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국제

日, 아프간에 수송기 급파했지만 구조 '0명'..한국 어떻게 달랐나

by 체커 2021. 8. 26.
반응형

다음

 

네이버

 

수송기 총 3대 파견했지만 현지 대기 중

아프간 대피 작전 위해 파견되는 日자위대 수송기 - 일본 정부는 23일 항공자위대 소속 C-130 수송기 1대를 아프가니스탄에 파견했다. 현지 거주 일본인과 일본대사관,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에서 근무한 아프간 직원과 그 가족을 대피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 사이타마현 이루마 공군기지에서 이륙 준비를 하는 C-2 수송기 모습. 2021.8.23 AFP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에 남아 있는 일본인과 아프간인 협력자들을 일본으로 데려가기 위해 수송기를 급파했지만 희망자들이 공항에 닿지 못해 대피 작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26일 일본 NHK방송은 아프간에 남아 있는 일본인과 대사관에서 일했던 아프간 직원들의 탈출을 위해 자위대 수송기가 25일 밤 카불 공항으로 향했지만 대피 희망자들이 공항에 도착하지 못해 수송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日 “공항까진 자력 이동하라”…도착 인원 ‘0명’

아프간 대피 작전 위해 파견되는 日자위대 수송기 - 일본 정부는 23일 항공자위대 소속 C-2 수송기 1대를 아프가니스탄에 파견했다. 현지 거주 일본인과 일본대사관,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에서 근무한 아프간 직원과 그 가족을 대피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 사이타마현 이루마 공군기지에서 이륙 준비를 하는 C-2 수송기 모습. 2021.8.23 EPA 연합뉴스

일본 항공자위대는 지난 23일 아프간에 거주 중인 일본인과 일본대사관,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에서 근무한 아프간인 직원과 그 가족을 대피시키기 위해 C-2 수송기를 파견했다.

일본 사이타마현 이루마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자위대의 C-2 수송기는 파키스탄의 이슬라마바드를 거쳐 25일 밤 카불 공항에 도착했다.

자위대 수송기는 카불 공항에 대피 희망자가 있을 경우 이슬라마바드로 수송할 계획이었지만 공항에 도착한 사람이 아무도 없어 25일 대피 작업은 이뤄지지 않았다.

NHK는 “일본 정부가 대피 작업의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대피 희망자들에게 공항까지는 자력으로 이동하도록 요구했는데, 현지에서 혼란이 계속되고 있어 공항에 도착하지 못한 사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가 군 수송기를 급파해 한국 정부에 협력한 아프간인과 그 가족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미국의 협조 하에 현지 전세버스를 대절, 거의 대부분의 인원을 공항까지 무사히 이동시킨 것과 대조적이다.

일본 자위대는 선발대인 C-2 수송기 파견 이후에도 C130 수송기 2대를 추가로 파견했다. 25일 밤 파키스탄에 도착한 C130 수송기 2대는 26일 카불과 이슬라마바드를 오가며 아프간인 협력자 등을 대피시킬 예정이다.

카불 공항에 연일 몰려드는 아프간인들 -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국제공항 주변 도로에 20일(현지시간) 국외 탈출을 희망하는 민간인들이 대거 몰려들고 있다. 2021-08-21 카불 AFP 연합뉴스

그러나 탈레반 측이 지난 24일 자국민의 출국 금지를 선언해 곳곳에서 검문을 벌이고 있고, 여전히 카불 공항 주변이 대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탈레반 대변인은 “공항으로 가는 길이 차단됐다. 아프간인은 그 길로 공항에 갈 수 없고, 외국인만 공항에 가는 것이 허용된다”면서 “아프간인들이 (아프간을) 탈출하는 것이 불쾌하다. 더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의 대피 작업은 미군의 현지 철수 때까지만 진행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달 말 예정된 철수 시한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대피 희망자들이 철수 시한 전까지 공항에 닿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자위대가 26일에는 가능한 한 많은 인원을 수송하길 원한다고 NHK는 전했다.

독일 첫 철수기엔 7명…탈출 실패 사례 속출

독일, 아프간 대피 위한 군 수송기 파견 -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독일인과 아프간인 협력자 등을 대피시키기 위해 17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공항에 착륙한 독일 공군의 에어버스 A400M 군 수송기. 2021.8.18 AFP 연합뉴스

 

세계 각국이 자국민 외에도 자국에 협력한 아프간인과 그 가족들을 함께 대피시키기 위해 항공기를 파견했지만 계획했던 인원을 제대로 대피시키지 못하는 일이 속출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첫 아프간 철수기에 겨우 7명만 태우고 출발했다. 다행히 두 번째 철수기는 독일인과 아프간인 등 120여명을 태우고 카불 공항에서 이륙했다.

네덜란드는 지난 17일 밤 카불 공항에서 자국민과 대사관 직원, 통역원과 그 가족 등 최대 1000명을 태우고 이륙할 계획이었지만 명단에 있던 인원 중 단 1명도 태우지 못했다.

벨기에 역시 군용기에 1명도 태우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이 현지 전세버스 협력…한국 비상연락망 ‘탄탄’

- 한국 정부와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들이 국내 이송을 위해 카불 공항에 도착한 한국 공군 수송기에 탑승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2021.8.25 외교부 제공

반면 우리 정부의 현지인 대피 작전은 기적에 가까울 정도로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리 정부도 아프간에서 한국에 협력해온 현지인 직원과 배우자, 미성년 자녀, 부모 등 427명을 대피시키기 위해 군 수송기를 급파했다.

우리 군 수송기에 최종 탑승한 인원은 391명으로, 약 36명이 계획보다 적었다. 한때 이들 36명이 탈레반의 방해와 카불 공항 주변 혼란 등으로 탈출길이 막힌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외교부는 “36명 중에는 국내 잔류나 제3국행을 결정한 이들도 있었다”면서 “원하는 사람은 100% 나왔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 수송기로 대피한 391명 중에는 절반 가까이(46%)가 10세 이하인 것으로 전해졌다.

- 한국 정부와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들이 국내 이송을 위해 카불 공항에 도착한 한국 공군 수송기에 오르고 있다. 2021.8.25 외교부 제공

우리 정부 역시 현지 탈출 여건 악화로 우려가 커지던 가운데 미국 측이 해결책을 제시해 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이 거래하는 아프간 버스회사에 협력자들을 태운 뒤 버스가 탈레반 단독이 아닌 미군과 함께 지키는 검문소를 통과하도록 하자는 방안이었다.

여기에 대사관, 병원,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기관별로 탄탄히 구축됐던 연락망을 통해 일사불란하게 대피 작업이 진행됐고, 이들은 버스 6대에 나눠 타 공항으로 이동했다.

한국행 수송기에 탑승한 이들은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아프간에서 예전 한국군 파병시 협조를 했던 이들을 데려오고 있는 가운데.. 다른 국가에서도 해당 국가에 협조를 한 현지인들의 대피가 그리 쉽지 않다는 내용의 보도입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한국의 현지인 철수 작전은 잘 했다는 내용의 보도입니다.

 

어찌보면 자화자찬일 수도 있긴 한데.. 그래도 한국에 협조했던 이들을 버리지 않고 챙겼다는 건 사실이니 나중에 국제사회에서 좋은 이미지로 남을 것 같긴 합니다..

 

특히나 일본은 자위대 군수송기를 보냈음에도 아직도 데려오지 못하고 공항에서 대기중이라 하는군요..

 

왜냐하면.. 데려올 이들에게 공항으로 알아서 오라고 통보를 했기 때문.. 그리고 탈레반이 공항주위로 검문소를 설치.. 운영해서 공항에 가기가 쉽지 않다는 것 때문이네요..

 

하지만 한국정부와 한국군은 미국의 협조를 받아 미국과 거래중인 버스회사의 차량을 얻어 운영하였고.. 검문소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텔레반과 미군이 같이 있는 검문소만을 골라 이동을 하여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통과를 했다고 합니다..

 

버스 운영시.. 한국에 관련된 인원만 이동을 했는가 싶은데.. 왜냐하면 이동이 가능한 수단이 있을 때.. 타 국가와의 협조를 통해 같이 이동했다면 좋았을지도 모르니까요.. 나중에 도움을 또 받을 수 있을테니..

 

거기다 비상연락망도 원활히 운영되어 결국 아프간 체류와 제3국가를 선택한 이들을 뺀 나머지 모두를 구할 수 있었다고 언론사는 보도했군요..

 

다른 국가에 있는 우리 교민들도 이번 사례를 알고 교민들간 비상연락망 유지와 비상시 대피절차등을 점검하는게 어떨까 싶군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