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국제

찍자마자 전 세계로 수출?..부끄러운 'K-신문' 열풍

by 체커 2021. 4. 8.
반응형

다음

 

네이버

 

찍자마자 전 세계로 수출?..부끄러운 'K-신문' 열풍

[뉴스데스크] ◀ 앵커 ▶

얼마 전, 유명 온라인 게시판에서 화제가 된 사진들입니다.

태국 방콕에 있는 가구 전문점 이케아의 포장대에 한국 신문이 잔뜩 쌓여 있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궁금하다는 겁니다.

저희가 그 이유를 역으로 추적해 봤더니 한국 신문 업계의 고질적인 병폐, '발행 부수 부풀리기'와 맞닿아 있습니다.

취재를 하면 할수록 읽으라고 발행한 신문이 아니라 포장에 쓰라고 유통한 신문지가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였습니다.

전준홍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오늘 낮, 태국 방콕의 이케아 매장.

가구나 소품 포장에 쓰라고 신문이 잔뜩 쌓여있습니다.

동아일보에 매경-한경-서울경제 등.

작년 12월에 인쇄된, 펼쳐보지도 않은 새 신문들입니다.

왜 태국 매장에 한국 신문이 이렇게 많을까.

방콕 이케아측에 물었더니, "코로나로 포장지 구하기가 힘들어져, 한국산 신문지를 사왔다"고 답합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꽃을 감싸고 있는 것도 한국 신문.

파키스탄 길거리 음식은 아예 조리 직후 한국 신문지에 담아서 팝니다.

태국에선 시골에서도 한국 신문 포장이 흔합니다.

[A씨/방콕 시민] "제 생각에 시장에서 (한국 신문) 많이 본 것 같아요. 채소나 과일 살 때 포장을 해줘요. 바나나나 두리안 같은…"

태국과 필리핀 등의 인터넷 쇼핑몰에선 한국 신문을 손쉽게 살 수 있습니다.

가격은 킬로그램당 우리돈 오백원 정도.

콩기름으로 인쇄해 친환경적이고, 기름기도 잘 흡수해 좋다는 게 현지 평입니다.

이베이나 알리바바 같은 글로벌 쇼핑몰에선, 한국 신문을 사면, 미국·중국은 물론 러시아와 리투아니아까지 배송된다고 나옵니다.

다른 나라 신문지도 팔리고는 있지만, 한국 신문은 포장도 안 뜯은 새 것인데다, 한번에 몇십톤까지 대량 주문이 가능해 인기가 많습니다.

국내 업자들도 해외 수출에 적극적입니다.

[신문 수출업자] (새 신문지 수출하신다고 하셔서…구체적으로 어디로 얼마나 가는지?) "됐어요." (물량 정도만이라도…) "뚝"

경기도의 한 파지 집하장.

포장도 안 뜯은 신문들이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컨테이너로 옮겨지고 있습니다.

일부는 계란판 제조나 애완동물 배변용 등으로 국내에서 소비되지만, 상당수는 수출됩니다.

[파지업체 직원] "제일 큰 신문사가 (파지) 제일 많아요. 다 똑같아요. 조·중·동 다 거기서 거기예요."

매년 백,이백톤 수준이던 신문 수출량은 2018년 1천톤을 넘기더니, 2019년엔 4천 500톤, 지난해엔 1만 8천톤으로 급증하는 추셉니다.

이유가 뭘까.

2019년 국내 종이신문 구독률은 6.4%.

10년새 4분의 1로 급감한 반면, 같은 기간 신문 발행부수는 거의 줄지 않고 그대로입니다.

펼쳐보지도 않은 새 신문이 점점 더 많이 남아돌 수밖에 없는 겁니다.

신문사의 영향력을 결정하는 유료부수도 조작이 의심됩니다.

신문 발행부수를 집계하는 ABC협회가 지난해 밝힌 발행부수 대비 유료부수 비율은 조선일보의 경우 96%.

그러나 문체부가 조선일보 지국 9곳을 조사한 결과, 유료부수 비율이 60%대로 나타나, 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김동조/전국신문판매연대 위원장] "구독자 수가 줄었으니까 (지국의) 구독료 수입이 줄잖아요. 폐지를 팔아서 지대(신문대금)를 낸다니 이게 말이 됩니까."

신문 발행부수, 특히 유료부수는 광고 단가 뿐 아니라, 국가 보조금을 책정하는 중요한 기준.

신문사들이 읽지도 않을 신문을 찍어내 밀어내다시피 지국에 팔고, 감당 못한 지국들이 해외 판로까지 개척하면서, 민망하고 부끄러운 '신문지 한류'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전준홍입니다.

(영상편집: 신재란 / 자료출처: The Food Ranger(유튜브))


 

한국의 신문이 해외에서 인기라고 합니다.. 뉴스를 많이 보나 싶을텐데.. 포장지로 인기가 있다고 하네요.. 

 

이게 논란이 되는게.. 위의 언론사 보도내용에도 있지만 해외의 신문지의 경우 읽고 버린 신문지가 대부분이라 더럽기도 하고 재포장 과정에서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신문도 있는데..

 

한국의 신문지는 비닐로 포장하고 끈으로 묶여 있는 새것 그대로 해외에 수출된다고 하네요..

 

제대로 읽지 않고 그대로 해외에 포장지로.. 폐지로 수출되는게 현 상황...

 

한국의 신문이 읽히지 않아 해외로 나가는게 문제가 될까 싶은데.. 문제는 신문을 발행하고 유통하는데 국고가 들어가기 때문에 논란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보여집니다..

 

국고가 어떻게 들어갈까요? 

 

발행부수에 따라 지원금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대형 신문사의 경우 한국 ABC협회에서 유료부수 인증을 받으면.. 이 인증을 토대로 국가지원금이 들어가고.. 신문에 들어갈 광고의 광고비가 책정이 됩니다.. 즉 유료부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지원금과 광고비가 많아질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특히 유통에 관련되어선 국가 및 지자체에서 지원금이 나오는데.. 근거는 지역신문발전지원 특별법에 근거하여 지원됩니다.. 지역신문이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원천중 하나죠..

 

관련링크 : 지역신문발전지원 특별법

 

그럼 인증을 하는 협회인 ABC협회가 제대로 인증을 하면 국고가 샐리 없는데.. 문제는 ABC협회가 공정하게 유료부수 검증을 하느냐.. 한다면 그게 아니라는게 현재의 여러 언론사 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관련뉴스 : 뉴스를 만드는 그 많은 돈은 누가 내고 있을까?

 

ABC협회가 대놓고 조작을 하느냐.. 그건 아닐수도 있습니다.. 다만.. ABC협회가 유료부수 책정을 위해 조사를 할 때.. 언론사에서 움직여 유료부수 뻥튀기가 되도록 한다는게 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신문사 본사에 지국을 담당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분들은 ABC 협회에서 조사하는 기간이 되면 2~3개월 동안은 우리와 업무를 안 해요. 대신 ABC 공사 대상 지국으로 선정된 곳에 가서 작업을 하는 거죠. 3~4일 전에 미리 어느 지국에 가서 조사하겠다고 하는데 다 조작하란 이야기 아니겠어요?" (한상진/00일보 지국장)]

 

["실제 지국에는 50개뿐이 안 살아있는데 70개를 만들어 놓는다는 얘기죠. 70개 또는 80개를 만들어 놓는데. 그 부수를 본사에서 전산을 조작해서 유료 독자로 만들어 놓습니다. 실제 증거를 찾을 수가 없으니까 그냥 그렇게 조작은 되고 있다는 것은 대부분 감지를 하고 알고 있는 것 같아요. 현실적으로 지국에 와서 그 장부를 100% 다 볼 수가 없어요. 장부 자체를 안 보여주죠" (박재동/00일보 지국장)]

["유료부수를 산정하기 위해 무작위로 산출한 지국인데 실제 공사 과정에서는 잘 나가는 지국으로 교체된다든지... 무가지가 유료 부수로 전환되는 게 있잖아요. 저희는 이제 전환이 된다는 걸 염두에 두고 그걸 유료 부수로 산정하는데 그게 실제론 나중에 유료 부수로 전환이 안 되는 일도 있는 거고...말하자면 부수 인증이 셀프로 이뤄지는 거거든요. 신문사들이 자기네들 얼마 판매한다고 주장을 하는 건데 그걸 신문사들이 말을 하면 믿어주질 않으니까 중간에 ABC 협회를 끼워서 '아, 믿어 달라 이런 식이 아니냐'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전 ABC협회 직원 녹취록 中)]

 

ABC협회에 언론사가 입장을 묻자.. 자신들은 을이라고 합니다.. 갑은 언론사라고 하고요..

 

["우리가 갑자기 조사를 하면 반발이 생깁니다. 그래서 일주일 전에 통보를 해줍니다, 신문사들이 공사를 준비할 시간이 있어야 될 것 아닙니까. 우리는 불쑥불쑥 가면 제일 좋지만 그렇게 해서는 저희가 못 견딥니다. 신문사가 우리의 고객입니다, 신문사가 내는 회비로 우린 살아가고, 정부 지원은 없어요. 그러니까 이렇게 어려워요. 1년 예산이 20억밖에 안되는 작은 비영리 법인입니다" (ABC협회 관계자)]

 

결국 알면서도 유료부수가 조작되도록 모른척 할 수 밖에 없다는게 ABC협회의 입장이라도 합니다.. 그렇게 뻥튀기된 유료부수로 지원금을 받고 광고료를 올리고.. 발행한 신문은 국내에서 소비가 안되니.. 지부로 돌려 유령 부수로 만들고 지부는 신문을 돌리지도 못한 채.. 해외 폐지로 팔아 지대를 채우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합니다..

 

사실 이미 구독자들은 상당수 온라인으로 옮겨져 뉴스를 소비하고 있고.. 각각의 언론사는 자기들 홈페이지와 각 포탈에 뉴스를 게제하죠.. 유튜브 계정도 운영해서 광고비를 벌어 들이기도 합니다.. 곰곰히 보면.. 이미 다른 방법으로 수익창출을 하고 있음에도.. 보지도 않는 종이신문의 광고비와 국가지원금을 포기하기 싫어서 유료부수를 사람을 동원해 유지할려는 것 아닐까 싶네요..

 

일부에선 신문지의 재질 때문에 여러 용도로 쓰고 싶어 신문을 구할려 해도.. 이전처럼 길거리에서 신문을 파는 곳을 찾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차라리 언론사들이 뭉쳐서 무인가판대를 만들어 운영하는게 낫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다시금 부수인증제를 폐지해야 할 상황이 되지 않았을까 싶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