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병원, 간호사 탈의실로 주차장·해부실습실 지정
소방·건축법 저촉 가능성.. 사용자 기본의무도 위배
[파이낸셜뉴스] #길병원 응급실 간호사 A씨는 업무가 끝나면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3층 주차장으로 향한다. 탈의실이 주차장 구석에 있기 때문이다. 탈의실이라곤 하지만 본래 엘리베이터가 있던 공간에 사물함을 들여놓은 게 전부다. 공간이 비좁아 팔을 뻗기도 불편하다. 심야 시간대 교대가 이뤄지는 응급실 여성 간호사들에게 어두운 지하주차장이 친숙한 공간이 아닌 건 물론이다.
같은 병원 일반 병동에서 간호사로 근무하는 B씨는 차라리 A씨가 부럽다. B씨가 이용하는 탈의실은 가천관 지하 2층에 있다. 지하주차장 엘리베이터에 비하면 쾌적하기까지 하다. 문제는 이 공간이 3년 전까지 해부실습실이었다는 데 있다. 사람이 별로 없는 시간대에 해부실습실로 쓰던 공간에서 옷을 갈아입는 건 인체를 다루는 간호사에게도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인천시 구월동에 자리한 가천대학교 길병원(원장 김양우)은 지난 반세기 동안 성장을 거듭해온 지역 중심 의료기관이다. 연 매출은 진료비 기준 3000억원을 훌쩍 넘어서 전국 8위 규모다. 지난해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Newsweek)가 의료인력과 병상수, 각종 서비스 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발표한 순위에선 17위를 기록했다. 인천지역 의료기관 중에선 인하대학교병원에 이어 2위다.
9일과 10일 찾은 길병원 일대는 다양한 전문병동이 규모 있게 들어서 거대한 의료단지를 이루고 있었다. 복합쇼핑몰을 보는듯한 세련된 건물 사이로 수많은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이 바쁘게 오고 갔다.
■소방·건축법 무시하고 지하주차장에 탈의실 설치
기자가 길병원을 찾은 건 한 통의 제보 때문이었다. 길병원 간호사들이 이용하는 탈의실이 지하주차장에 있다는 황당한 얘기였다. 건실한 재정의 유력 대학병원이 간호사 탈의실을 지하주차장에 두고 있다는 건 믿기 어려운 일이었다. 그래서 직접 방문했다.
놀랍게도 제보는 사실이었다. 지하주차장 3층 구석 좁은 공간에 응급실 간호인력 60여명이 사용한다는 탈의실이 있었다. 양해를 구하고 들어서자 사물함으로 가득 들어찬 비좁은 공간이 나왔다. 탈의실이라기보다 사물함을 쌓아둔 창고처럼 보였다. 본래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장소인 듯 한쪽 벽면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사물함으로 막아두고 있었다.
옷을 갈아입고 이동하는 통로는 몹시 비좁아서 한 팔을 벌릴 수도 없었다. 간호사들은 매일 출근 후와 퇴근 전 이곳에서 옷을 갈아입는다.
시설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안전문제가 심각해보였다. 기자가 탈의실에 접근하는 동안 막아서는 건 문 앞에 달린 도어락 하나가 전부였다. 탈의실에 가기 위해 지나야 하는 지하3층 주차장은 저녁시간대임에도 인적이 드물었다. 여러모로 몰카 및 성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다.
더구나 좁은 공간에 사물함을 잔뜩 들여놔 출구조차 절반이 막혀 있다. 화재나 성범죄 등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탈출할 통로가 마땅치 않다.
이에 대해 소방청 화재예방과 관계자에게 문의했더니 “비상구 아래에 물건을 놓은 걸 보니 피난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어 문제의 소지가 있다”며 “관할 소방서가 현장확인을 하고 종합적으로 검토해봐야겠지만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소방법뿐 아니라 건축법에도 저촉될 우려가 있다. 건축업계 관계자는 “건축물 허가를 낼 때 공용면적과 전용면적을 신고하도록 돼 있는데 엘리베이터 앞을 탈의실로 전용하는 건 법에 저촉되는 사항”이라며 “관할 지자체가 점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처음부터 이 공간이 탈의실로 쓰인 건 아니다. 현장에서 만난 병원 노조 관계자는 “본래 검진센터 7층에 탈의실이 있었다”며 “병원이 탈의실을 다른 용도로 쓰기로 결정한 뒤 주차장에 만든 탈의실을 쓰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해부실습실로 쓰던 외진 공간도 탈의실로 변신
취재 중에 놀라운 사실 한 가지를 더 알게 됐다. 길병원 내 또 다른 건물인 가천관 탈의실은 불과 3년 전까지 해부실습실로 쓰였다는 것이다. 중환자실과 일반병동 간호사가 사용하는 이 탈의실은 이용자만 200여명에 달하는데, 이용하는 직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적지 않다고 했다. 해당 탈의실엔 외부인의 출입을 막는 장치조차 없이 사물함으로 구획을 나눠놓고 있다. 실제 남성인 기자가 여성 전용 탈의실에 들어설 때까지 제지하는 장치도, 사람도 없었다.
한 간호사는 “아무리 간호사라지만 시체 해부하던 공간에서 혼자 옷을 갈아입는다고 생각하면 소름끼치게 무서울 때가 있다”며 “사람 없을 때는 불 끄라고도 하는데 담력훈련이라도 하라는 건가”하고 불평했다.
길병원에서 근무하다 최근 이직했다는 또 다른 간호사는 “햇볕도 안 들고 환기도 안 되는 곳을 탈의실로 쓰는 간호사가 자긍심을 갖고 일을 할 수 있겠나”라며 “병원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공동체 일원으로 생각한다면 이렇게는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문제가 있는 탈의실은 이뿐만이 아니다. 암센터 간호사들은 옆 건물인 인공지능센터 17층 빈 병실을 탈의실로 사용한다. 이곳은 병실로 등록돼 침상이 놓여있던 공간으로, 이를 탈의실로 전용하는 것 역시 법에 저촉될 우려가 있다.
이곳을 사용하는 간호사들도 불만이 상당하다. 이동시간이 많이 드는 건 물론,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어 안전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수년 간 병원 탈의실은 범죄의 표적이 돼 왔다. 지난해 전라남도 순천의 한 종합병원 탈의실에서 몰카 촬영을 당한 피해자가 트라우마에 시달리다 자살하는 사건도 있었다. 해당 병원 탈의실 역시 길병원과 마찬가지로 사물함으로만 구획을 나눠놓은 상태였다.
지난해 부산과 울산의 대학병원에서도 의사가 탈의실에 몰카를 설치해 간호사를 몰래 촬영하다 적발됐다. 2015년엔 서울대병원 산하 병원 소속 의사가 탈의실에서 몰카를 촬영해 징역형을 받았다. 해당 의사가 2012년에도 같은 혐의로 벌금형을 받은 사실이 공개되자 공분이 일기도 했다.
■열악한 탈의실 제공 ‘사용자 기본의무’ 위배
길병원 시설팀 역시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한다. 시설팀 직원들은 별도 탈의실 없이 근무처인 보일러실 내부에 마련된 좁은 공간에서 작업복을 갈아입는다. 길병원 노조는 10일 소식지를 내고 해당 공간에 대해 ‘천장이 천막으로 덮여 있고 바닥도 썩어가고 있다’며 직원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길병원 노조 관계자는 “병원이라는 곳이 심야에도 교대가 있고 그러다보면 늦은 시간에 혼자 옷을 갈아입을 일이 많다”며 “근무공간과 멀리 떨어진 데다 열악하기 짝이 없는 공간을 탈의실로 쓰라는 건 병원이 직원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다만 이러한 상황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규제책은 미비한 게 사실이다. 박성우 노무사(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 모임 회장)는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규정은 산업안전보건법의 위임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 정한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의 휴게실 관련 규정밖에 없는데 그것도 미비하다”며 “사용자의 기본의무, 그러니까 근로자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근무하도록 하는 안전배려의무에 근거해보면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의무가 있는데 이를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상황과 관련해 10일 길병원 측에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입장을 물었으나 병원 측은 이렇다 할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pen@fnnews.com 김성호 기자
가천대학교 길병원이 논란이 되었습니다.. 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의 탈의실이 지하주차장.. 그것도 엘리베이터 앞에 있기 때문일겁니다..
통로였던 곳에 사물함을 설치하고 탈의실을 꾸민 상황... 자칫하면 몰카나 성범죄에 노출될게 뻔하고 사물함에 대한 절도 위험도 노출될 것이라는 건 뻔한 상황...
그런데 간호사만의 일은 아니었다고 합니다..
시설팀... 병원 전체의 시설을 관리하는 시설팀 또한 보일러실 내부 구석에 탈의실을 만들어놓고 운영하고 있다 합니다..
결국 간호사나 병원시설팀이 이럴진대 간호조무사는 말할것도 없겠네요..
특히 간호사들의 탈의실의 경우 엘리베이터등 통로에 만든것도 모자라 다른 건물은 해부실습실을.. 그리고 암센터는 병실을 탈의실로 사용하고 있다 합니다.. 병실을 탈의실로 쓰는건 법에 저촉될 수 있다고 하네요..
소방법과 건축법에 저촉되면서까지 탈의실등을 조성한 이유... 아마도 운영진이 알겠지만 취재한 언론사가 입장을 물었지만 답변은 없다 합니다..
유구무언일까요.. 대학병원은 수익이 잘 나지 않는다는 말도 있습니다.
참고뉴스 : 화려한 대형병원의 민낯...매출 늘었지만 순이익은 감소세
지방 사립대 주요병원도 수익↑…의료이익은 제각각
지방 사립대 주요대학병원의 의료수익을 살펴봤을 때도 의료수익 상승곡선은 수도권 주요 병원과 같은 모습을 보였다
수도권에 비해 의료수익 금액이 적어 평균적으로 수익증감률이 약2.3%대로 상승곡선의 정도는 낮지만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간 꾸준히 증가한 것.
하지만 수도권 병원과 달리 의료이익 지표에서는 각 병원별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단국대, 동아대, 조선대 등 3개병원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의료이익이 상승해 실제 의료수익의 증가가 의료이익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으며, 계명대동산병원이 2016년 215억 원에서 2017년 205억원으로 의료이익이 잠시 주춤했지만 2018년 227억원으로 의료이익을 회복했다.
이밖에 고신대복음병원과, 영남대병원은 2016년에서 2017년의 의료이익을 비교했을 때 각각 11억 원 134억원 의료이익이 증가했지만 2017년에서 2018년의 의료이익을 비교했을 때 2017년보다 줄어든 의료이익을 기록해 수도권 대학과 같은 의료이익 곡선을 기록했다.
수도권 병원의 경우 과반수의병원이 같은 의료수익, 의료이익 패턴을 보이며 정부의 보장성강화정책에 영향에 대한 가정을 해볼 수 있었지만 지방 사립대 병원의 경우 의료수익 의료이익 패턴의 일반화가 어려워 특정한 변수 하나의 영향보다는 각 지역 및 병원의 환경변화에 더 많은 영향을 보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이번에 분석을 실시한 각 대학교의 회계기준년도는 매년 3월의 시작부터 이듬해 2월의 마지막까지지만 국립대학교병원인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 포함)과 공익법인재단에 속한 삼성서울병원은 1월 1일~12월 31일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또한 분석대상 수도권 주요대형병원들의 집계 수치는 의료원 별로 부속병원 포함여부 및 회계 계정과목 게재 여부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관련보도를 보면 대부분의 대학병원들의 매출은 늘어났다고 합니다.. 다만 순 이익이 떨어지긴 했죠.. 하지만 이런 운영현황이 이전 탈의실을 없애고 통로나 실습실.. 병동을 탈의실로 만들 이유가 되진 않습니다.
더욱이 외진곳.. 잠금장치도 없어 누구든 쉽게 침입이 가능한 곳에 탈의실을 만들었으니 또다른 범죄에 노출되어 의료종사자가 피해를 본다면 그건 과연 범죄자만의 문제일까요? 병원의 책임은 없는 걸까요?
그리고 이런 열악한 환경은 과연 길병원만의 일일까 싶습니다.
만약 이렇게 보도가 나왔음에도 개선이 되지 않다가 결국 탈의실내에서 성범죄나 절도.. 폭은 폭행등의 범죄가 일어난다면... 대한의협은 뭐라 답할지 궁금합니다..
과연 범죄자의 처벌만 주장할 것인지... 범죄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방치한 병원에 대한 비판을 할 수 있을지 말이죠..
'세상논란거리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피벌룬은 지금도 밤을 지배하고 있다 (0) | 2020.01.11 |
---|---|
'13일 부동산 대책 발표?' 황당한 가짜뉴스에 출렁인 시장 (0) | 2020.01.11 |
30대女, 백화점 안전요원 뺨을 '짝'..명동 롯데리아 난동 왜? (0) | 2020.01.10 |
영국 명품 기저귀에 중국산 흡수체.. 소비자 우롱한 '마켓컬리' (0) | 2020.01.10 |
유명 유튜버, 아파트 엘리베이터 '엽기적 피습'..경찰, 괴한 2명 추적(1명 체포-1명 호주 도피) (0) | 2020.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