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속초·고성이 산불서 살아남은 푸른 소나무 싹 베는 이유

by 체커 2019. 12. 1.
반응형

다음

 

네이버

 

속초 주민들 영랑호 주변 멀쩡한 소나무 왜 베나 항의
지난달 21일 이후 속초시청에 항의 민원 줄이어
"산불 스쳐간 나무 멀쩡해보여도 결국 고사 꼭 베어내야"

 

지난 4월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산불. 강풍을 타고 인근 속초까지 번졌다. [중앙포토]

“속초시 영랑호 주변 멀쩡한 나무를 왜 베어내는 건가요.” 최근 속초시청에 영랑호 주변 나무를 베지 말아 달라고 주민들이 넣은 민원 내용이다.


지난달 28일 속초시청에 따르면 비슷한 내용의 민원이 지난달 21일 이후 4~5건 접수됐다. 속초시는 지난 4월 발생한 고성·속초 산불 피해지역인 영랑호 주변 나무를 베는 작업을 지난달 21일부터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고사한 나무부터 비교적 멀쩡해 보이는 나무까지 산불이 지나간 위치에 있는 나무는 모두 베고 있다.

나무는 모두 산주의 동의를 얻어 제거했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죽은 나무만 제거하면 되는 것 아니냐, 왜 잎이 푸른 살아있는 나무까지 베어내느냐. 보기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영랑호 주변은 나무가 많은 데다 산책로가 잘돼 있어 주민이 자주 찾는 곳이다.

 

지난 4월 고성에서 발생한 산불에 피해를 본 산림을 복구하는 작업이 속초와 고성지역에서 진행 중인 가운데 외관상 멀쩡한 나무까지 베어내자 주민들이 이의를 제기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2017년 삼척 산불 잔족목 모니터링 결과 26.7% 고사


속초시가 이처럼 아직 살아있는 나무를 제거하는 건 산불에 노출된 나무의 경우 대부분 결국엔 고사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 때문이다. 속초시 관계자는 “지금은 멀쩡해 보여서 살았다고 생각되지만, 시간이 흐른 뒤 고사할 가능성이 커 제거했다”며 “영랑호 주변의 경우 산책로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고 고사하면 안전사고 위험도 있어 산주의 동의를 얻은 뒤 작업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제거하지 않으면 2~3년 뒤에 고사한 나무를 다시 한번 치우는 일을 반복해야 한다”며 “그땐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산주가 직접 자비를 들여 제거해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립산림과학원(이하 과학원)이 연구 중인 ‘삼척지역 산불피해지 소나무 잔존목 모니터링’ 자료를 보면 2017년 5월 6~9일 나흘간 발생한 삼척시 도계읍 산불의 경우 피해 정도가 ‘경’인 지역을 조사한 결과 2년여 만인 지난 9월 26.7%의 나무가 고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불 피해 나무의 경우 피해 강도를 심·중·경으로 분류한다. 심의 경우 나무의 잎과 가지가 시커멓게 탄 것을, 중은 잎 전체가 갈변한 상태를, 경은 불이 스치고 지나가 잎의 일부만 갈변되고 대부분이 푸른 것을 말한다. 과학원은 당시 잎이 푸른 나무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지난 4월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인근 속초까지 번진 모습. [중앙포토]

현재 산주 동의 얻어 100㏊ 피해목 제거 완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육성복원연구과 강원석 박사는 “불이 살짝 스치고 지나가는 등 피해가 작은 나무들이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인데 2년여 만에 30% 가까이 고사했다”며 “산불 발생 이후 3~5년이 지났을 때 100%는 아니겠지만, 고사율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00년 발생한 동해안 산불의 경우 일부 지역은 2년이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50%의 잔존목이 고사하기도 했다”며 “현재 산불의 영향을 적게 받은 나무가 고사하는 원인을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속초지역의 경우 지난 4월 발생한 산불로 327.6㏊의 산림이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160㏊는 산주가 피해목 제거를 동의해 현재 100㏊가량은 피해목 제거를 완료했다.

속초=박진호 기자 park.jinho@joongang.co.kr


 

속초와 고성에 산불이 있었죠.. 많은 구역과 거주구역까지 산불로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이재민이 발생했고 그 고통은 지금도 진행중입니다.

 

그런데 산불이 난 지역 인근 나무를 베어내고 있어 왜 멀쩡한 나무도 베어내느냐 민원이 들어온다 합니다..

 

왜 베어낼 수 밖에 없는지에 관한 뉴스입니다.

 

일단 산불이 난 구역 인근 나무들은 고사하기에 베어낼 수 밖에 없다는 게 속초시와 전문가들의 입장이라 합니다.

 

이는 이전 속초에 산불이 났을 때 산불 영향을 받은 인근 소나무를 모니터링 한 결과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이하 과학원)이 연구 중인 ‘삼척지역 산불피해지 소나무 잔존목 모니터링’ 이 근거라고 하네요..

 

아마 화마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아도 열과 검댕으로 잎의 기공이 막히고 나무 줄기 내부에 손상을 입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겉으로는 멀쩡해도 내부로부터 죽어가는 것이겠죠.. 그렇다고 산불 진화 직후부터 주변 나무들을 모두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으니 어차피 고사될거 미리 베어내는 것입니다.

 

다만 고사율이 26.7%로 높다 볼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베어낸다는 것에 대해선 반발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겁니다. 절반도 안되는 확률로 고사된다 볼 수 없을테니 말이죠.. 살아남는 나무도 있을텐데 그런 나무까지 베어내냐 반발하는건 당연하다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적은 확률이라도 무시를 못하겠죠.. 그렇기에 속초시에서 베어낸 것일테고요..

 

나무를 베어냈으니.. 아마 삼림청이나 속초시에서 해당 구역에 나무를 다시 심겠죠..하지만 심더라도 또다시 산불이 나면...좀 그렇죠...

 

산불이 난 후 복구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리고 화마에 직접적 피해를 입지 않더라도 많은 나무들이 고사를 하기에 베어낸 면적도 무시못할 것입니다.

 

결국 처음부터 산불이 나지 않도록 예방하는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려주는 사례라 볼 수 있습니다. 산불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