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 고은결 기자 = 최근 전국의 양봉농가에서 월동 중인 꿀벌이 대규모 피해를 입은 이유가 꿀벌응애류(기생충),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 기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1월 7일부터 2월 24일까지 전국 9개 도 34개 시·군 99호 양봉농가를 대상으로 월동벌 피해 민관 합동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농진청,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 한국양봉협회가 합동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전국에 걸쳐 꿀벌 폐사가 발생했다.
전남, 경남, 제주 지역의 피해는 다른 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지자체를 중심으로 정확한 전국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농진청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 피해 봉군(벌떼)에서 응애가 관찰됐다.
일부 농가의 경우 꿀벌응애류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여러 약제를 최대 3배 이상 과도하게 사용해, 월동 전 꿀벌 발육에 나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농가에서 응애류의 발생을 인지하지 못했고, 지난해 8월까지 월동 일벌 양성 시기에 응애류가 급증하며 월동 꿀벌이 약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농진청은 말벌류 중 등검은말벌은 일벌 포획력이 탁월해 유인제 또는 유인 트랩으로 완전하게 방제하기 어려워 지난해 10월 늦게까지 피해를 준 것으로 추정했다.
방제가 매우 어려운 기생성 응애류와 포식성 말벌류는 월동 봉군 양성 시기인 8∼9월에 최대로 번식하는 특성이 있다. 응애류는 발육 번데기에 기생하고, 말벌류는 벌통 출입구에서 일벌을 포획해 막대한 피해를 준다.
특히 지난해 9∼10월에는 저온 현상이 발생해 꿀벌의 발육이 원활하지 못했고, 11∼12월에는 고온으로 꽃이 이른 시기에 개화하는 현상이 나타나 봉군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약화된 봉군으로 월동 중이던 일벌들이 화분 채집 등의 외부 활동으로 체력이 소진됐고, 외부 기온이 낮아지면서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피해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농업경영회생자금과 농축산경영자금 등 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꿀벌 구제 약품이 신속히 지원되도록 조치했다.
농진청은 정확한 피해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찾아 현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꿀벌응애 친환경 방제 기술과 무인기(드론) 이용 등 검은말벌 조기 방제 기술을 개발하고, 월동 꿀벌 관리 기술 자료 발간과 배포를 통해 현장 기술 지원 등을 확대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도 응애 구제제 적정 사용 요령 교육을 확대하고, 질병 조기 진단과 기생성 응애류의 최적 약제 선발을 강화한다. 아울러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로 안전성과 효능이 뛰어난 천연물 유래 응애 구제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keg@newsis.com
전국 양봉농가에서 꿀벌들이 사라져 난리가 난 상황에서.. 지구종말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인것 같은데..
농촌진흥청에선 복합적인 이유로 꿀벌들이 폐사한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일단.. 양봉농가의 꿀벌들의 상태가 좋지 못하다는걸 확인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일단 응애... 뭘까 싶었는데.. 꿀벌응애라는게 있다고 합니다..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기생충이네요..
참고링크 : 꿀벌응애감염증(Infestation Varroa jacobsoni)
꿀벌응애감염증(Infestation Varroa jacobsoni)
꿀벌응애 감염증은 꿀벌의 번데기 시절인 유충과 성충 벌에 바로아지콥스니(Varroa jacobsoni)라 불리우는 꿀벌응애가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응애병(acariosis)을 유발하는 질병임.
가. 원인체
- 병을 일으키는 기생체는 바로아지콥스니(Varroa jacobsoni)라 불리우는 응애이며 성충의 크기가 1.00 ~ 1.77mm× 1.50 ~ 1.00mm 정도인 외부기생충으로 가시응애와는 다른 종류임.
나. 전염경로
- 벌에서 벌로 또는 벌에서 벌집, 식물의 표면, 꽃 등을 거쳐 전염되며 채밀기에 감염되지 않는 봉군에 감염된 다른 봉군의 벌에 의해 전파되기도 함.
- 산란육아의 진행 중에는 응애들이 봉개 소방내에서 번식, 기생하다가 산란육아가 끝나면 모두 성충벌의 몸에 옮겨 기생, 월동하여 다음해 산란육아 방의 봉개 직전, 벌방에 들어가 알을 낳고 번식함.
- 암컷 한 마리의 산란 수는 약 5개이며, 암컷의 발육기간은 약 10일, 숫컷의 발육기간은 약 6일이므로 연중 20여회 발생할 것을 추정됨.
다. 발생 및 증상
- 꿀벌응애의 암컷은 꿀벌의 유충, 번데기, 성충벌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어 소위 응애병(acariosis)을 유발함.
- 감염된 꿀벌성충의 무게는 정상적인 것보다 7.1~30.4%까지 감소하며 기생이 심한 경우에는 불구봉이 되거나 발육이 정지되기도 함.
- 꿀벌번데기의 경우에도 기생이 심한 경우 10%의 체중감소를 보임.
- 체중감소 외에도 꿀벌의 복부가 위축되게 하며, 몸 다른 부위의 기형을 일으키게 함.
- 경우에 따라서는 다리의 불구나 번데기의 사망이 발생하기도 함. 이와 같은 봉세약화로 말미암아 체밀성적이 크게 떨어져 채밀량 감소율이 30~46% 가량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냄.
- 국내에서 1950년 서양종꿀벌 벌통에서 꿀벌응애가 처음 발견된 이래 이 종은 여전히 벌통 유지에 위협이 되는 존재임.
- 국내 몇 양봉장에서 꿀벌응애의 감염실태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확보와 아울러 이들의 생태를 조사한 바, 월동 직후와 가을철 조사된 양봉장에서 벌통당 0~62마리의 꿀벌응애가 발견되었고, 감염수준은 채집시기와 지역, 각 농가의 응애방제수준에 따라 변이가 큼.
- 한편 매우 심하게 감염된 양봉장 내 벌통들에서 수벌 성충에 대한 기생정도는 일벌의 기생율에 비해 높은 기생율을 보임.
- 유충방에서도 수벌방에 대한 꿀벌응애의 기생밀도가 일벌방보다 훨씬 높았는데, 수벌방 하나에서 발견된 꿀벌응애 암컷성충의 수는 1~4마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10마리 이상 기생된 방들도 적지 않았고 최고 16마리가 기생된 방이 관찰됨.
- 일벌방의 경우 5마리까지 기생된 방이 관찰되었고, 1, 2마리 기생하는 방이 많았음.
※ 참고로 중국가시응애에 대한 국내 발생 상황은 농업과학기술원 감사곤충부의 조사성적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1999년과 2000년에 걸쳐 국내 43개 양봉장에서 꿀벌응애와 중국가시응애의 감염실태를 조사하였는데 그 중 중국가시응애는 19개 양봉장에서 발견되었다. 감염된 봉군들에 아미트라즈 훈연지를 처리하여 벌통 바닥에 떨어지는 응애를 포획한 수는 0.3~146마리로 양봉장들 사이에 기생밀도 차이가 컸다. 심하게 감염된 전주의 한 양봉장에서 훈연처리
그리고 이상기후를 언급했습니다. 개화시기가 갑자기 빨라진 걸 언급했네요.. 동절기 월동을 하는 상황에서.. 갑자기 꽃이 개화되었으니.. 준비되지 못한 일벌들이 무리하게 밖으로 나갔을 터.. 회복되지 못한 체력으로 인해 벌통으로 복귀가 어려웠다는 분석결과를 내놓았습니다.
거기다.. 체력이 떨어졌으니.. 말벌의 공격으로부터 제대로 막을 수도 없었겠죠..
이렇게 복합적인 원인으로 양봉농가에서 꿀벌들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는 농촌진흥청의 분석 결과입니다.
일단.. 원인이 파악되었으니.. 이젠 대처를 해야 하겠죠.. 일단 응애부터 방제시기를 앞당기는게 중요해진듯 합니다. 그리고 양봉농가는 말벌의 침입 여부를 이전보다는 더 자주.. 꼼꼼하게 봐야 한다는 것이겠죠..
이상기후로 개화가 빨라질 시점에선.. 아무래도 벌통을 꽃 근처로 옮기는 작업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꿀벌의 체력을 보충할 수 있는 수단도 찾아야 할테고요..
다만.. 꿀벌들을 다시 어디서 데려와야 할지가 우선이 되겠지만..
'세상논란거리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성'인데 병원 안간다..'각자도생 방역'의 그림자 (0) | 2022.03.14 |
---|---|
화마 휩쓸고 간 산소 위에 멀쩡한 볏짚이 쌓인 사연은 (0) | 2022.03.14 |
[단독] "온난화 막으려면 원전 비중 늘려야" 유엔보고서 오류였다 (0) | 2022.03.13 |
최경환·최지성·장충기 17일 출소..가석방 심사 통과 (0) | 2022.03.12 |
신규확진 40만 육박에도..전광훈, 광화문 한복판 대규모 기도회 (0) | 2022.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