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대기업 쏠림에 '서울 사무실'서 일하는 직원만 87만명

by 체커 2022. 2. 28.
반응형

다음

 

네이버

 

[MT리포트]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적 '디바이어던(Diviathan)'③수도권 대기업 계열사 직원수 분석


[편집자주] 전 국토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절반 이상의 인구가 몰려있는 게 대한민국의 현실이다.수도권은 치열한 경쟁에 시달리고 비수도권은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했다. 국가의 균형발전을 막고 있는 장애물로 일자리와 교육, 의료, 문화 등이 꼽힌다. 우리나라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누는(Divide) 괴물(Leviathan)과 같은 존재들을 '디바이어던(Diviathan·Divide+Leviathan)'으로 규정하고 연속으로 짚어본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81명으로 역대 최저기록을 갈아치웠다. 연간 출생아수는 26만500명에 그쳤다. 이 역시 역대 최저기록이다. 20년 전인 2001년 출생아수는 약 56만명이었다. 20년 동안 반토막난 출생아수는 '초저출산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다양한 요인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거론되지만, 균형발전 측면에서 저출산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분석도 꾸준히 나온다. 청년들이 교육과 취업을 위해 서울로 쏠리면서 경쟁에 내몰렸고 그 결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결혼과 출산이 지연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통계청의 인구통계에서도 이 같은 분석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국 17개 시·도 중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서울(0.63명)이다. 양질의 일자리, 특히 대기업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몰린 청년들이 내린 '합리적 의사결정'의 결과가 초저출산이다.

머니투데이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40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 소속회사 직원수는 총 142만5414명이다. 대기업 소속회사는 공정위가 지난해 5월 대기업집단을 지정할 당시의 1742개다.

전체 대기업 소속회사 직원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곳의 직원은 87만8168명(61.6%)이다. 전체 대기업 소속회사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곳의 비율이 52.1%라는 점을 감안하면 서울에 본사를 둔 회사일수록 많은 직원을 고용한 걸 알 수 있다.

경기도 역시 같은 양상을 보인다. 경기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대기업 소속회사는 327개(18.8%)다. 하지만 직원 비율은 23.6%다. 서울과 경기에 본사를 둔 대기업 소속회사 직원의 비율만 85.2%에 이른다. 비수도권 입장에선 인재 유출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통계청이 2020년 발표한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으로 유입된 인구의 전입 사유는 직업과 교육, 주택 순이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2020년엔 수도권의 인구가 처음 비수도권의 인구를 추월했다.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최근 수도권의 첨단기업을 중심으로 복지제도의 개선 등 엄청난 인재 유치전이 펼쳐지고 있다"며 "인력 문제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인데 수도권에서 '잘 나가는' 인재들이 지방으로 내려갈 이유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반응형

중요한 보도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일부 하락세이긴 하지만.. 서울의 집값이 많이도 올랐었죠... 부동산 정책이 잘못되었다느니.. 정부를 비판하는 이들은 정부때문에 부동산이 급등했다 하는데..

 

사실 실제 원인은 위의 보도에 나왔듯이... 서울에 사람이 너무 몰렸기 때문입니다. 

 

집을 1채에서 2채.. 많게는 수십채를 사고 가지고 있다 한들.. 찾는 이들이 없다면 부동산 가격이 오를리 없을 겁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른다는건 결국 오른 가격에도 찾는 이들이 있기에 오르는 것이라 할 수 있죠..

 

왜 서울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냐.. 위의 보도처럼.. 기업들.. 즉 일자리가 서울에 너무 집중되었기 때문이죠..

 

일자리가 서울에 있으니.. 일을 하기 위해 사람들이 서울로 몰릴 수 밖에 없고.. 직장과 가까운 곳에 집을 구하고 싶으니..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오르는 것입니다.. 

 

거기다.. 그렇게 올라간 집값을 감당못해 서울에서 나오게 되더라도..서울에 있는 직장은 다녀야 하니... 서울 인근 도시의 부동산 가격도 덩달아 상승하는 것이고요..

 

결국.. 현재는 집값이 좀 떨어졌다고는 하나.. 언제든 부동산 가격은 폭등할 수 있단 의미도 됩니다.

 

그리고 근본적 대책은 결국...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기업을 각 지역으로 어떻게든 퍼트려야 결국 전국으로 인구가 분산될 것이고 부동산 가격도 안정.. 고착화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차기 정부에서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서울에 몰려있는 각각의 기업들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정책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