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자문 해주겠다" 일본 경제보복에 '기술 방패'로 나선 대학들

by 체커 2019. 8. 7.
반응형

다음

 

네이버

 

절박한 중소기업, 카이스트 하루 만에 상담신청 60건 쇄도

 

일본의 경제보복에 첨단기술을 연구하는 대학들이 ‘기술 방패’를 자처하고 나섰다. 카이스트(KAIST)가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자문단을 꾸린데 이어 서울대도 7일 중소ㆍ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자문단을 구성했다.

첫발은 카이스트가 뗐다. 카이스트는 지난 2일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에서 한국을 제외한다고 발표하자 비상 간부회의를 거쳐 5일 기술자문단 구성을 결정했다. 정식 명칭은 ‘카이스트 소재ㆍ부품ㆍ장비 기술자문단(KAMP)’이다.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권에 든 1,194개 품목 중 159개 품목과 연관된 중견ㆍ중소기업에 기술개발을 자문하는 역할을 맡는다.

절박한 기업들의 문의는 하루에 수십 건씩 쏟아지고 있다. 접수된 요청은 분류 작업을 거쳐 5개 분과 전ㆍ현직 교수 100여 명에게 전달된다. 카이스트 자문단 관계자는 “6일 하루에만 전화로 50여 건, 이메일로 15건의 문의가 접수됐다”며 “지금 추세로 보면 오늘도 100여 건 정도 문의가 들어오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원천기술 ‘탈(脫)일본화’를 위해 기술개발 전략에 대한 자문까지 제공한다는 게 카이스트의 목표다. 자문단장을 맡은 최성율 카이스트 공대 부학장은 “단기적으로는 기업이 당장 겪는 애로사항 해결에 힘쓰고 중장기적으로는 기술개발을 위한 기업 전략에 대한 자문까지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카이스트 자문단 출범 이틀 만에 서울대도 소매를 걷어붙였다. 서울대 공대는 화이트리스트 제외로 공급에 지장이 우려되는 소재, 부품, 장비 업계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해 이번 주 안에 특별전담팀을 구성한다. 특별전담팀에는 서울대 공대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화학소재 분야 연구소들이 참여한다. 정부가 공급 안정화가 시급하다고 밝힌 100개 핵심 전략 품목 관련 기업들이 요청하면 교수들을 연결해 상담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서울대 공대는 일본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교수들의 직접 상담뿐 아니라 독일 등 다른 선진국 기술 도입 등도 중계할 계획이다. 서울대 공대는 2015년부터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업무협약을 맺어 국내 중소ㆍ중견기업이 독일의 기술을 도입할 수 있게 지원했는데, 이 같은 국제 네트워크도 총 동원할 방침이다.

차국헌 서울대 공대 학장은 “장기적으로는 우리가 스스로 기술을 개발해야겠지만, 단기적으로 한 국가에 과도하게 집중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대학이 보유한 국제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기술 ‘거간’ 노릇을 하겠다”며 “우선 가장 시급한 소재, 부품, 장비 100대 품목 공급 안정화를 위해서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인택 기자 heute128@hankookilbo.com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해 기업들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카이스트..그리고 서울대학교 공대에서 기술자문을 해준다 합니다.

 

공급에 우려가 되는 소재.. 부품.. 정비등에 대해 수입대체가 빠르게 된다면 좋겠지만 수입대체품이 없다면 국산화를 해야 하겠죠..

 

이에 카이스트와 서울대 공대에선 국제사회의 연구소등의 업무협약을 맺은 곳을 통해 국제사회에 대체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거나 국산기술 개발을 위한 자문을 해주기 위해 자문단 및 특별전담팀을 조직했다고 합니다..

 

일부에선 진작에 했었으면 어땠을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기술자문이 이루어져 대체 기술 도입 혹은 국산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한국내 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