Forced Mobilization
If the government had actually tried to underground the Bupyeong Cho Byung-chang and accommodate the Tokyo First Manor's Chang facility, a vast excavation project would have been carried out.,The most important underground factory construction was the main part of the shipbuilding company, including Kajima-gumi, Nishimatsu-gumi, and Tobishima-gumi.
The Korean workers were forced to work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mong the fourth items in the document, the section of the section 8 of the Labor Management section is related to this.,This includes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ers in Cho Byung-chang and the plans for future mobilization.
“On March 1, 1945, there were a total of 11,300 workers in Bupyeong Cho Byungchang, of which about 9,000 were Koreans.,The additional labor force needed in 1945 is about 1,500 peopl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manufacturing plant, about 3,500 temporary personnel due to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about 8,000 people including supplementary vacancies.,All temporary personnel require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are forced to mobilize, and other measures are being taken to meet by the mobiliz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mobilization of the school.,As a new manufacturing company, about 600 workers (300 men and 300 women) are wanted to be added. In addition, the company plans to expand the number of employees as a school.,As of March 30, the number of Dongwon schools is about 930, and the major secondary schools in Incheon and Kyungsung are almost mobilized. "
What can be seen through the records is that first, Bupyeong Cho Byeongchang plans to establish a second manufacturing plant.,About 1,500 people needed for construction and about 600 people needed for new manufacturing facilities were to be forced to work; all about 3,500 people neede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were forced to work.,There were also coffin arrangements and school mobilization.,“The government agency is using recruitment and introduction through the governor general, which was actually forced mobilization,” Cho said. “The mobilization of the school was also in the newspaper at the time, and all the testimony confirmed was actually executed.”
The Japanese imperialists decided to mobilize half of the employees needed for the future. Most of the students from major secondary schools in Kyungsung and Incheon were mobilized on March 30.,This implies that the mobilization of the school to fill the manpower needed for Bupyeong Cho Byungchang will expand to other provinces in the future.,The fact that Cho Byung-chang was a Japanese invader of the Korean Peninsula was because there were people brought here from all over the country.
What was the aim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secret documents show the use of the Bupyeong Underground Lake, who made it, and how it was made. But the most important problem remains.,What does Bupyeong Cho Byung-chang underground painting and the relocation of Bupyeong of Tokyo's first Cho Byung-chang mean?,This will be more clear if the return of the Bupyeong Cho Byung-chang area is completed from the US military and further research is conducted along with the secret documents.,However, according to the secret documents revealed so far, the Japanese imperialists explicit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use the Korean peninsula as a gunman at the end of the war.
The Japanese government had a problem of responsibility for not surrendering easily by shouting “the mainland battle.” In fact, the main agenda of negotiations between the Japanese and Allied forces at the end of the war was the immunity of the Japanese king.,The government had to resist more intensely to gain the upper hand in the negotiations. The so-called “lockdown” was forced to keep the people from dying to protect the Japanese king.,At the same time, it was necessary to hurt the US military outside the mainland. The undergroundization of Bupyeong Cho Byung-chang and the reinforcement of weapons production facilities were a work that made the lockdown and large-scale consumable war possible simultaneously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mainland of Japan, the Korean peninsula was promoted as a sacrifice.,From the late 19th century, the Japanese imperialists established the idea that Joseon should be made a kind of breakwater, 'profit line', in order to protect the 'sovereign rights' meaning the mainland.,In fact, the two advantages of the war end, the transfer of weapons production facilities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attle are two advantages in terms of defense.,And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damage by dispersing the attack concentrated on the Japanese mainland.
In this regard, Cho has an interesting interpretation.,“The Japanese were looking for a way to avoid the worst moments when the territory was divided and occupied by the Allies,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defeat,” he said. “In fact, if such a situation occurred, we needed land to be provided as a scapegoat, but that was the Korean Peninsula.”,“The reason why this plan cannot be said to have failed is that postwar Japan was not divided, but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by the Allied powers,” he adde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Japanese imperialists were really trying to fight to the end, saying that they planned a long-term uprising on the Korean Peninsula by moving the facilities of the first military depot in Tokyo to Bupyeong.,The problem is that in this case, colonial Joseon take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Japanese war even though it is not related to the aggression.,“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concentrate its power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it thought that the U.S. military would take Okinawa and come up to the Korean Peninsula,” said Chung Hye-kyung, a representative researcher at the Japanese colonial mobilization and peace research group. “It was a battle for Japan, but it was thrown into the war for us,” he said.
The Japanese imperialists carried out the undergroundization of Bupyeong Cho Byungchang and did not deploy any air defense units, air defense networks, or air defense facilities.,At that time, a company of the 151st Regiment of Gosapo was deployed in Incheon, which includes Bupyeong. Only six Gosapo guns were equipped with air defense weapons.,It was not even a consideration that forced workers were killed in bombing.
The last thing to pay attention to is the title of the secret document, which is the report of the situation at the meeting of the subordinate commander in March 1945, Incheon Army Manpower Chang.,First of all, the underground of Cho Byung-chang and the transfer of Tokyo facilities were progressed so that the subordinate commanders gathered to discuss the issue and report the situation.,At least before March 1945, the decision makers had already made relevant judgments, which gives a glimpse of when and how much the Japanese government felt the sense of crisis over the defeat.
The presence of a situation report also means that there may be more documents left in March 1945, as well as April and May.,The Japanese imperialists have incinerated most of the major documents that could be evidence of postwar atrocities, but they can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y are kept in the journal as well as ordinary titles like the documents.,Cho's acquisition of the secret documents is not because he knew that there was a document there.,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ecure evidence rather than to think that "it will be gone already." In the future, Korea should discuss historical issues with Japan without any victims.
Value of Bupyeong Cho Byung-chang
After the report of the last Kyunghyang newspaper, people who claim that they should get rid of Bupyeong Cho Byung-chang sent an e-mail to reporters.,In particular, Internet real estate cafes criticized the logic of why they left Japanese military buildings and historical values, even though they were not independent.,They insisted on creating a lake park on the site to create a so-called Bupyeong Central Park. The story of Central Park is also a pledge of the local lawmaker Hong Young-pyo.,However, Hong has also pledged to promote the World Heritage List, including Cho Byung-chang.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Bupyeong Cho Byung-chang was the place where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held. There are signs of independence fighters in Cho Byung-chang.,Oh Sun-hwan, who was arrested after infiltrating to acquire the weapons manipulation technology of Cho Byung-chang and to carry out independence movement.,In 1943, there was Hwang Jang-yeon who organized the Goryeo Reconstruction Party in Cho Byung-chang and was caught the following year to obtain pistols and bullets and to lead them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Cho Byung-chang is a place that deals with weapons and bombing technology, so there were many people who came in for camouflage employment,” Chung said. “In particular,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people connect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r anti-Japanese independence groups, such as Hwang Jang-yeon, were more active in Cho Byung-chang.”,It is not that there is no historical fact that it is not well known.
The same goes for whether Bupyeong Cho Byung-chang has historical value. It is valuable in that it shows the plan to utilize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as revealed in the secret document.,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any remains of the documents and related remains except for Bupyeong. Most of the Japanese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ho Byung-chang building exist to date.,If the investigation into the construction process is carried out, lawsuits against them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There is also a sad reason for the Bupyeong area.,“When the Japanese Mobilization Committee received the damage, the Bupyeong area was not attracting much attention,” Chung said. “This was because of the uniqueness of the lack of awareness that it was a victim.”,The Japanese imperialists forced the people in Bupyeong to join the army and inject them into the military as “technicians, not simple workers.” As a result, they did not recognize that they were victims themselves.,It is also historically meaningful to objectify the damage of Cho Byung-chang's history even though it is late.
Experts who insist on the preservation of Bupyeong Cho Byung-chang do not claim that "all buildings should be left forever." The area of Cho Byung-chang was returned to some areas from the US military in 2019.,Even this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for environmental reasons, and no one knows what more remains of the place that has not yet been returned from the US military.,Their argument is that at least once the buildings are intact, we should investigate them.
I asked about 10 historical experts who met during the coverage, "Can you record the building before it is demolished or restore it in the future?",Without a single exception, the answer was "no such investigation".,In particular, Cho, who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pyeong underground and Cho Byung-chang, said, "If Bupyeong Cho Byung-chang is demolished and left only the underground lake, what does it mean historically?"
The Truth of Ping Pong Games
After the Kyunghyang Newspaper reporte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visited the Cho Byung-chang area in Bupyeong on the 2nd,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firmed the building of 1780, which is scheduled to be demolished, and asked Incheon City to postpone the demolition.
“We received a letter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re is nothing we can do,” said an Incheon city official. The decision to remove the document is still a matter of decision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ot Incheon City.,In the meantime, it was proposed based on Article 12 of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Areas around the USFK Donated Zone (Special Act on USFK).,“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responsible for removing the pollution,” an Incheon city official sai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right to decide to dismantle the building.”,“We are checking the work schedule from time to time because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re in talks to do so,” he said.
The ministry also asked the ministry again, saying in a written reply, “The ministry has no authority to decide whether to remove it.,“The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contaminated by the law are a system in which demolition is carried out depending on whether local governments are used or not.” The local government means Incheon city.,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law cit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also Article 12 of the Special Law on the USFK, which means that the two institutions claim that the same law was "not decided" by the shield.
The Kyunghyang Newspaper reviewed how each institution interprets the law to find the cause of the unfinished "Ping Pong game." As a result, the difference was found.,This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exception clause of Article 12 of the relevant Act.,This means that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should remove pollution from the land returned from the US military, and if the project operator wishes to continue to utilize ground or underground facilities, he may not remove it.
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ficial said, "If the local government continues to use the building as it is in the law, it will be granted free of charge.,“We cannot remove the building at will because it is not a simple matter,” he said. “In the end, the decision of Incheon city will determine whether to demolish or preserve the building.,In fact, Incheon city delivered its opinion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under the title of 'Use Plan'.,An Incheon city official said, "Since the plan to utilize the building recently was difficult to clean up whil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tained the building, we sent a plan to utilize it reflecting the opinion of demolition decided by the Citizens' Participation Committee."
Intermediate arrangements are need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First, the law has an exception clause that would not remove the building 1780.,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aid that if Incheon city says, "Do not dismantle it," it will be granted free of charge. Incheon city sent a plan to use the contents of "Remove it"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Citizens' Participation Committee.,If so, how can Incheon city claim that we did not make a decision to remove it?
“The law says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remove pollution and that if it wants to continue using the building, it will be removed and it will be removed as no,” said an Incheon city official. “In the end, the plan is only a reference and the decision is decid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In other words, Incheon city only delivered opinions.
In the e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aid that Incheon city made a decision because Incheon city delivered the plan to use it to remove it, and Incheon city decided that the plan was a simple reference.,Both organizations seem to be in a fierce confrontation, but they are not. Both sides said they were worried that their counterparts would misunderstand.,The two agencies are considering their opponents, and only buildings that no one has decided to demolish will disappear. The Kyunghyang Newspaper first summar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des because there is no sign of problem solving.
There is hope, though
The building 1780 is still in danger of being demolished, but it is not hopeles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aid, “We received a request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 a suspended demolition and are reviewing the relevant details.”,“The removal of asbestos from the building, which was scheduled for August 9, was postponed, and the scheduled demolition schedule for the 20th was also suspended,” a Defense Ministry official said.
It is because of the public's interest that led to such a decision.,In fact, a petition was posted on the bulletin board of the Cheong Wa Dae National Petition on the 2nd, a day after the Kyunghyang Newspaper article was reported, saying, Incheon City should not demolish the Cho Byung-chang building.,The article was adopted as a formal petition and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petitioning. Incheon citizens are also interested.,The National Trust for Cultural Heritage and the Korea National Trust held the 19th 'Let's Keep It Only Here' civic contest, which included Cho Byung-chang Hospital (building 1780) at the Bupyeong U.S. Army Base among the three applications filed in Incheon.
It is not just parks with lakes that older generations should leave behind for later generations; the evidence and lessons of the war of aggression that should not be repeated twice may be worth more than a lake.,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anyone can learn and confirm Korean history because of the efforts of local residents who protected the remains.,The 1780 building was in danger of disappearing without anyone deciding to demolish it. The Kyunghyang Newspaper will record the fate of the building to the end.
Kim Chan-ho reporter flycloser@kyunghyang.com
[일본어 번역]
1945年3月、隷下部隊長の会合時の状況報告、仁川陸軍操兵倉(インチョン・ユクグン・ジョビョンチャン)という文書が、タイトルだけを見れば定例報告のように見える。,しかし、朝鮮半島の戦争終盤の利用計画と侵略状況がそのまま含まれているため、合計120ページの内容は「極秘」に分類されている。,文書が扱う地域は現在、仁川市富平区にある米軍基地‘キャンプマーケット’、昔の名前は仁川(インチョン)、日本陸軍ジョビョンチャン(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だ。
極秘文書では注目すべきことは大きく2つだ。 「朝鮮人を強制動員して趙炳昌を地下化する」、「東京第1趙炳昌を富平に移す」。単純に見えるが恐ろしい意図が込められた。,日本は富平趙炳昌を地下化し、侵略戦争を継続しようとした。同時に、生産施設を富平に移し、東京に集中する米軍爆撃を分散しようとした。,戦争は続くが、危険は転嫁しようとしたのだ。
文書の計画は実際に行われました。富平地域のいたるところに残った日帝時代の痕跡は、当時の計画をそのまま反映した。,極秘文書に添付された地図を持って富平一台を回れば、日本遺跡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ほどだ。これまで遺跡が「なぜそこにいるのか」、「何の用途なのか」誰も知らなかっただけだ。
京郷新聞は1日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遺跡が撤去されるという事実を報道した。,病院施設として知られている別名1780号の建物が撤去される理由とその決定過程を明らかにするために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の歴史的価値は、後続の報道に先送りした。,このため、「歴史的価値がない日帝時代の建物をなぜ残さなければならか」という主張もあった。
これまでのところ、富平(プピョン)のチョ・ビョンチャン遺跡の歴史的重要性は、まれに知られていない事実ではなく、日本が直接書いた極秘文書として確認された。,新たに発表された事実は、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遺跡の重要性をさらに強調させる。ただし、現在までに明らかに事実は時間、人材、米軍基地アクセシビリティという制約の中で見つけたものである。,富平は明らかに事実よりもまだ明らかにジギル待っている話が多い。
■ ‘塩辛’ 土窟
去る7月26日、仁川地域の真昼の天気は34度を超えていた。富平文化院キム・ギュヒョクチーム長の案内を受けて上がったハムボンサンも熱い空気でいっぱいだった。,山の斜面に沿って歩いていた金氏は、陸軍第3歩兵部隊の裏側が見える場所で止まった。彼の指は「ここに」という言葉で方向を指していた。,岩の隙間の間くぼみに入ったところには、固く閉じた鉄門があった。
鉄のドアを開けると、別の世界が開き、無限の洞窟が開き、各ステップが踏み出すと、洞窟は「クール」を超えて「寒い」と感じました。,金チーム長が用意してきた懐中電灯を手にしたところ、洞窟の長さは150メートル程度で、中に入るほど左側に曲がる構造が特徴だという。,それをチェックするために、彼は出口を開いて、中に入った。彼はどれくらい歩いたのですか?後部から光が消えた。
洞窟の内部は4〜5人並んで歩くことができだろうと思うほど広かった。天井の高さもキーが182cmの記者が歩くの不便さがなかった。,もう5分、彼はついに洞窟の端に着いた。彼はここで懐中電灯を消すと言った。彼は光が消えた。文字通り黒く暗かった。
数秒後、私はスペースがなくなったので、私は立ち止まるのを恐れていた。私は光が点灯するのを待っていた。,懐中電灯や携帯電話が見逃されたら、私は死ぬだろうと思いました。しばらくして、私は「懐中電灯をオンにします」と叫んで、空間が明るくなった。,「明るい光も、寒さを防ぐ防寒服もなく強制動員された労働者が、ここを作った」という説明と一緒にいた。
極秘文書は、この洞窟が日本が富平趙炳昌の地下化のために作られたことを証明する。,ハムボン山の裾には、これらの地下号には合計13の地下号があります。これはこれまでに発見された数字です。誰もどれくらいの期間を知らない。,実際に米軍基地である「キャンプマーケット」まで範囲を拡大すると発見された地下号は、合計21個に増える。元の4つより発見されたが、ヴィラを建てる工事中に破壊された。,もし極秘文書通り工事が完了した場合、現在確認されたものよりも3〜4倍以上の地下施設ができるようになる。
洞窟は2016年までに「塩辛」の保管と販売に使用されました。そのため、この地域では「塩辛の地下」として知られている人もいます。,洞窟は、大人のグループの周りに日本に関わっていたと言われました。しかし、それは噂として認識されました。,「富平洞窟が仁川港まで接続される」という式の誇張された噂は、むしろ洞窟が日本と関連したという主張の信憑性を下げた。当時強制動員された人々も事情は似ていた。,日本人は労働力の搾取に伴い、日本人の間で情報が独占していた。
洞窟が日帝が作った地下号だと明確に認識したのは2017年頃だ。,隠された洞窟は、このプロセスでさらに発見されましたが、正確な使用は不明でした。
極秘文書は、地下施設の建設から運営まで、日本の総合計画のすべてを含む、この問題に対する答えを提示する。,文書の中の地下化計画と円形のまま保存されている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建物を接続してみると、価値は倍になる。,戦争の終わりに、敗戦に追い込まれた日本の「非合理的」構想を一つ一つ確認できるからだ。簡単に言えば、富平は、文書と実際の遺跡の両方が存在する一種のタイムカプセルのような状態だ。
■1945年、本土決戦 "主要施設を地下化しろ"
長期間見つからなかったデータは、日本の防衛防衛研究所で発見され、北東アジア歴史財団の条件研究員は、極秘文書の内容を初めて確認した。,彼は日本陸軍一般飼料の中で‘隷下部隊長会合時兵器生産状況報告’という文書鉄の中で該当文書を訪れた。,当時日本兵器行政本部は、管轄ジョビョンチャンにその年の生産軍需物資の現状と計画、関連施設建築などの報告を命令した。,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も毎年兵器行政本部に実態と計画を報告したが、二重1945年3月の報告資料が残っていたのだ。,ジョー委員はすぐに文書を翻訳し、分析し、現在これに関する本と論文出版を控えている。
極秘文書の意味を理解するためには、戦況を調べなければならない。敗戦を重ねていた日本は1945年初めに米軍の本土上陸に備えた防御陣地の構築に乗り出した。,いわゆる「本土決戦」という最後の戦争準備だ。日本は防衛のために「決戦作戦」という計画を立案した。,これは、作戦区域を合計7つに分けることで、二重6つの作戦区域が日本本土を巡って作られたが、最後の作戦区域「決7号」は日本ではなく韓半島に作った。,戦争終盤に至って、韓半島を本土のように扱い、戦争の真ん中に連れて行ったのだ。
戦争を継続する最良の戦略は、空襲の被害を最小限に抑えながら、主要な施設の地下化でした。したがって、各作戦区域で地下化作業が開始されました。,朝鮮半島では、米軍の着陸が予想された済州島や南西海岸一帯の地下化が行われた。これらの地域の山、海岸などで発見された人工洞窟は、これをよく示している。,戦争が進むにつれて、朝鮮半島は徐々に大きなバンカーに変貌していた。
予想される米軍の上陸地点と距離がある富平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も地下化が決定された。これは富平(プピョン)と済州島(チェジュド)一帯の地下化が性格が違うという意味だ。,済州島が戦闘の真剣さだったら、富平は武器を生産し供給する基地だった。富平趙炳昌の地下化は、韓半島で戦争を継続できるかと直結する重大な事案だった。
この認識は、極秘文書でも確認することができます。,文書は5つの部分に分かれています。地下化に関連する項目は、第4の項目の第10項「分散と防衛」の目標を達成するための戦略に言及されています。,「仁川陸軍ジョビョンチャンおよび主要民間工場の生産施設の中で重要なことを分散して、また、これを地下施設とする」という内容だ。
極秘文書には、別の特記がある。これは付録に出てくる。「移設分散と防護などの進捗状況」と「移設分散防護実施要項」という文書である。,ここには戦争遂行のために東京第1条兵倉の実砲生産設備を富平に移すという内容が盛り込まれている。,日本は朝鮮、満州などで最後まで戦闘を払うために月に150万発の実弾生産が可能でなければならないと判断した。,これ東京第1ジョビョンチャン施設を移す案を推進したものである。
富平に移った東京第1条兵倉施設は地下工場を建設し、設置し、これを効果的に達成するための月別計画も作成された。,4月中に東京を出発し、5月中に富平に到着し、年末までに機械のインストールを終える予定だ。,チョ委員は「1945年末までに工事が続く予定だったので、8月には掘削工事が仕上げされる程度だっただろう」とし「現在富平地下号の高さ、幅などを勘案すると、大規模な設備を装置する計画だったことがわかる」と説明した。
■強制動員で作った地下号
実際に富平趙炳昌を地下化し、東京第1趙炳昌施設まで収容しようとしたら、膨大な掘削工事が進行されたものである。それなら、工事に誰が参加したのかも出なければならない。,最も重要な地下工場の建設には、造船会社を主軸に、行かないで、西松、逃げ島、島亀尾などが参加した。
工事に実際に動員され労役をしたのは強制動員された朝鮮人だった。 文書の第4項目のうち第8項‘勤労管理’部分にこれに関連した内容が出てくる。,チョ・ビョンチャンの労働者の現状と今後の動員計画について詳細に記載されている。
「1945年3月1日、富平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に所属する全労働者は1万1300人だった。,1945年度に追加で必要な労働力は、第2製造所の新設に伴う約1500人、地下工事などによる一時的要員約3500人、欠員補充まで含めると、約8000人である。,地下工事などに必要な臨時要員は全員強制動員し、そのほかは管斡旋や学徒動員によって満たすように施策している。,新製造所の要員として約600人(男300人、女性300人)の増員を手配しているが、この他に将来は学徒として従業員の半数を拡充しようとする。,3月30日現在、動員学徒数は約930人で、仁川(インチョン)と京城(キョンソン)の主要中等学校はほぼ動員した状況だ。
記録を介して知ることができるのは、まず、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は、第2製造所も新設する計画だった。,建設に必要な約1500人の人員と、建設のための新しい製造所の職員に必要な約600人の人員が強制的に動員される予定でした。地下建設のために必要な約3500人の人員はすべて強制的に動員された。,棺の斡旋と学徒動員もあった。,チョ委員は「管斡旋は総督府を通じた募集と紹介などの方式を利用するということだが、これは事実上強制動員だった」として「学徒動員は当時新聞にも出てきて証言でも確認されているところ、すべて実際に実行された」と話した。
日本は、将来に必要な従業員の半分も学徒動員をすることにした。すでに3月30日当時京城、仁川地域の主要中等学校の生徒はほとんど動員された。,これは、今後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に必要な人材を埋めるための学徒動員が他の地方に拡大することを示唆している。,富平(プピョン)の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が、朝鮮半島の日本侵略の直後に、全国から引きずられた人々があったため、文書はこれらの事実を証言している。
■日本は何を狙ったか
極秘文書は、富平地下号の用途から、これを誰が、どのように作ったのかまで示しているが、最も重要な問題が残った。,「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地下化」と「東京第1ジョビョンチャンの富平前」が代替何を意味するのかである。,これは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地域が米軍から返還が完了し、極秘文書などと一緒に追加の研究が進めば、その意味がより一層明らかになるだろう。,ただし、現在までに明らかになった極秘文書などを見ると、日本は戦争終盤、韓半島を‘弾丸受け’として使おうという考えを露骨に表わした。
日本が「本土決戦」を叫んで簡単に降伏しなかったことには、「責任」の問題があった。実際には、戦争終盤日本と連合軍間の交渉の主な議題は、「王の免責」だった。,交渉で優位性を得るためには、より激しい抵抗が必要でした。新民が王を守るために死を拒絶しないといういわゆる「玉砕」が強制された。代表的な例は沖縄です。,同時に、米軍は本土の外で打撃を与える必要があり、富平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の地下化と武器生産設備の強化は、朝鮮半島でも玉砕と大規模な消耗戦を同時に可能にする作業だった。
日本本土の被害を最小限に抑えるため、韓半島を「犠牲羊」に掲げたものでもある。,日本は19世紀後半から本土を意味する「主権線」を守るために、朝鮮などを一種の防波堤である「利益線」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考えを確立した。,戦争の終わりに、武器生産施設を朝鮮半島に移し、戦闘を続けると、防衛的な側面で2つの利点があります。,そして、日本本土に集中している攻撃を分散させて被害を減らす効果を期待することができる。
これと関連しジョー委員は、一つの興味深い解釈を出す。,彼は「日本は敗戦の責任を負い、連合国によって領土が分割占領される最悪の瞬間を免れる方法を探していた」として「実際にそのような状況が発生した場合、犠牲として提供する土地が必要だったが、それが韓半島だった」と話した。,また「この計画が失敗したと言えないのが戦後日本は分割されなかったが、韓半島は連合国によって分割されたため」と付け加えた。
日本が本当に最後まで戦おうとしたという解釈も可能だ。 東京第1条兵倉施設を富平に移し、韓半島で長期抗争を計画したという。,問題は、この場合、植民地朝鮮は侵略行為と関係がないにも日本の戦争責任を抱え込むことになる。,チョン・ヘギョン日本強制動員&平和研究会代表研究委員は「当時日本は米軍が沖縄を占領して韓半島に上がってくると考え、戦力を韓半島に集中させようとした」として「日本の立場では勝負を投げただろうが、我々の立場では戦争に弾丸受けに投げられた」と話した。
日本は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地下化を実行し防空部隊や防空網、防空施設などを事実上何も配置しなかった。,当時、富平を含む仁川(インチョン)地域には、高射浦(コサポ)第151連隊1個中隊が配備された。,強制動員された労働者が爆撃で死亡する場合は、考慮対象でもないのだ。
日本人の意図を分析し、最後に注意を払うべきは、1945年3月の<UNK>下部隊の会合での状況を見て、仁川陸軍の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の「極秘文書」のタイトルです。,まず、隷下部隊長が集まって、この問題を議論して状況報告をしたほどジョビョンチャンの地下化、東京施設の移転は進捗した段階だったという点である。,少なくとも1945年3月以前には、決定者はすでに関連する判断を下したことを意味し、日帝が敗北の危機感をいつ、どの程度感じていたかを垣間見る。
また、状況報告文書があるということは、1945年3月だけでなく、4月、5月のように文書が残っているかもしれないことを意味する。,日本は戦後の蛮行の証拠となる可能性のある主要文書を大部分焼却したが、その文書のように平凡なタイトルで、また文書鉄の中に挟まれて保管されている可能性は排除できない。,チョ委員が極秘文書を確保したのは、そこには、文書があることを知っていたからではない。,今後、韓国は被害当事者なしで日本と歴史問題を争わなければならない。
■富平 趙炳昌の価値
過去の京郷新聞報道後、「富平趙炳昌をなくさ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する人々が記者にメールを送ってくることもした。,特に、インターネット不動産カフェなどでは‘独立運動をしたところでもないのに、なぜ日本軍の建物を残しておくか’、‘歴史的価値があるのか’という論理で批判した。,彼らは、いわゆる「富平セントラルパーク」を建設するために、サイトに「湖公園」を作り出すと主張した。これは、ホン・ヨンピョ議員の総選挙公約でもある。,しかし、ホン議員はジョビョンチャンなどの世界文化遺産登録推進も同時に公約している。
チョ・ビョンチャンは独立闘士の痕跡がある。チョ・ビョンチャンの片隅に「朝鮮独立万歳」と書いた紙を貼った仁川工業職業学校2年生のヤン・ジェヒョン。,趙炳昌の武器操作技術を習得して独立運動をしようと潜入したが逮捕された誤循環。,1943年ジョビョンチャン内で考慮再建党を組織し、翌年拳銃と実弾を入手して臨時政府に導くしようと捕まったファンジャンヨンがある。,チョン委員は「趙炳昌は武器、爆破技術などを扱うところなので偽装就職をして入ってくる人が多かった」として「特にファン・ジャンヨン先生のように臨時政府または抗日独立団体とつながった人物が趙炳昌内でより活動した可能性を排除できない」と話した。,よく知られていなかった歴史的事実がないことになるわけではない。
富平(プピョン)の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が歴史的な価値があるのかという部分も同じだ。極秘文書を通じて明らかにしたように、ここが戦争終盤の日帝の韓半島活用計画を示すという点で価値がある。,特に、文書に関連する遺跡が同時に残っている場合は、富平を除けば、参照は難しい。これだけではない。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の建物を作るために参加した日本企業のほとんどが現在まで存在する。,建設過程の調査が進めば、今後、これらの訴訟も十分に可能である。
富平地域に絡み合った残念な理由もある。,チョン委員は「日帝強制動員委員会が被害受付を受けた当時、富平地域は大きく注目されなかった」として「これは自ら被害者という認識がないという独特さのためだった」と話した。,日本は富平地域の人々をチョ・ビョンチャンに強制動員し「君たちは単純労働者ではなく技術者」と注入した。 その結果、自ら被害者であることを認知していない状況が発生したのだ。,ジョビョンチャン歴史を明らかにすることは遅ればせながら、これらの被害事実を客観化するという歴史的意味も持つ。
富平(プピョン)の趙炳昌(チョ・ビョンチャン)の保存を主張する専門家は、「すべての建物を永遠に残せ」と主張するものではない。,環境浄化などのために、これまでに一度も調査を行わなかった。米軍からまだ返されていないところには、何が残っているのか、誰も知らない。,これらの主張は、少なくとも建物が完全な状態で一度でも調査をしようというものである。
取材中に会った10人余りの歴史専門家たちに共通的に「建物を撤去する前に記録をしたり、今後の復元をして調査することもできるか」と尋ねた。,ただ一人の例外もなく、「そのような調査はない」という答えが戻ってきた。,特に、富平地下号とジョビョンチャンの関係を明らかにしたチョ委員は「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を撤去して地下号だけ残しておけば、それが歴史的に何の意味があるでしょうか」と話した。
■ピンポンゲームの真実
京郷新聞報道後、文化財庁は去る2日富平ジョビョンチャン地域を再訪問した。 文化財庁は撤去が予定された1780号建物を確認し仁川市に‘撤去を猶予せよ’と要請した。
これに対し仁川市関係者は「文化財庁公文書は受理された。特に私たちができることはない」と話した。撤去決定は依然として‘仁川市ではなく国防部決定事案’ということだ。,それとともに‘在韓米軍供与区域周辺地域など支援特別法’(在韓米軍特別法)第12条を根拠に提示した。,仁川市関係者は「国防部に汚染除去責任がある」として「建物撤去決定は国防部で行ったのが正しい」と話した。,作業日程は環境公団と国防部が協議して進行するので、私たちも頻繁に確認する立場」と話した。
国防部は、国防部にも再び立場を尋ねた。国防部は書面回答で「存置、撤去するかどうかの決定権限は国防部にない。,法により汚染された地上水・地下埋設物は自治体の活用状況に応じて撤去が行われるシステムだ」と答えた。,興味深いのは、国防部が引用した法律も、在韓米軍特別法第12条であるという点である。つまり、両機関が同じ法を盾に「私たちが撤去を決定しなかった」と主張する状況である。
京郷新聞は、各機関が法律をどのように解釈するかを調べて、両機関の終わらない「ピンポンゲーム」の原因を探った。,該当法第12条の例外条項解釈だ。,これは国防部長官は米軍から返された土地から汚染などを除去するべきなのに「事業施行者が地上物や地下埋設物の継続活用を希望する場合には、除去しないことができる」ということだ。
国防部関係者は該当条項を巡り「法に出ているように自治体が建物を引き続き活用するとする場合、無償でそのまま譲与することになる。,簡単な問題ではないので、国防部勝手に建物を撤去できない」と話した。結局、仁川市の意思によって鉄や存置が決定されるということだ。,実際仁川市は‘活用計画’というタイトルで国防部に意見を伝えた。,仁川市関係者は「最近出た活用計画は国防部で建物を存置しながら浄化が難しいというので、市民参加委員会で決定した‘撤去意見’を反映して活用計画を送った」と話した。
理解が難しいため、中間定理が必要です。まず、法律には、建物1780を解体しない例外があります。,国防部は該当例外条項により仁川市が‘撤去してはならない’とすれば無償譲与するという立場だ。 仁川市は市民参加委員会の意見を反映して‘撤去せよ’という内容の活用計画を送った。,もしそうなら、仁川市はどのように「撤去決定は、私たちがしなかった」と主張することができるのだろうか。
仁川市関係者は「法には国防部が汚染を除去しなければなら‘する’と出て、建物を継続活用し続けることを望む場合には除去し‘ないことができる’と出てくる」として「いやできるということは結局、活用計画は参考事項に過ぎず決定は国防部がすることで我々は判断している」と話した。,簡単に言えば、仁川市は意見だけを伝えるだけだということだ。
最後に、国防部は仁川市が撤去するように活用計画を伝えたため、決定を仁川市がしたというものであり、仁川市は活用計画は、単純な参考事項であるだけなので、決定を国防部がしたというものである。,両機関は激しく対立しているようだが、実際にはそうではない。取材開始以来、両方とも「相手が誤解するか心配だ」とした。,両機関が相手に配慮する間、誰も撤去を決定していない建物だけ消える危機だ。 問題解決の兆しが見えないので、双方の立場の違いを京郷新聞が優先整理した。
■それでも希望はある
1780号の建物はまだ撤去の危険の中にいるが、希望がないわけではない。国防部は「文化財庁から‘撤去猶予’要請を受け、関連内容を検討している」と答えた。,国防部関係者は「8月9日に予定された建物のアスベスト除去作業は延期され、これにより20日に予定された撤去日程も猶予された」と明らかにした。
このような決定を導いたのは、国民の関心のおかげだ。,実際に京郷新聞記事が報道され、一日後の去る2日、大統領府国民請願掲示板に‘仁川市はチョ・ビョンチャン建物を撤去しないで’という内容の請願が上がってきた。,この記事は正式請願として採択され、現在‘請願進行中’である状態だ。,文化遺産国民信託と韓国ナショナルトラストが第19回‘ここだけは必ず守ろう’市民公募展を開催したが、仁川で申請された3ヶ所のうち‘富平米軍基地チョ・ビョンチャン病院(1780号建物)’が含まれた。
湖の公園は、後世代に既成世代を残さなければならない唯一の公園ではありません。侵略戦争の証拠と教訓は、再び繰り返さないように湖以上の価値があるかもしれません。,誰もが韓国の歴史を学び、確認できるのは遺跡を保護した、地域住民の努力のおかげであることも忘れてはならない。,1780号の建物は、誰も撤去を決定していない状態で消える危機に置かれた。京郷新聞は、その建物の運命を最後まで記録する予定である。
キム・チャンホ記者flycloser@kyunghyang.com
'세상논란거리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에 치인 목줄안한 개.."수리비" vs "치료비", 결과는? (0) | 2021.08.07 |
---|---|
마스크 착용 요구에 흉기난동..테이저건 쏴 제압 (0) | 2021.08.07 |
"학대 아닌 훈육..엄마들이 육아 무식"..원장의 속내 (0) | 2021.08.06 |
"야구 동메달 따도 병역면제 안됩니다" 국민청원 폭주 (0) | 2021.08.06 |
"코로나19보다 무서운 건물주..막무가내 공사로 피해" (0) | 2021.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