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친윤’ 장제원 해양대 석좌교수로…자격 지적한 교수회 묵살

by 체커 2024. 8. 21.
반응형

다음

 

네이버

 

여권 인사 2명도 특임교수

 

‘친윤석열계 핵심’이었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자격 미달’ 논란에도 국립한국해양대학교(해양대) 석좌교수에 임용됐다. 연구·교육 실적이 전무한 여권 인사 2명도 해양대 특임교수에 임용되면서 학내에는 ‘국립대 사유화’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장 전 의원은 지난 6월 한국해양대 해양행정학과 2024학년도 1학기 석좌교수에 임용된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당시 채용공고를 보면, 담당 업무는 ‘행정학 관련 통합행정 및 행정 전산화, 비전 제안 등’인데, 장 전 의원이 후보로 거론되자 해양대 교수회 쪽은 그가 전문성을 갖추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통상 대면으로 이뤄지던 인사위원회 심의도 서면으로 대체되면서, 임용 적절성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양대 교수회 집행부는 지난 6월 ‘장 전 의원의 석좌교수 신규임용 과정 중단을 요청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문제를 공론화했다. 교수회는 “장 전 의원은 석좌교수 임용 자격 3가지 요건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며 자격 논란을 제기했다. 해양대 학칙상 석좌교수는 △노벨상 등 국제 학술상을 받거나 △특정 학문에서 20년 이상 종사하고 탁월한 업적을 이뤘거나 △탁월한 공직 경험과 전문성으로 대학발전에 지대한 공헌이 있는 경우여야 한다. 해양대 역대 석좌교수는 해양수산부 장·차관 출신이거나 해양·무역 분야에서의 석학이었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장제원 전 의원의 ‘석좌교수 연구계획서’.

장 전 의원이 제출한 ‘석좌교수 연구계획서’도 교수회가 “구체적인 내용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하는 등 입길에 올랐다. 한겨레가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장 전 의원의 ‘석좌교수 연구계획서’ 분량은 30줄 정도였고 ‘연구실적물 내역’은 공란이었다. 해양 분야 비전문가인 장 전 의원은 3선 기간 동안 해양 관련 상임위 활동 이력도 없다. 학위는 2001년 중앙대에서 받은 언론학 석사가 전부다. 부산 정가에서는 해양대 석좌교수 자리가 장 전 의원이 향후 해수부 장관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라는 이야기도 돌고 있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장제원 전 의원의 ‘연구실적물 내역’

부산 지역의 여권 인사 2명이 장 전 의원보다 두달 앞선 지난 4월 해양대 특임교수에 임용된 것도 논란이다. 김아무개 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은 지산학(지자체·기업·대학) 협력 분야 특임교수로, 장아무개 국민의힘 부산시당 청년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은 교육혁신 분야 특임교수로 임용됐다. 이들도 지원 자격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무사히 채용됐고 연보수 2400만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학내에서는 이런 인사가 올해 2월 임명된 류동근 해양대 총장의 사적인 보은 성격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류 총장은 총장임용후보자 선거에서 2순위 후보였지만 1순위였던 도덕희 전임 총장을 제치고 임명됐다. 국립대 총장 임용은 학내 선거로 1·2순위 후보가 결정되면 교육부 심의, 인사혁신처 제청, 국무회의 심의·의결, 대통령 재가를 거쳐 확정된다. 해양대의 한 교수는 “학교가 아닌 개인적 필요나 정치적 필요로 교수직을 내주는 건 국립대학 사유화”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해양대 관계자는 “인사위원회가 전체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하면 끝나는 것”이라며 “내부적인 절차에 의해 논란을 해결한 상황이라 절차적으로 문제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장 전 의원은 한겨레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반응형

석좌교수라는게 뭘까요...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이룬 학자에 대하여 대학이나 외부에서 기금을 마련하여 초빙한 석학

대학이나 외부에서 기금을 마련해서 초빙한 이들이기에.. 그에 맞는 수준의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지 않나 싶죠..

 

그런데.. 대학에서 석좌교수직에 대해 의미심장한 내용이 있더군요..;;

그런데, 최근에는 각 대학에서 정관계 로비용으로 석좌교수직을 운용하는 경우가 있다.

즉, 특별히 학문적 업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관계 높은 자리에 있었던 사람에게 석좌교수 자리를 주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정관계 로비용(혹은 보험용)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많다.

위의 보도에 나온.. 장제원 전 의원도 결국 로비용으로 석좌교수직을 제안하고 받아들인거 아닌가 의심합니다.

 

그리고 장제원 전 의원도 석좌교수직 이력으로 나중에는 장관직을 얻을려는 목적도 있지 않나 싶고.. 혹은 자신이 소유한 사학재단에 이력을 남길려는 것 아닐까도 싶고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