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한밤중 아픈 배 달래던 공공야간약국, 문 닫으면 새해엔 어디 가야하나

by 체커 2023. 12. 27.
반응형

다음
 
네이버
 
“여보세요. 네, 약국 1시까지 합니다.”

지난 25일 오후 9시50분 서울 용산구 수복약국에 전화벨이 울리자 약사 김모씨(76)가 전화를 받고 약국 영업시간을 안내했다. “약국 1시까지 하는 것 맞냐는 전화가 하루에도 대여섯번씩 오곤 한다.” 김씨가 말한 지 3분 만에 전화벨이 다시 울렸다. 코감기가 심한데 본인이 갖고 있는 약을 써도 되냐는 문의 전화였다. “이부펜하고 있는 거 두 가지 쓰면 코감기에 잘 들 거예요.” 김씨가 전화에 대고 설명했다.

성탄절이던 이날 인근 8개 약국 중 문을 연 곳은 수복약국 한 곳뿐이었다. 김씨는 이튿날 오전 1시까지 문을 열어둘 것이라고 했다. “약속한 것인데 당연히 열어야 하지 않겠냐”고 말하는 김씨 등 뒤로 ‘공공야간약국, 365일 새벽 1시까지 문여는 약국’이라고 적힌 LED 간판등이 반짝였다.
 
수복약국은 서울시가 2020년부터 지정·운영 중인 33개 공공야간약국 중 한 곳이다. 김씨는 4년 전 서울시로부터 매일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 문을 여는 야간약국 지원사업에 참여하겠느냐는 제안을 받았다. 약국과 한 건물에 살고 있어 평소에도 밤 12시까지 약국 문을 열어두곤 했지만 시와 매일 문을 열겠다고 약속하는 건 또 다른 문제였다. 김씨는 오랜 고민 끝에 ‘한번 해보자’ 다짐했다고 했다.

김씨가 고심 끝에 한 다짐은 새해에 뜻하지 않게 무너지게 됐다. 서울시가 내년도 예산 미확보를 이유로 새해부터 공공야간약국 사업을 종료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서울시는 공공야간약국 외에도 밤 10시 이후 문을 여는 약국이 144개 있으며 편의점에서도 안전상비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공공야간약국은 지난 4년간 시민들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시설로 거듭난 터다.
 
이날 밤 10시부터 3시간 동안 수복약국을 직접 찾은 사람은 7명이었다. 문 연 약국을 찾아 휴대전화의 지도어플을 켜고 찾은 사람도, 택시를 타고 멀리서 급히 약국을 찾은 사람도 있었다. 이날 오후 10시53분쯤 맨발에 슬리퍼를 신은 젊은 남성이 약국으로 들어왔다. “자극적인 음식 먹고 위가 쓰리다는데 어떡하죠? 그냥 타이레놀 먹어도 되나요?” 지인 대신 약을 사러 온 남성이 다급하게 묻자 김씨가 무엇을 먹고 아픈 것인지 확인한 뒤 진경제를 내어줬다. 진통제를 먹으면 속이 더 쓰릴 수 있으니 못 먹게 하라는 말도 덧붙였다. 약을 받아 나가는 남성 뒤로 택시에서 내린 젊은 여성이 한 손으로 허리를 짚고 들어왔다. 낙지를 먹고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는 여성은 약을 구매한 뒤 같은 택시를 타고 돌아갔다.
 
약국을 찾은 사람들의 증상은 대부분 몸살감기나 급한 위경련이었다. 이날은 없었지만 한밤중 어린 자녀가 고열이 난다며 전화로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야간에 아이가 열이 나서 급했는데 해열제를 구할 수 있었다’ ‘급할 때 덕분에 살았다’는 후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김씨는 공공야간약국이 없으면 비응급·경증 환자들이 갈 곳이 없어질 것을 걱정했다. 그는 “이런 비응급 환자들이 모두 119에 전화하거나 응급실로 가게 되면 정작 응급환자들 처치가 어려울 만큼 응급실이 바빠질 것”이라며 “일상적인 처치를 위해 야간약국이 생각보다 큰 역할을 한다”고 했다.

김씨는 서울시가 공공야간약국 사업을 중단해도 약국 문을 자정까지는 열 계획이라고 했다. 하지만 모든 공공약국이 단지 보람 때문에 지원도 없이 그러기는 힘들 것이라고 했다. 약국과 멀리 떨어져 사는 약사들이 운영하거나 약사 여러 명을 고용하는 곳이면 지원금 없이 자발적으로 매일 밤 문을 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날 오후 11시26분 목감기와 코감기가 심하다는 젊은 남성을 끝으로 수복약국을 찾는 발길이 끊겼다. 자정이 되자 주변 주택가는 더욱 조용해졌지만 김씨는 서울시, 그리고 시민들과의 약속이라며 한기 드는 약국 안에서 오전 1시까지 불을 켜고 기다렸다. 오전 1시5분, 수복약국만 불이 켜져 있던 골목길에 셔터 닫는 소리가 들렸다.
 
김송이 기자 songyi@kyunghyang.com


반응형

서울시 공공야간약국 이야기입니다.. 서울시민들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네요.
 
야간에.. 대부분의 약국은 문을 닫습니다. 다만 몇몇 약국은 밤 늦게까지 영업을 하죠.
 
이유는 응급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 약국을 찾는 이들이 있기 때문일 겁니다.
 
서울시가 관련해서 예산이 줄었다는 이유로 공공야간약국을 끝낸다고 합니다.
 
야간이 되어 약국이 문을 닫아도.. 사실 상비약 정도는 얼마든지 구할 수 있긴 합니다.. 편의점에서요..
 
그런데 문제는 증세에 따른 적절한 약을 찾는게 힘들다는 것이죠.. 종합감기약..같은.. 광범위 증세에 대응할 수 있는 약이 있지만.. 특정 증세에 대한 약은.. 결국 관련 성분을 아는 약국에서나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서울시에서 야간 공공약국 정책이 끝난다고 하는 것 같으니.. 중요한건 증세에 따른 상비약.. 혹은 어떤 약을 찾아야 할지 알 수 있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나 싶네요.. 관련 정보를 찾아.. 이젠 준비해둬야 하지 않겠나 싶군요. 약을 사놓지 않아도.. 어떤 증세에 어떤 약을 구매해야 하는지 정도만 알아도 유용하지 않겠나 싶네요.
 
참고링크 : 내 약 사용설명서
 
참고뉴스 : 집에 꼭 구비해놓아야 할 약(藥) '10가지'

더보기

해열진통제·소염진통제 
열이 나거나 통증이 있을 때를 대비해 진통제를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젠통제'와 이부프로벤 성분의 '소염진통제'를 모두 갖춰놓는 게 좋다. 해열진통제는 통증 완화와 해열 효과가 있고, 소염진통제는 이 두 가지 효과 외에 염증을 없애는 작용까지 한다. 해열진통제가 부작용 위험이 더 적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열진통제를 쓰는 게 낫다. 해열진통제는 보통 부기나 발열 없는 통증, 단순 발열에 쓰인다. 소염진통제는 생리통, 긴장성 두통, 염증성 근육통,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이다.

감기약(코감기약·기침감기약)
코감기약과 기침감기약을 각각 준비한다. 종합감기약이 있을 때는 해열진통제 성분이 들었는지 확인, 진통제와 동시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알레르기약
봄이나 가을 같은 환절기에 주로 쓰인다. 피부 알레르기를 비롯해 기침, 콧물, 비염 증상이 생길 때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항(抗)히스타민 성분 탓에 졸릴 수 있어 주의한다. 히스타민은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해 뇌를 각성시킨다.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는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 수용체에 달라붙지 못하게 해 뇌의 각성을 강하게 막아 졸음을 유발한다.

소화제
소화불량은 성인 10명 중 1명이 앓을 정도로 흔한 증상이다. 소화가 안 돼 속이 더부룩하거나 답답할 때 먹는다. 소화효소나 위장관 운동 촉진제 성분이 든 제품이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제산제
과도한 위액 분비를 막는 약이다. 갑자기 속이 쓰릴 때는 효과 빠른 액상 타입을 복용하고,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알약을 먹는다. 증상이 2주 이상 안 없어지면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설사약
열이나 복통이 없이 설사만 생기면 로페라마이드 성분의 약을, 음식을 먹은 후 설사가 생기면 스멕타이트 성분의 약을 먹는다.

습윤밴드
습윤밴드는 보통 ‘하이드로콜로이드’ 재질로 된 밴드를 말한다. 상처 전체와 밀착돼, 물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한다. 상처에서는 진물이 나오는데, 습윤밴드를 붙이면 진물이 잘 보존된다. 진물 속에는 상처를 회복시키는 각종 성장인자가 있어, 상처를 빨리 낫게 하고 흉터가 덜 생기게 돕는다. 피부가 까지거나 베였을 때 딱지가 생기기 전에 붙이면 된다. 피부가 예민하거나, 화상을 입었거나, 감염된 상처에는 쓰지 않는다.

상처연고
감염 우려가 있을 때 바른다. 상처 부위가 빨갛게 부어오르고 열이 나면 감염된 것이다.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연고와 스테로이드 연고
벌레 물린 데가 많이 붓고 가려울 때 약산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한다. 단, 7일 이내로 써야 한다

핫파스·쿨파스, 압박붕대
타박상을 입은 직후에는 쿨파스, 48시간이 지나면 핫파스를 쓴다. 타박상 직후에 열기를 더하는 핫파스를 쓰면 손상 부위 혈관이 확장돼 출혈과 부기가 심해질 수 있다. 초기에는 시원한 쿨파스로 혈관을 수축시키는 게 안전하다. 상처 후 48시간이 지나도 관절 등이 붓거나 열감이 느껴지면 쿨파스를 붙인다.

이런 보도에.. 많은 이들이 아쉬워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응급상황이 발생해서.. 야간 약국에 방문해서 위기를 넘긴 이들도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약국을 운영하는 이들도 사람인지라 하루종일 약국을 지키는 것도 체력에 문제가 있기도 할테고.. 그리고 야간까지 운영하면서도 야간에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운영비가 더 많이 들어가는게 요즘 현실이라는 몇몇 보도를 보고.. 그들에게 밤.. 새벽까지 운영해달라 요구하는건 좀 힘들겠죠.
 
그리고.. 이런 보도가 다른 지자체의 비슷한 정책에도 영향을 주는거 아닐까 내심 걱정도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