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사회

"실질 문맹률 심각"..'심심한 사과'에 분노한 누리꾼들, 왜?

by 체커 2022. 8. 21.
반응형

다음

 

네이버

(트위터 갈무리) ⓒ 뉴스1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한 업체 측이 사과문에서 사용한 '심심하다'라는 표현을 두고 일부 누리꾼들이 뜻을 잘못 이해하면서 또다시 실질적 문맹 논란이 일었다.

지난 20일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는 '심심한 사과'가 검색어로 올라왔다. 이는 웹툰 작가 사인회가 예정됐던 서울의 한 카페 측이 "심심한 사과 말씀드린다"며 사과문을 게재한 게 발단이었다.

이날 카페 측은 작가 사인회 예약 과정에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 것과 관련 "예약 과정 중 불편 끼쳐 드린 점 다시 한 번 심심한 사과 말씀드린다"고 전했다.

이후 일부 트위터 이용자들은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에 분노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심심한 사과? 난 하나도 안 심심하다. 너희 대응이 재밌다", "앞으로 공지글은 생각 있는 사람이 올려라", "어느 회사가 사과문에 심심한 사과를 주냐", "꼭 '심심한' 이라고 적었어야 했냐" 등 사과문을 비난했다.

(트위터 갈무리) ⓒ 뉴스1

카페 측이 사과문에 사용한 '심심(甚深)하다'라는 단어는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라는 의미다.

그러나 일부 누리꾼들은 '심심하다'는 단어를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뜻의 동음이의어로 잘못 이해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지켜보던 이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진짜 실질 문맹률이 높다는 걸 다시 체감했다"며 "설마 그 '심심한'이겠냐. 맥락만 봐도 무슨 뜻인지 알겠다"고 황당해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오히려 '심심한 사과'가 과도하게 한자어를 사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누리꾼은 "애초에 '깊을 심'이라서 같은 뜻의 우리말이 없는 것도 아닌데 왜 한자를 쓰냐"며 "'매우 깊이 사과드립니다'라고 하면 되지 않느냐"고 했다.

논란이 커지자 '심심한 사과'에 분노했던 한 누리꾼은 "(사인회 때문에) 몇 시간 동안 사람들 발 동동 구르게 만들고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한 줄로 퉁치고 잠수타는 게 열받아서 동음이의어로 비꼬아서 쓴 거였다. 내가 몰라서 썼겠냐"고 답답한 심정을 전하기도 했다.

(트위터 갈무리) ⓒ 뉴스1

앞서 지난 3월에도 대학생들이 '병역'이라는 단어의 뜻을 잘못 이해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당시 코로나19에 확진된 학생들이 공결증을 신청하면서 사유에 '병역'이라고 적은 것. 이 단어를 말 그대로 '병'과 관련이 있다고 잘못 판단한 것이다.

이에 학교 측에서는 "병역은 입대와 관련된 내용이다. 공결증은 '전염성 감염 질환' 또는 '기타'로 신청해야 한다"고 안내하기도 했다.

한편 실질적 문맹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본 문맹률은 1%에 가깝지만, 최근 '21세기 신문맹'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실질적 문맹률은 높은 수준이다.

OECD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읽은 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실질 문맹률은 무려 75%에 달한다. 10명 중 7명은 글을 읽고도 무슨 뜻인지 모르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기술이 발달할수록, 미디어로 정보를 접하거나 글을 읽는 게 익숙해질수록 실질 문맹률이 더욱 높아질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sby@news1.kr


반응형

참고링크 : 심심한 사과 / 트위터 검색

 

어느 카페에서 사인회가 있었지만.. 취소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과문을 올렸는데.. 심심한 사과 말씀을 올린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참고링크 : 심심한 사과문을 게시한 트윗글

 

그랬더니 저리 반발합니다.. 심심한... 이라는 단어를 모른채.. 단순히 심심하다.. 즉 무료하다는 단어로만 생각하고 말이죠..

 

그렇게 반발하더니.. 문맹이다 뭐나 비판이 나오고 조롱이 나오니.. 왜 한자어를 쓰냐 반박합니다.. 부끄러우니 잘못을 다시 그 단어를 쓴 사람쪽으로 돌리는 것이죠..

 

몇몇은 사회생활을 하는 이들이나 알 수 있는 단어 아니냐 싶은데.. 이미 뉴스기사나.. 여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관련 단어는 흔히 볼 수 있는데.. 사회생활 운운하는 것도 결국 책임 회피를 위한 핑계일 뿐이죠..

 

그러면서.. [매우 깊이 사과를 드립니다..] 이런식으로 써야 한다 주장하는 글도 있던데..

 

정작.. 사과.. 이 단어도 한자입니다.. 한자를 쓰면서 왜 한자를 쓰냐는 글... 결국 자신들의 부끄러운 모습만 부각을 시킨 셈이 되죠..

이미 여러 글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미 한글 단어 상당수는 한자 단어로 구성되어 쓰이고 있었습니다. 한자어 운운하면서 정작 본인들도 한자어를 쓰고 있었던 것이죠..

 

처음부터 그리 반발하며 글을 쓰지 말고.. 쓰기전 생각을 좀 하고.. 단어 검색도 좀 했다면야 문제의 답글이 난무하지 않았을 것 같고..

 

설사 썼다 하더라도 빨리 인지를 하고 바로 [잘못 말했다..] 인정하며 관련 글 다 지우고 말았으면 잠깐 논란이 되고 말았겠지만.. 결국 크게 이슈화가 되었네요..

 

한동안은 실질 문맹률이 언급될듯 싶습니다. 예전같았음 국어사전 옆에 두고 찾아보는 수고로움도 있었지만... 요새는 스마트폰으로 잠깐 검색하면 알 수 있는 편리한 시대가 되었음에도.. 어찌된 것인지 글을 쓰기전 확인을 해보는 수고로움은 사라지는 듯 하네요..

 

이번 사례를 계기로 한자를 다시 공부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뜰 것 같군요.. 회사등에서도 직원들에 대한 한자어 공부도 시킬 것 같고요..

 

아.. 그리고 결국 조롱거리가 되어 버리니.. 애써 다른 부분을 주장하네요.. 단순히 심심한 사과.. 라는 뜻을 몰라서 저리 화를 내는 것이냐고..

 

근데.. 너무 늦었죠..

 

현재 이미 상당수 올라왔던 글들은 삭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보도는 이렇게 남았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