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관련 정보
관련링크 : 질병관리본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발생현황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국내 발생 현황(1.30일 09시 기준) (확진환자) 4명, (조사대상 유증상자) 240명(격리해제 199명, 격리 중 41명) 국외 발생현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환자 총 7,808명(사망 170) 보고(1.30일 12시 기준) (중국) 7,711명(사망 170) (아시아) 태국 14명, 홍콩 10명, 마카오 7명, 대만 8명, 싱가포르 10명, 일본* 9명, 말레이시아 7명, 베트남 2명, 네팔 1명, 캄보디아 1명, 스리랑카 1명, 아랍에미리트 4명 (아메리카) 미국 5명, 캐나다 3명 (유럽) 프랑스 4명, 독일 4명 (오세아니아) 호주 7명 * 일본에서 무증상 병원체보유자 2명 확인 * 자세한 국가별 발..
2020. 1. 29.
2017년 작성된 기무사 계엄대비문건
관련링크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나무위키) 관련링크 : 대비계획 세부자료(구글드라이브) 계엄령 문건 전문의 주요 내용 계엄사령관 문건에서는 계엄사령관으로 합동참모본부 의장과 1, 2, 3군 사령관을 배제하고 있다. 문건상에서는 이들 육군 대장 4인은 군사 대비태세 확립에 대비라고 되어 있다. 그런데, 참조를 보면 1, 2, 3군 사령관은 각각 1, 2, 3지구계엄사령관으로 배정되어 있다. 참고로 문건에는 이름을 적시하지 않았으나 당시 합참의장은 이순진 육군 대장이며 1, 2, 3군 사령관은 각각 김영식 대장, 박찬주 대장[15], 엄기학 대장이다. 대신 후보로 올려놓은 것이 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합동참모본부 차장이다. 그러나 이중에서도 연합사 부사령관은 전시 지상군구성군 사령관..
2019.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