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국제

미국기자 "北에 선제타격" 기사에..미국인들 "웃겨 죽는줄"

by 체커 2022. 1. 22.
반응형

다음

 

네이버

돈 커크 기자가 작성한 문제의 기사 "대북 선제타격 여론 확산". 더 힐 캡처

"60년 이상 언론인으로 활동한 사람이 쓴 글이라니. 냉전 시대 멍청이는 이제 집에 갈 시간이 됐다."
 
21일(현지시간) 한 미국 언론인이 쓴 '대북 선제 타격론이 퍼지고 있다'는 제목 기사에 붙은 댓글 가운데 하나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더힐'에 해당 기사를 쓴 사람은 도널드 커크(Donald Kirk) 기자. 워싱턴스타, 시카고트리뷴 등에 소속 돼 60년 넘게 아시아 문제를 취재하고 지금은 80대의 나이로 프리랜서 기자로 활동중인 사람이다. 최근에는 종전선언을 비판하는 칼럼을 '더힐'에 기고하기도 했다.

최근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와 대미 대결적 언사에 맞춰 출고 한 이번 기사의 주요 대목을 옮기면 이렇다.

<대북 선제 타격론이 퍼지고 있다> by 던 커크 북한 미사일 및 핵 프로그램에 대응해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

그에 대응해 대북 선제 공격을 해야할까? 이런 질문은 남한 대선에서도 논란이다.

윤석열 후보는 선제공격을 주장하고, 이재명 후보는 윤후보의 주장을 철회하라고 한다.

남한이 북한을 선제타격 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행동으로 선제 타격론은 퍼지고 있다.

커티스 스캐퍼로티 전 한미연합사령관도 지난 13일 (한미연구소, ICAS 주최의) 대담에서 사령관 재임시절 한국과 함께 대북 선제타격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했었다고 말했다.

현시점에서 선제타격은 위험하다.

중국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남한 여론의 분열 때문이다.

이재명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보다 더 화해와 대화를 추구한다.

미국 분위기도 선제타격에 반대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참모들도 마찬가지다.

한반도에서 전쟁은 워싱턴 관심 목록의 아랫쪽에 있다.

그러나 미군과 한국군 장군들은 대북 선제타격을 계속 생각중이다.

김정은이 위협 수위를 높이면 어떻게 될까?

미국과 한국의 전략가들에게 남은 질문은 북한이 먼저 공격하도록 내버려둘 것인가 아니면 김정은을 먼저 때려눕힐 것인가 하는 것이 될 것이다.

커크 기자가 이 글에서 대북 선제타격에 대한 미국의 반대 분위기를 언급한 한 것처럼 이 기사에는 험악한 댓글이 줄을 지었다. 미국 일반의 여론을 가감없이 전달하기 위해 200개가 넘는 댓글가운데 순서대로, 있는 그대로 옮겨본다.

기사에 달린 댓글들. 더 힐 캡처

△호전적인 미치광이

△전쟁 매파들의 더 많은 의견이?

△60년 이상 언론인으로 활동한 사람이 쓴 글이라니. 냉전 시대 멍청이는 이제 집에 갈 시간이 됐다.

△바보 같은 생각. 북한은 결국은 자멸할 것이다. 한국에서 많은 희생자가 나오도록 해선 안된다.

△멍청이 같으니. 우리는 3차 세계대전을 원하지 않아.

△전쟁해야 돈버는 사람들이 요즘 진짜 살맛났구나.

△이런 바보 같으니라고. 군대는 늘 계획을 하지. 당연해. 그건 군대가 하는 일이야. 다음번엔 해가 동쪽에서 뜬다는 사실을 알게 될까.

△중국이 내벼려 두지 않을 거야. 좀 냉정해 지자고. 시간 낭비 좀 그만해.

△북한 체제 변경. 대북 자유 작전. 그들은 대량 살상무기를 가지고 있잖아!

△내가 본 가장 용감한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홀로 북한으로 걸어 들어가는 것을 지켜본 것이었다. 나는 그것이 마침내 한국 전쟁이 끝나가는 것에 대한 한 줄기 희망을 모든 한국인들에게 주었다고 확신한다.

기사에 달린 댓글들. 더 힐 캡처

△좋지 않은 생각이다.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파워게임은 무고한 사람이 희생될 때까지 계속된다. 선제타격은 무죄추정원칙에 반한다. 사람들은 편견과 속셈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부시 대통령이 이라크를 선제타격 했지만 대량살상무기는 발견되지 않았고 미국의 권력기반은 무너졌다.

둘째. 오바마 대통령은 김정일 부자에게 전쟁터가 아닌 법정에서 국가 간 분쟁이 해결되는 국제정부 수립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했고, 김정일 부자는 대화에 동의했다. 그러나 공화당은 다른 국가들과 동등해지는 것에 관심이 없어서, 그래서 트럼프는 그(김정은)를 궁지에 몰아넣으려 했다. 그리고 그에게는 굶주림이냐 핵전쟁이냐 두 가지 옹호받지 못할 선택지가 주어졌다. 김정은은 국제정부를 선택했고, (평창)올림픽은 그에게 동등하게 취급받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선제타격은 국제법에 어긋나는 것이다. 세계평화운동이 막 시작됐다. 생각해보라.

△(2차 대전 전후 미 공군의 폭격 작전을 담당한) 르메이 장군이 한국전쟁 때 일본전쟁 때보다 더 많은 폭탄을 북한에 투하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왜 그랬냐고? 폭탄이 사용돼야 새로운 폭탄을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이지. 마을과 도시 전체가 말살되고 심지어 북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생물학적 전쟁까지 벌어졌어. 그것이 북한 사람들이 핵미사일 길을 걷게 된 한 가지 이유지.

△미국, 한국전쟁서 꼼짝달싹 못하다
미국, 피그만에서 패배하다
미국, 베트남전에서 패배하다
미국, 아프간 전쟁에서 패배하다
미국이 북한과 전쟁을 한다고?

△이 글을 읽는 것은 시간 낭비였다. 남한은 북한을 공격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그 일이 일어난다면 미국과 서방세계는 발작을 일으킬 것이다. 그리고 중국은 한국의 엉덩이를 걷어찰 것이다.

△웃겨서 죽는 둘 알았다. 이동식 ICBM 시스템을 갖춘 북한을 미국이 선제타격을 한다는 것은 쉽게 말해 용감하게 어리석은 짓이다.

△우린 북한을 문 닫게 할 기회가 있었지. (김일성 때나 김정일 때말야)… 지금은 너무 늦었다.

워싱턴=CBS노컷뉴스 권민철 특파원 twinpine@cbs.co.kr


반응형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언급한 선제타격론... 사실.. 선제타격론에 대해 이미 한국 국방부의 킬체인을 말하는 것인데.. 북한의 한국에 대한 공격 정황이 보일 시 한국군이 대처하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북한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면.. 몇분도 안되 서울에 미사일이 도달할 것이고.. 그런 지정학적 거리는 결국 미사일 방어가 사실상 힘들다는걸 이미 많은 이들이 공감을 하는 것이겠죠..

 

다만.. 북한이 한국에 대해 선제공격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건 많은 이들이 공감합니다.. 한국을 공격하는 건 결국 한국에 주둔중인 주한미군을 건드리는 것이 되고.. 한국과 북한간 전쟁에 결국 미국도 참전.. 그리고 북한에 대해 중국군이 참전...결국 전쟁이 확산되고 자칫 3차 대전으로 확전될 우려가 있기에.. 북한이 어차피 망할거 이판사판으로 덤비지 않는 한.. 공멸하는 것이기에 도발은 하겠지만 공격 및 진격은 못한다는건 이미 알고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윤석열 후보의 선제타격 발언은 많은 이들이 비판을 하고.. 선제타격이란 발언에서.. 이미 있는 한미연합사와 한국 국방부의 북한에 대한 킬체인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한발..(아님 그보다도 적은) 뒤로 물러선 것이죠..

 

윤 후보 지지자들중엔.. 선제타격을 해야 한다 주장하는 이들이 있죠.. 한국을 공격하는걸 뻔히 두고보고 있다 맞기나 할거냐고..

 

하지만.. 그게 무리수라고 반박이 되는 것이.. 북한이 미사일에 연료를 채워넣고 발사하는데.. 그게 한국을 향한다는 확실한 증거(김정은의 공격명령 하달.. 혹은 공격 개시 문서)나 조준하고 있다는 확실한 정황.. 아님 아예 미사일이 한국으로 날라오는게 확인되지 않는 한... 북한이 한국을 공격한다고 확신하기가 매우 어렵고... 만약 미사일이 발사되지 않았는데.. 한국이 미사일 발사대나.. 발사차량을 타격을 한다면.. 결과적으론 한국이 먼저 북한을 선제공격한 것이 됩니다.. 이는 정전협정 위반이 되고 최악의 상황에선 한국전쟁은 다시 개전되는 것이겠죠..

 

이를 두고 나중에 유엔에 북한에 대한 비난성명을 내고 유엔이 한국을 도와주느냐... 그게 안될 겁니다.. 

 

미군은 한국과 소파 협정을 통해 북한군이 한국으로 진입하면 그 즉시 참전이 되겠지만.. 북한이 대놓고 한국에 미사일을 발사하더라도.. 북한군이 한국 영토를 침범하지 않는 한... 결국 북한으로 진격할 명분을 찾기 힘들게 됩니다.. 나중에 북침이라고 주장하면 반박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죠..

 

그렇기에 지금도.. 북한 선제타격은 그다지 꺼내진 않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대선후보인 윤석열 후보가 선제타격을 꺼내들었으니.. 이에 관심을 가진 미국 언론인이 언론사 보도를 한 것인데..

 

미국으로선 한반도에 전쟁이 나면... 좋겠죠.. 새로운 수입원이 발생하는 것이니..

 

하지만.. 그건 미국 방산업체나 좋지... 미국인들에겐 그다지 좋진 않을 겁니다.. 거기다.. 아프간에서 철수한 것도 있고.. 분쟁지역에서 고생한 기억이 있는데.. 다시 전쟁하자고 하면.. 과연 할련지..

 

거기다.. 아프간에서 미국군이 고생한것도 험준한 지형 때문인데.. 한국도 이에 못지 않은 지형인지라 고생할거 뻔한데.. 과연 하겠냐 싶죠..

 

그래서 저런 조롱에 가까운 비판 댓글이 올라온 것 아닐까 싶습니다..

 

관련 뉴스는 더힐에서 보도한 뉴스입니다.. 직접 보고 싶다면 보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언론사가 소개한 댓글이 더 추가가 된 상태이니..

 

관련링크 : A preemptive strike on North Korea? Contingency planning may be gaining currency - The Hill

더보기

Drastic measures in response to North Korea’s missile-and-nuclear program may be needed. If the North persists in testing missiles and fabricating nuclear warheads, should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pond in kind? And would preemptive strikes really forestall potential North Korean missile strikes on the South?

Those questions are central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in the campaigning for a new president of South Korea in the March election. The candidate of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Yoon Suk-yeol, has talked about striking North Korea preemptively; the candidate of the ruling Minjoo or Democratic Party, Lee Jae-myung, has demanded that Yoon retract the controversial statement.

This exchange is largely abstract. No one at this stage expects South Korea to launch an attack on North Korea simply to stop the North from testing missiles. An attack on the North’s nuclear facilities is even less likely, considering they’re largely underground at the Yongbyon complex and scattered elsewhere around the country. Concealed in caves and tunnels, they would not be easy to target.

The topic of a preemptive strike, however, is gaining currency as the North continues testing missiles and building up its nuclear stockpile, as well as othe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hemical and biological. Retired Gen. Curtis Scaparrotti, who commanded the U.S. Forces Korea and the Combined Forces Command that includes South Korean troops from 2013 to 2016, revealed in an online discussion that “we have been working on the intelligence capabilities needed for preemptive strikes.”  

That comment means that the U.S. and South Korea are studying how much they need to know about exactly where and how to destroy the North’s missile and nuclear complexes. It does not mean they’re about to conduct strikes, just that they’re engaging in serious contingency planning. In fact, Scaparrotti acknowledged: “We’re not advancing with the sense of urgency with which we should be advancing.” The North Koreans, he said, are “moving faster than expected.” Obviously, commanders should be ready to strike — whether preemptively or in retaliation — even if they’ll never put their carefully devised plans into practice.

Actually, any preemptive strike at this stage would be risky for several reasons. Most immediately, China, defending North Korea, its old Korean War ally, might jump into the fray as it did in 1950, when Chinese forces poured into North Korea after U.S. and South Korean troops had reached the banks of the Yalu River. The U.S., leading United Nations forces, including South Koreans, had foolishly believed they were on the way to reuniting the two Koreas several months after North Korea’s leader Kim Il-sung, grandfather of the present leader, Kim Jong Un, had ordered the invasion of the South in June 1950.

Yet another risk factor is the disarray of opinion in the South. Lee Jae-myung appears more committed to reconciliation and dialogue with the North than the liberal President Moon Jae-in, who cannot run for a second five-year term. They both believe in appeasement, calling for an end-of-war agreement that could compromise the alliance between the U.S. and Republic of Korea. Lee aspires to co-existence and mutual cooperation, though North Korea has made clear it will stick to its demands for an end to U.S. and UN sanctions and U.S.-South Korean military exercises before even sitting down for talks.

Also weighing against a preemptive strike is the mood in the U.S. and the outlook of President Biden and his aides. They may righteously denounce North Korean missile tests and impose more sanctions, but the prospect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s way down the list of concerns in Washington. Biden has enough on his hands worrying about what Russia might do in Ukraine or when China might advance on Taiwan.

The Biden administration can afford to wave off suggestions by military minds about a preemptive strike on North Korea. Let the generals plan for any contingency, but the policymakers at the State Department and National Security Council aren’t interested right now. Freed from U.S. constraints, South Korea is advancing from short- and mid-range missiles to long-range models capable of devastating targets in North Korea and beyond.

As for South Korea fabricating nuclear warheads to compete with the North, as some conservatives in the South have suggested, South Korean physicists and engineers no doubt have the technology and expertise but are far from making South Korea a rival nuclear power. That idea is not a topic for discussion.

U.S. and South Korean commanders, however, are sure to continue thinking about a potential preemptive strike on the North. To them, the question is, what if Kim seriously escalates the threat level, test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capable of reaching the U.S., develops the technology to affix a warhead to a missile and even conducts another nuclear test?

 

So far, Kim has ordered four nuclear tests since taking over in 2011 from his father, Kim Jong Il, who ordered the North’s first two nuclear tests. The North Koreans conducted their sixth, most recent nuclear test in September 2017, when what may have been a hydrogen bomb exploded much of the mountain in which it was buried, reportedly killing about 200 people. Since then, the North has continued to make warheads and is estimated to have stockpiled about 60.

To U.S. and South Korean strategists, the terrible question will be whether to let the North strike first or beat them to the punch with a blow intended to cripple Kim’s grandiose dreams of intimidating the South while fighting poverty and pandemic at home.

Donald Kirk has been a journalist for more than 60 years, focusing much of his career on conflict in Asia and the Middle East, including as a correspondent for the Washington Star and Chicago Tribune. He currently is a freelance correspondent covering North and South Korea. He is the author of several books about Asian affair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