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윤 당선인에게 "정말 외람되오나".. 기자의 말이 논란 된 이유

by 체커 2022. 3. 16.
반응형

다음

 

네이버

 

'권력 감시' 역할 맡은 기자의 언어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 나와
[박정훈 기자]

▲YTN이 3월 14일 '돌발영상' 유튜브 계정에 올린 [돌발영상] 동상이몽 (국민 통합 강조하면서 "여성가족부는 폐지")영상 중 한 장면ⓒ YTN 유튜브

외람되다: 하는 짓이 분수에 지나치다


지난 15일 SNS를 강타한 말은 '외람되다'였다. 정확히 말하면 '외람되오나'. 한 기자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질문의 본 내용을 말하기 전에 '정말 외람되오나'라고 서두에 덧붙인 것이 화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외람되다'라는 말의 뜻에서 알 수 있듯, 기자가 엄연히 검증과 감시의 대상인 대통령에게 '분수에 지나치다'라며 극도로 자신을 낮추는 태도를 취할 이유는 없다. 게다가 기자로부터 이런 말이 나온 시점이 공교롭게도 윤 당선인이 대통령으로 선출된 지 4일만이었다. 어쩌다가 이런 말이 기자의 입에서 나오게 된 것일까?

윤 당선인 앞 기자의 "정말 외람되오나"... 시민들은 분통 터트려

때는 지난 13일, 윤 당선인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선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한 남성 기자가 인수위 '기획위원회'가 무엇인지 물은 뒤에, 이어서 윤호중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의 말을 전하며 '대장동 특검'에 대한 의사를 물으면서 서두에 "정말 외람되오나"라고 덧붙였다.

당시 기자들과 윤 당선인의 질의응답을 살펴보면 대부분 인수위원회 인선 관련된 내용이었기에, '특검' 관련 질문은 도드라져 보일 수도 있었다. 그러나 기자가 주제와 벗어난 질문을 한다고 해서 '외람되오나'라며 취재 대상 앞에서 자신을 한없이 낮추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해당 기자의 발언은 YTN의 '돌발영상' 코너에 담기면서 널리 알려졌다. 윤 당선인의 여성가족부 폐지 추진과 대장동 특검 관련을 소개하는 영상이었다. 윤 당선인으로부터 "부정부패에 대한 진상 규명에는 그 진상이 확실하게 규명될 수 있는 어떠한 조치라도 국민들 다 보시는데 해야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라는 답변을 얻어낸 기자의 질문의 서두가 "정말 외람되오나"였고, 이를 '돌발영상' 제작진이 자막을 통해 부각시킨 것이다. 

누리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영상 댓글에도 "기자가 눈치를 본다", "기자들이 벌서 알아서 긴다", "기자가 저렇게 공손한 거 처음본다", "우리나라 언론 참담하다"라며 분통을 터트리는 이들이 많았다. 일각에선 기자들이 2019년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라고 물은 것이나, 조국 전 장관 후보자 시절 기자간담회에서 "왜요?"라고 되물은 것을 언급하며 정권이 바뀌려고 하니까 기자들의 태도가 달라지는 게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던지기도 했다.

이밖에도 감시견(watch dog) 역할을 해야 하는 기자가 새로운 권력 앞에서 자세를 낮추는 것이 '상징적'이라는 지적도 나왔으며, 심지어 SNS 상에서는 기자의 멸칭인 '기레기' 대신 '외람이'로 불러야 한다는 조롱이 이어졌다. 

'외람되오나'는 기자들 입에서 흔하게 나오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지난 1월 6일 이준석 대표가 당 대표실 앞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나눌 때 한 기자가 "외람되오나 초선, 대선, 3선 의원 모임에서 대표님의 발언에 대해서 해당행위라는 지적이 나와..."라고 질문을 던진 적이 있다.

"'외람되오나', 국민 대신해서 묻는 기자가 쓸 말 아냐"

 

미디어 전문가들은 기자가 취재원에게 '외람되다'라는 말을 덧붙이며 질문하는 모습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습관이나 겸양의 표시로 넘어가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외람되다'라는 말에 분노하고 우려하는 사람이 왜 많은지에 대해서 기자들이 경각심을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는 "기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 존재인가? 국민의 눈높이로, 국민을 대신해서 묻는 사람이다"라며 "'외람되오나'는 누군가를 '모시는' 사람의 표현이다. 기자가 권력자를 향해서 쓰기에는 문제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기자는 권력자의 눈치를 봐도 안 되고, 그 권력자의 지지자 눈치를 봐서도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김언경 뭉클미디어 인권연구소 소장은 "기자가 예의 바르고 공손하게 질문할 수는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 사회에서 권력을 감시하기 위해 껄끄러운 질문을 해야하는 기자의 화법으로는 ('외람되오나'는) 어색한 것은 사실이다"라고 밝혔다.

김 소장은 "선거 과정에서 윤석열 당선자에 대한 의혹이 제기된 상황에서, 국민들은 묻고 따질 수 있는 기자와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그럼에도 당선인에 대해서 띄워주는 기사만 넘쳐 나오고 있는 가운데, '외람되오나'라는 말이 국민들에게 언론에 대한 실망감을 더해줬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반응형

외람되오나...

 

상대에게 조심스럽게 묻기 위해 먼저 말한 말이죠..

 

결국 상대의 눈치를 보는 발언입니다.. 그걸 기자가 했습니다.. 누구에게? 윤석열 당선인에게..

2:37 이후에 기자의 문제의 발언이 나옵니다.

그럼.. 이렇게 언론이 대통령이나 당선인에게 눈치를 본 때가 언제였을까요? 보수정권 시절 아닐까 합니다.. 노태우.. 전두환 시절은 말할것도 없죠.. 이명박때도 그렇고.. 박근혜때는 아예 질문을 정해서 답변한 적도 있지 않았을까 싶죠..

 

참고뉴스 : 박근혜 회견 사전 질문지 입수… “각본대로 읽고 답했다"

더보기

- 외신기자클럽, “청와대 항의 서한 준비 중...곧 전달”
국민적 관심 속에서 진행됐던 박근혜 대통령 첫 기자회견이 사실상 사전에 짜여진 각본대로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뉴스타파는 지난 1월 6일 열린 박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의 사전 질문지 전문을 입수했다.

 모두 4장으로 된 이 질문지는 ‘대통령 신년 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 질문지’란 제목으로 기자회견 시간과 함께 작성 주체가 ‘홍보수석실’이라고 적혀 있다.
뉴스타파 확인 결과 이 질문지는 기자회견 전에 홍보수석실에서 외부 유출 금지 요청과 함께 일부 청와대 출입기자들에만 공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는 당시 질문한 기자 12명 순서는 물론 자세한 질문 내용이 정리돼 있다.

실제 기자회견은 두 기자의 순서가 뒤바뀐 것 외엔 질문지 내용과 거의 비슷하게 진행됐고, 일부 기자는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질문했다.

특히 추가 질문으로 눈길을 끌었던 박 대통령 퇴근 이후의 사생활 관련 질문 역시  질문지 상에 사전 준비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박 대통령이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내내 준비된 원고를 읽는 장면이 연출된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심지어 당시 질문했던 외신기자 2명의 경우는 외신기자클럽과 협의 없이 청와대가 별도 선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외신기자클럽은 지난 9일 열린 정기 이사회에서 이번 기자회견 문제를 심각히 논의했으며 조만간 항의 서한 등의 형태로 청와대에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청와대 측은 사전 질문지가 홍보수석실이 아니라 기자단 차원에서 작성됐고, 질문할 언론사 선정이나 질문 내용에 개입한 바가 없다며 민정수석실에서 사전 질문지와 관련해 구체적인 경위를 파악 중이라고 해명했다.

 

기자회견 직후 오히려 인터넷에서는 11년 전 참여정부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당시엔 대통령과 기자 사이에 측근 비리 의혹과 관련한 논박이 벌어져 긴장감이 감돌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박 대통령의 기자 회견에는 민감한 질문은 거의 없었다.

박대통령은 국정원 특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재판중이란 이유로 답변을 피해 갔다.

기자에게 무례한 질문은 없다. 미디어는 대의 민주주의 핵심이고, 대통령 기자회견은 가장 뚜렷한 증거.

10명의 미 대통령에게 가장 아픈 질문만 골라 던졌던 전설적인 백악관 출입기자 헬렌 토마스가 남긴 말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도 불통 논란이 끊이질 않는 것은 청와대 출입기자들 책임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각본에 따른 기자회견이 반복되는 한, 기자가 감시견이 아닌 애완견으로 전락했다는 국민들의 질타를 피할 수 없다.

 

참고뉴스 : 이명박 기자회견 ‘언론 사찰’ 질문 없어

더보기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최근 파문이 일고 있는 ‘언론인 성향 조사’ 논란과 관련한 질문이나 언급이 빠진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자회견문 낭독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질문할 매체별 기자와 질의 내용이 사전 조율되면서 논의 과정에서 배제된 일부 기자들의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인수위 쪽은 기자회견 직전에 회견문과 함께 언론사별 기자명과 질의 내용, 순서 등을 보도자료로 배포했다. 이에 따라 지역신문1(대구매일), 종합일간지4(한겨레, 문화, 세계, 경향), 통신1(연합), 경제지1(매일경제), 방송사3(YTN, MBN, MBC), 인터넷1(뉴데일리)개 사가 질문을 담당했다. 질문 내용과 순서 등을 사전 조율한 결과다.

이 과정에서 민영 통신사와 다수 지방언론사, 인터넷 매체가 배제됐고 의견 수렴조차 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 인터넷 신문 기자는 “기자회견 질문에 대해 얘기들은 바도 없고 연락 받은 적도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 통신사 기자도 “사전에 기자회견 질의 여부에 대해 전달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정하 인수위 부대변인은 “종합일간지, 방송사, 경제지는 기자들과 만나 얘기를 했고, 인터넷과 지역 신문은 워낙 많아 간사에게 일임했다”며 “아주 클리어하게 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한 지역 신문 기자는 “한나라당을 오래 출입한 기자들이 됐다”며 “지역 신문 전반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잘라 말했다. 한 일간지 기자의 경우 “질문 선정은 각 언론사 기자가 만나서 논의를 한 것이 아니라 선정된 언론사만이 논의에 참여했다”며 충분한 사전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토로했다. 그러나 또 다른 기자는 “대통령 기자회견은 질문을 미리 정리하는 게 통상적이고 예의라고 본다”고 의견을 달리했다. 

언론 성향 조사 논란 언급이 아예 빠진 것과 관련해 회견에 참석한 한 기자는 “인수위 내부에서 이미 끝난 얘기로 치부했다”며 “질문할 경우 오히려 해명 기회와 사과의 기회만 주는 것일 수도 있다고 보였다”고 말했다. 

인수위에 출입하는 한 방송사 기자는 “방송사 별로 3개씩 질문을 뽑아 간사가 취합했고 전체적인 논의를 통해 질문을 선택했다”며 “논의 과정에서 언론 문제 관련 질문은 빠졌다”고 말했다.

 

그럼.. 진보정권이라 할 수 있는 노무현 정권과 문재인 정권때 언론사는 어땠을까요?

 

관련뉴스 : 청와대 출입기자들, 왜 이렇게 망가졌나

더보기

6일 박근혜 대통령 기자회견 직후 11년 전인 2003년 6월 2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 동영상이 화제다. 두 동영상은 11년의 시간이 말해주 듯이 많은 부분에서 달랐다. 화면에 등장하는 당시와 지금의 화제가 같지 않기에 두 대통령의 기조연설 내용, 기자들의 질문 내용에 확연한 차이가 느껴졌다. 대통령의 말투나 원고를 보는 횟수도 매우 상이했다. 그 중에서 가장 달랐던 점은 날이 선 기자들의 질문이었다.

55분간 진행된 당시의 기자회견에서 노 대통령은 먼저 8분 동안의 모두발언을 했다. 노 대통령은 참여정부 100일이 보람과 아쉬움이 교차하는 기간이었다고 말하며 취임 초부터 한미 문제, 북핵 문제 그리고 SK글로벌 문제로 분주했다고 취임 초기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산적한 현안 이슈에 대해 "거창한 약속이나 구호보다 한 걸음, 한 걸음 목표를 달성해가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심정으로 국정운영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8개 언론사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질문 내용을 보면 사전에 조율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질문자와 대통령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감이 느껴졌다. 첫 질문은 KBS 기자가 했다. 그는 11년 후 <연합뉴스> 기자처럼 '소회'를 묻지 않았다. 한가롭게 향후 국정운영 구상을 묻지도 않았다.

KBS 기자의 질문은 처음부터 공격적이었다. 그는 노 대통령에게 "지금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한 상태인가 아닌가"라고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이어서 "이 부분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보가 부족한 상태인지"에 대해 확인을 요청한 후 "만약 북한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실하게 판명되면 한국의 선택은 어떤 것인가"를 물었다.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은 "지금처럼 협상이 진행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의 노력이 집중되는 시기에 이 같은 해결 노력에 별 도움 안 되는 단정적 인식과 정보 표현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이어서 "큰 원칙은 이미 서 있다"며 "북한 핵은 용납하지 않는다, 평화적 수단으로 해결한다, 북한을 개방하게 도와준다" 등을 열거했다.

노 대통령은 누구처럼 '통일은 대박이다'라고 말하지 않았다. 당시 북핵으로 불안해 하는 기자와 국민들에게 '큰 원칙'을 논리적으로 설명해준 것이다.

<동아일보>의 막 나가는 질문, 대통령의 생생한 대응 

11년 전 참여정부 '100일 기자회견'의 백미는 두 번째 질문자로 나선 <동아일보> 기자의 질문과 함께 시작한다. 질문할 기자를 지명한 청와대 담당자는 <동아일보> 기자가 무슨 질문을 할지 사전에 내용을 전달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사전에 알았더라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질문을 바꾸든지 아니면 기회를 주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동아일보> 기자는 매우 악의적인 질문을 던졌다. 노 대통령이 부정선거 의혹이라도 받고 있었던가. 기자는 "대통령 후원회장이었던 이기명씨의 용인 땅 매매와 개발 문제를 둘러싸고 많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이런 문제에 대해 대통령이 소극적으로 해명함으로써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분명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요구했다. 질문인지, 취조인지 헷갈릴 정도로 날이 서 있었다. 

이 질문을 받은 화면 속 노 대통령은 다소 흥분한 듯 언성이 커졌다. 노 대통령은 "의혹을 제기하는 근거가 뭔가"라고 되물으며 "인가권은 용인시장, 경기도지사가 가지고 있는데 용인시장이 민주당 시장이냐, 노무현 측근이냐, 그렇지 않다. 경기도지사도 한나라당이다"라고 의혹을 일축했다. 이어서 노 대통령은 한나라당의 정치공세를 보수언론이 확대재생산하는 것에 대한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한국일보>의 말투 공격, 이에 대한 대통령의 장황한 해명

이어 <한국일보> 기자는 노 대통령의 아킬레스건인 말투와 표현 문제를 질문의 소재로 삼았다. 기자는 "(대통령의) 거친 화법이나 역설적, 반어적 표현이 문제로 거론되기도 한다"면서 "일부에서는 대통령 발언이 불필요하게 국정혼란 원인이 된다거나 관련 장관들의 앞서가는 발언이나 다변이 시스템 작동을 마비 혹은 편향되게 간다는 지적이 있다"고 질문했다.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은 "탈권위 문화는 시행착오가 있더라도 추구해보고 싶은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아직 이중성을 갖고 있다"고 말한 후 "미국 대통령은 자주 TV에 나오는데 거부감이 없으면서 한국 대통령은 너무 자주 나온다고 해서 제가 요즘 못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노 대통령은 '쪽수' '깽판' 등 발언을 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다고 말하며 "제가 대중집회, 대중강연을 좋아하다 보니까 (그런 발언을) 버리지 않고 많이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스로 제어하지 못해서 때때로 표출된다고 하며, 때로는 노동자와 얘기할 때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 사용한다고 부연했다.

당시 질문을 한 언론사 중에는 11년 후 박근혜 정부로부터 '유사언론'으로 낙인 찍히게 된 <기독교방송(CBS)>도 포함돼 있다. <기독교방송> 기자는 "언론과의 긴장관계를 강조했고 오늘도 그런 언급이 있었다"면서 "그런데 최근 오찬에서는 언론의 협조를 구하기도 했다"고 언급하며 "언론과의 관계를 재정립하시기로 한 의향을 밝힌 건지"를 물었다.

노 대통령은 언론과의 관계는 '원칙적 관계'로 가겠다고 답변했다. 화가 나는 일이 있지만 감정적 대응을 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그는 "기사에 대해 대응할 것은 대응해 나가고 원칙대로 할 것"이라며 "그 밖에 다른 수단도 동원할 생각 없다"고 답했다. 이어서 "정말 의혹 있는가 확신 있을 때 기사를 써달라"면서 "나는 신문도 없고... 억울하게 당한 사람 없게 기사 써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당시 청와대 출입기자들은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대립각을 보였죠.. 공격적인 질문을 했던 기자들이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어땠을까요?

 

참고뉴스 : "솔직 답변", "사안 회피" 엇갈린 평가... 날 선 질문 부족 아쉬워

더보기

“원론적이긴 했지만 솔직하고 단호했다.” “두루뭉술하게 사안을 회피하려는 회견으로 보였다.”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 참여한 기자들의 평가는 다소 엇갈렸다.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과 관련한 대통령의 입장을 두고도 누구는 “분명히 선을 그었다”고 호평했고 누구는 “핵심을 비껴갔다”고 지적했다. 기자들 간 입장 차, 또 기대감에 따라 생각이 달랐겠으나 집권 5년차 기자회견으로선 아쉽다는 평가는 공통적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2021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기자회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고려해 사상 최초로 온·오프라인 화상 연결 방식으로 진행됐다. 사전에 청와대 출입기자들 간 협의를 통해 현장에 배석할 기자 20명과 화상으로 연결할 기자 100명이 정해졌으며 기자회견에 참여하지 못한 기자들은 채팅방을 통해 대통령에게 질문을 전달했다. 청와대 출입기자단 간사인 A 기자는 “전체 출입기자가 약 300명 정도 되는데 이 중 대통령 근접 취재를 할 수 있는 ‘풀(Pool)기자단’ 소속 기자와 풀기자단에 소속돼 있지 않은 기자, 외신기자 수에 비례해 현장 참여 인원과 화상 연결 인원을 할당했다”며 “이 비율 안에서 추첨을 통해 참여할 기자를 선발했다. 첫 온·오프라인 기자회견인 만큼 리허설도 네 차례에 걸쳐 진행했는데, 접속 환경 제한 때문에 많은 기자들이 빠져 오히려 나중엔 참여 인원을 채우느라 애를 먹었다”고 전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예년과 같이 ‘각본 없는 기자회견’으로 진행됐다. 질문자와 질문 내용에 대한 사전 조율을 배제하고 문 대통령이 사회자로 나서 직접 질문자를 지목하고 질의응답을 이끌었다. 2시간가량 진행된 회견에선 전직 대통령의 사면 외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교육 양극화 및 백신 접종, 법무부-검찰 간 갈등과 부동산 대책 등에 대한 질의들이 쏟아졌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 시종일관 차분한 어조로 답변했으나 답변 내용에 대한 기자들 간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청와대에 출입하고 있는 B 기자는 “내년에 대선이 있기 때문에 사실상 올해가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을 정리하는 해인데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해의 비전이 보이지 않아 아쉬웠다”며 “그동안 못 했던 것과 잘 했던 것들을 대차대조표로 그려, 그렇다면 올해는 이걸 꼭 하겠다고 힘주어 얘기했어야 했는데 그런 분위기 조성에 실패한 것 같다. 전직 대통령 사면 같은 과거 문제가 나오는 통에 국정 우선순위나 미래 희망이 아닌 과거에 발목 잡힌 형국이 되어 버렸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출입 C 기자는 반면 “윤석열 검찰총장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갈등과 관련해선 대통령이 최선을 다해 답변했다 생각한다. 정치 영역은 준비를 많이 하셨는지 평소 철학을 잘 엿볼 수 있었다”며 “오히려 답변보단 날 선 질문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애초 대통령 기자회견에 대한 기대치 자체가 낮아서 그런 건지, 잘못 질문하면 비난이 쇄도해서 그런 건지 전반적으로 기자들의 질문이 좀 아쉬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회견에서 가장 문제로 지적됐던 것은 청와대가 임의로 나눈 질문 분야와 순서였다. 방역·사회, 정치·경제, 외교·안보 순으로 기자들이 질문하도록 했는데 성격이 비슷한 정치와 사회가 분리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방역이 맨 처음에 오는 탓에 혼란이 컸다고 기자들은 입을 모아 말했다. B 기자는 “이번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코로나19가 아니었다. 코로나19는 매일 정부가 브리핑을 하는 데다 새로 나올 내용도 없었다”며 “정부가 방역 성과를 홍보하고 싶다면 기자회견 맨 뒤에 관련 질문을 따로 물어봤어도 됐다. 그런데 코로나19로 기자회견 초반 20분을 잡아먹은 상태에서 정치경제 외교안보 순으로 넘어가니 기자회견 자체가 맥이 빠져 버렸다”고 혹평했다.

 

청와대에 출입하고 있는 D 기자도 “제한된 시간 안에 주요 이슈들을 모두 물어봐야 하니 기자들 마음이 매우 급했다”며 “그러다 보니 분야별 경계가 흐트러지면서 질문들이 중구난방 나오고, 전체적인 맥도 계속 끊어진 것 같다”고 했다.

 

이 때문에 일부 기자들은 각본 없는 기자회견이 무조건적으로 옳은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C 기자는 “즉흥적으로 질답이 이뤄지다 보니 분야별 안배도 안 된 것 같고 기자들 간 질문 기회 역시 균등하게 돌아가지 못 한 것 같다. 비수도권 지역 기자들이 질문 기회를 거의 못 얻어 애초에 기자단 비율대로 참여 기자를 선발한 의미가 없어졌다”며 “청와대도 그렇고 기자들 역시 이 문제를 좀 더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아영 기자 sbsm@journalist.or.kr

 

기자회견마다 평이 다르지만 각본 없이 대부분을 진행했습니다..

 

그럼 앞으로 윤석열 당선인의 기자회견은 어떨까요? 

 

아직 시작하지도 않았죠.. 하지만 기자의 저 문제의 발언을 통해 앞으로는 언론사가 알아서 질문하겠다는 의향이 내포된 것이라 해석하면 과연 기자들이 부정할까 싶더군요..

 

은연중 기자가 본심을 드러낸 것이라 볼 여지가 있죠..

 

아직 한명의 기자의 발언일 뿐입니다.. 

 

그런데... 현재 언론자유화지수가 왠지 떨어질것만 같은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싶습니다.

 

참고로.. 2021년 한국의 언론자유화지수는 42위죠..

 

참고링크 : 언론자유화지수(2021)

Distinct improvement after a bad decade The election of Moon Jae-in, a human rights activist and former political prisoner, as president in 2017 has been a breath of fresh air after a bad decade in which South Korea fell more than 30 places in RSF’s World Press Freedom Index. The South Korean media showed their grit in the course of the battle they waged with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6, and finally won when she was impeached for corruption and removed. The Moon administration managed to end the decade-old conflict at the public broadcasters MBC, KBS and YTN, where journalists objected to having bosses foisted on them by the government. Nonetheless, structural problems remain. The system of appointing managers at the public broadcasters needs to be revised in order to guarantee their independence. Defamation is still theoretically punishable by seven years in prison and needs to be decriminalised. And South Korea needs to repeal laws that, on national security grounds, provide for extremely severe penalties for the dissemina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especially if it involves North Korea.


나쁜 10년 후의 뚜렷한 개선 인권 운동가이자 전 정치범이었던 문재인이 2017년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은 한국이 RSF의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30계단 이상 떨어진 나쁜 10년 이후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넣었습니다. 한국 언론은 2016년 박근혜 대통령과의 싸움에서 투지를 보여줬고, 결국 부패 혐의로 탄핵돼 해임되면서 승리했다. 문재인 정부는 공영방송인 MBC, KBS, YTN에서 10년 간의 갈등을 끝내는데 성공했다. 언론인들은 정부가 상사에게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공영방송의 경영자 임용제도가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편이 필요하다. 명예훼손은 여전히 ​​이론적으로 7년형에 처할 수 있으며 비범죄화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한국은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특히 북한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의 전파에 대해 극도로 엄중한 처벌을 규정하는 법률을 폐지해야 합니다.

[세상도움거리/일반] - 언론 자유 지수(World Press Freedom)

 

[내용추가]

문제의 발언을 한 기자의 입장이 나와 내용을 추가합니다. 그리고.. 문제의 발언을 한 기자가 속한 언론사는 연합뉴스TV입니다.

해당 기자는 미디어오늘에 “당 지도부가 아닌 당선인한테 타당 지도부가 한 말을 그대로 옮기면서 답변을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서, 인수위 관련 발표를 하기 위한 질답을 받는 자리에서 다른 정치 현안을 묻는 부분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1인 1질문 체제에서 질문을 연달아 두개 하는 부분에 대한 양해를 총체적으로 구하는 차원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당일 현장에서 두 개의 질문을 잇따라 하는 과정이었고, 기자회견 주제와 관련 있는 첫번째 질문을 할 때는 '외람되오나'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다”고 전했다.

해당 기자는 “질문 2개를 하는 상황에 대해 양해를 구하는 의미와, 당사자에겐 민감할 수 있는 특검 수사에 대해 묻고 답변을 얻어내기 위한 차원도 있었는데, 이런 상황은 무시한 채 '외람되오나'를 부각한 점, '질문의 내용'을 자막으로 처리한 다른 사례와 달리 질문의 내용이 아닌 '외람되오나'를 자막으로 처리한 점 등 의도성이 다분한 만큼, (YTN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말 외람되오나" 尹 당선자 향한 기자 발언 논란 / https://news.v.daum.net/v/20220316152758922
18:45부분 이후에 논란의 기자의 발언이 나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