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서울... 과연 인구가 밀집되는것이 좋은 것일까..

by 체커 2021. 7. 20.
반응형

서울특별시.. 대한민국의 서울입니다. 인구도 가장 많은 도시고요..

 

이곳에 집이 없다며.. 개발을 해야 한다.. 아파트 많이 지어야 한다 많은 이들이 주장합니다.. 그만큼 땅값도..아파트를 포함한 주거시설의 가격도 많이 올랐고요..

 

그런데.. 문득 생각합니다.. 과연 이게 좋은 것인지.. 사람만 꾸역꾸역 몰려 들어오는게 과연 괜찮은 건지 말이죠..

 

우선 서울은 전력 자립도가 가장 낮은 도시중 하나입니다. 서울내 발전소는 마포에 있는 화력발전소 하나뿐입니다. 그외에 소각장에 열융합발전소등이 있겠죠.. 하지만 전력소비량은 가장 높은 도시중 하나입니다.. 결국 전력은 외부로부터 끌어와야 하죠..

 

지방에 있는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수력발전소.. 태양광발전소.. 

 

거리가 꽤나 멀 겁니다.. 그럼 송전하는데 드는 비용은 꽤 많이 나오겠죠.. 1와트당.. 비용이 지방과 서울과 비교할때.. 다르지만.. 현재는 같은 가격을 매기고 전기세를 받습니다.. 만약 발전소로부터 멀면 멀수록 높은 전기료를 내야 한다면... 과연 서울의 전기료는 얼마나 올라갈까요?

 

그럼에도 서울시는 에너지 자립도를 올릴려 노력하는게 얼마나 있나 묻고 싶군요.. 각 빌딩 옥상에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건 어떨까 싶은데.. 과연 가능할지.. 화력발전소.. 원전.. 다 안되겠죠.. 누가 자기 집근처에 원전이나 발전소가 들어오길 바랄까 싶으니..

 

수도권 쓰레기매립장.. 이제 곧 다 쓰여져 더이상 채울 공간이 나오지 않을때.. 폐쇄됩니다.. 인천은 수도권 매립지 운영을 끝내고 인천에서 나오는 쓰레기만 처리할려 하고.. 서울과 경기도는 인천이 만드는 매립장에 자신들의 쓰레기도 매립하길 원하죠..

 

하지만 상대적으로 경기도는 대체매립장을 구성하기가 그나마 수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은 다르죠.. 매립장을 어디다 조성을 할 수 있을까?

 

난지도를 다시 파해쳐서 매립장을 만들까요? 결국 수도권 매립지가 운영을 끝내면 서울은 대체매립지를 구해야 합니다.. 그런데 어디로 구해야 할까요?

 

서울 편입을 조건으로 지방의 매립지 부지를 확보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려면 소각이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그래야 매립을 함에 있어서 부담이 적어지죠.. 그런데 서울내 쓰레기 소각장은 얼마나 될까 싶죠.. 4군데 밖에 없습니다.. 배출되는 양은 상당한데..

 

수도권 매립지의 사용연한이 모두 끝나면.. 서울에 남은건 결국 쓰레기 대란입니다.. 서울 사람들.. 자신들의 쓰레기를 서울내에서 소각해서 매립해야 한다고 하면... 과연?

 

그리고 서울내 시멘트 생산시설이 얼마나 될까 싶네요.. 레미콘 만드는 회사 말이죠..

 

서울내 여기저기 자리잡은 레미콘회사.. 그 회사 인근에는 아무것도 없는 곳에 자리잡고 시작한 회사들이지만.. 인근까지 개발되고 아파트.. 빌딩등이 들어서면서 레미콘회사에 대해 위해시설이라 하며 이전하라 압박을 해서 서울내 레미콘을 만드는 회사.. 별로 없을 겁니다..

 

서울 밖으로 밀려난 레미콘 회사... 그럼 서울내 건물은 뭘로 지어야 할까요? 서울밖의 레미콘 회사에서 보내면 될것 같은데.. 사실 레미콘의 경우.. 생산되고 혼합차에 집어 넣은 뒤... 일정시간내에 붓지 않으면 굳습니다.. 나중엔 배합기구를 현장에 둬서 직접 혼합.. 부어야 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죠.. 이대로 레미콘 생산공장이 밀려난다면.. 아마 건설비는 꽤나 오르지 않을까 싶군요..

 

서울.. 이대로 사람만 모여드는 도시로만 되면 좋은 것인지... 아님 몰려있는 사람들을 각 지방으로 퍼지도록 만드는게 좋은건지.. 생각을 한번 해볼 때가 아닐까 싶죠.. 사람들이 지방으로 퍼진다면.. 그럼 집값도 더이상 오르지 않겠죠.. 사람들이 퍼지니.. 자연스레 여러 상권도 각 지방으로 퍼질테고..

 

대기업 본사부터 모두 지방으로 이전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군요.. 그렇게 빈자리를 만들어야 발전소와 쓰레기 매립장도 건설이 가능하리라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