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檢 김태우 비밀누설 자료 확보.. 김 "조국 국회발언은 거짓" 역공

by 체커 2019. 1. 1.
반응형

다음

네이버

임종석(왼쪽) 대통령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이 31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검찰이 청와대 특별감찰반(특감반) 활동 중 얻은 기밀 첩보를 누설한 혐의를 받는 김태우 수사관의 통화내역 등을 확보하며 수사 속도를 높이고 있다. 김 수사관이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국회 발언을 “모두 거짓말”이라고 반박하면서 장외에서는 진실 공방이 이어졌다.

1일 검찰 등에 따르면 청와대가 김 수사관을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은김 수사관의 통화내역, 포털사이트 가입정보, 이메일 기록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를 토대로 청와대가 고발한 김 수사관의 비밀 유출 혐의를 확인할 계획이다. 검찰이 수사에 속도를 내면서 빠르면 이번 주에 김 수사관에 대한 소환조사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달 19일 “김 수사관이 청와대 근무 시절 알게 된 비밀을 누설했다”며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냈고, 대검은 이 사건을 김 수사관 주거지 관찰 검찰청인 수원지검에 배당했다. 수원지검은 지난달 27일 청와대 행정관 2명을 고발대리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 수사의 속도가 빨라지는 한편으로 김 수사관이 “조 수석의 국회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며 반격에 나서는 등 장외 공방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조 수석의 말과 달리) 특감반에 16개월간 근무하면서 경고를 받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감사관 선임) 건으로 주의를 받은 게 전부”라고 덧붙였다. 앞서 조 수석은 지난해 12월 31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2017년 7월 김 수사관이 정치인이나 민간인 문제에서 첩보를 접수했던 것은 사실로 확인됐다”며 “직후 박형철 반부패비서관과 이인걸 특감반장이 절대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해명했다.

김 수사관은 외교부 고위직 감찰에 대한 입장에서도 조 수석과 충돌했다. 조 수석은 “외교부 공무원의 비위 첩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사생활이 나왔는데 징계 요청을 하지 않았다”며 별건 감찰 사실을 부정했다. 하지만 김 수사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외교부 공무원의)포렌식 분석보고서를 내라고 해서 휴대폰 대화 수년 치를 일일이 살펴보다 사생활 문제를 발견했고 조사 지시까지 받았다”면서 명백한 별건 조사라고 강조했다.

김 수사관이 조 수석의 발언을 하루 만에 반박하면서, “비위행위자의 일방적 진술”이라는 청와대와 “상급자 지시ㆍ승인을 거친 민간인 사찰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김 수사관 사이의 진실 공방은 계속되는 분위기다. 앞서 조 수석은 이번 사건을 “핵심은 김태우의 비위행위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라고 평가하며, “그럼에도 비위 행위자의 일방적 허위 주장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일부 언론에 보도되고 뒤이어 정치 쟁점화됐다”고 개탄했다.

김현빈 기자 kbkim@hankookilbo.com

이종구 기자minjung@hankookilbo.com
----------------------------------------


검찰의 수사망이 조여오는 가운데 운영위원회의 조국수석이 발언한 것을 김태우 전 수사관이 반박하는 모양새입니다..

이번엔 반박을 했지만 근거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발언을 근거로 한국당이 정치적으로 조국수석을 공격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근거는 발언밖에 없기에 섣불리 단정지어 공격하지는 못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도덕성이나 적폐 관련해서 진정성을 공격하겠죠.

12월 31일 김용균법을 댓가로 연 운영위원회에서 자유한국당이 16시간동안 별 성과 없이 밝힌게 없기에 다시 운영위원회를 열 수 없을 것이라 판단할테니까요..

증언밖에 없고..그에대해 청와대는 반박하고... 그럼 증거가 없는데 현재 어차피 김 전 수사관은 고발당한 상태로 검찰 수사를 받는 신분인 상황에서 과연 누구의 말이 더 신뢰성을 가질까요..

물론 조선일보를 비롯.. 자유한국당이 믿는다 하더라도 증언만으론 증명을 할 수 없기에 그냥 발을 뺄 것으로 생각하지만 일부 법안 통과를 댓가로 다시 운영위원회... 나아가서는 특검, 국정조사를 할 수 있겠죠..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하진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