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국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개시…바닷물과 희석해 방출 [종합]

by 체커 2023. 8. 24.
반응형

다음

 

네이버

 

내년 3월까지 보관 오염수 2.3% 방류 계획

 

일본이 24일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개시했다.

일본 언론들은 후쿠시마 원전 운영회사인 도쿄전력이 일본 정부의 지난 22일 방류 결정에 따라 이날 사전 작업을 거쳐 수조에 보관하던 오염수를 이날 오후 1시쯤부터 방출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쳐 후쿠시마 제1 원전 부지 내 저장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해 약 1㎞ 길이의 해저터널을 통해 원전 앞 바다에 방출했다.

ALPS로 정화 처리하면 세슘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 62종을 제거할 수 있으나, 삼중수소(트리튬)와 미량이기는 하지만 탄소14 등의 핵종도 남는다. 도쿄전력은 ALPS로 거를 수 없는 삼중수소는 바닷물과 희석해 농도를 일본 규제 기준의 40분의 1인 ℓ당 1500베크렐(㏃) 미만으로 만들어 내보내기로 했다.

 

도쿄전력은 지난 22일 오후 오염수 약 1t을 희석 설비로 보낸 뒤 바닷물과 혼합해 대형 수조에 담았다. 도쿄전력은 수조에서 채취한 표본의 삼중수소 농도를 확인한 결과 기준치인 ℓ당 1500㏃을 훨씬 밑돌았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방류 이후 원전 인근 바닷물의 삼중수소 농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할 방침이다. 방류 직후 채취한 표본의 삼중수소 농도 측정 결과는 이르면 27일 공개된다.

도쿄전력은 하루에 약 460t의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방류하는 작업을 17일간 진행해 일차적으로 오염수 7800t을 바다로 내보낼 계획이다. 다만 도쿄전력은 이날은 오후에 방류가 개시된 만큼 하루 방류량이 200∼210t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 3월까지 방류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염수 양은 3만1200t으로, 이는 현재 보관 중인 오염수의 2.3% 수준이다.

후쿠시마 제1 원전에는 약 134만t의 오염수가 1000여개의 대형 탱크에 들어 있으며, 현재도 원전 부지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빗물 등으로 인해 오염수는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염수 방류가 대체로 30년가량 이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방류 안전성을 점검해온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IAEA 직원들이 방류 첫날부터 현장에서 배출되는 오염수가 안전기준에 부합하는지 감시·평가하고 감시 자료를 실시간 공개한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IAEA가 현지에 머무르며 계속 검증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일본 어민과 중국 등 주변국 반발은 이어지고 있다. 사카모토 마사노부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 회장은 일본 정부가 방류일을 결정한 지난 22일 "어업인과 국민의 이해를 얻지 못하는 해양 방류에 반대한다는 것은 조금도 바뀌지 않았다"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후쿠시마현 주민과 변호인 등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 인가 취소와 방류 중단을 요구하는 소송을 다음 달 8일 후쿠시마지방재판소(지방법원)에 낼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22일 주중 일본 대사를 초치해 항의한 데 이어 일본산 수산물이나 식품 등에 대한 추가 수입 규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반응형

일본의 도쿄전력은 오후 1시에 후쿠시마 원전내 보관중이었던 오염수의 방류를 시작했습니다.

 

방류가 시작한 뒤.. 30년 후에 방류가 종료될 예정입니다.

 

먼저 알프스로 처리를 한 뒤.. 농도를 확인해서 삼중수소 이외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낮다면.. 바닷물에 희석을 시켜 삼중수소의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춘뒤에 방류를 하며.. 기준치가 맞지 않다면 다시 알프스 처리를 한 뒤에 측정하여 기준치가 맞을때까지 순환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단계로 간헐적인게 아닌.. 꾸준히.. 지속적으로.. 30년간 방류하게 됩니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알프스의 처리능력입니다.

 

알프스의 처리방식은 흡착처리방식으로 통 내에 흡착제가 방사성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 대해 제거율에 대한 입증이 명확하지 않고.. 순환해서 연속적으로 처리할 시... 흡착제거방식의 문제인 파과현상.. 돌파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큽니다. 즉.. 일정 흡착 능력 이상의 처리가 지속되면 흡착되었던 물질까지 원수에 의해 탈락되어 통과되는 현상을 말이죠..

 

또다른 논란이 되는 부분은 알프스 처리가 된 후의 농도측정입니다.

 

기존에 알프스는 60여종의 방사성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홍보를 했었습니다. 근데 최근들어 그 검사하는 핵종수를 대폭 낮춘게 일본과 도쿄전력입니다. 측정되지 않은 방사성 물질이 그대로 바다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죠..

 

그외 논란이 되는 부분은 도쿄전력의 투명성입니다.

 

예전.. 알프스가 고장이 났음에도.. 고장여부를 제대로 보고하지 않거나.. 고장난채로 운영을 한 전례가 있었던게 도쿄전력이었습니다. 따라서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제3의 감시체계는 아마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30년간 방류할텐데... 방류직전 삼중수소 농도만 생각해서 그것에만 집중하는 사이... 다른 핵종이 유출되지 말란 법은 현재로선 없죠.. 그렇기에..30년간의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환경단체의 감시가 중요해리라 봅니다. 그리고 그런 환경단체의 활동을 막는 사례가 알려지면..아마 파장은 커지겠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