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경제

국산 아니었어?.. 쌀값 하락에도 외국산으로 바꾼 이유

by 체커 2022. 10. 3.
반응형

다음

 

네이버

 

CJ제일제당 등 식품업체들, 국산 쌀 쓰다 외국산 쌀로 원재료 바꿔.. 값 저렴한 국산 정부미 공급 부족 등 때문

국내 식품업체들이 볶음밥, 덮밥 등 일부 가공식품에 쓰이는 쌀을 국내산에서 외국산으로 대체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업체들이 가공밥 제조에 주로 사용하던 2~3년 묵은 국산 정부미(공공비축미)의 공급량이 줄어든 탓이다. 업체들은 국내 일반쌀에 비해 절반 이하 가격인 국산 정부미를 못 쓰게 되자 이보다 더 가격이 낮은 정부 비축 외국산 쌀을 사용했다. 이 쌀은 정부가 WTO(세계무역기구) 협정에 따라 의무적으로 해외에서 들여온 것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식품업체들은 볶음밥, 덮밥 등 일부 가공식품에 쓰이는 쌀을 국산에서 외국산으로 변경해왔다. CJ제일제당은 지난 3월 '햇반컵반-빅스팸마요덮밥' '햇반컵반-빅참치마요덮밥' 등 햇반컵반 빅 7종에 사용하는 쌀을 국내산에서 미국산으로 변경했다. 냉동볶음밥류 쌀도 2020년 국산에서 외국산으로 바꿨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햇반 덮밥에 미국산 쌀이 찰기가 적어 더 적합하다는 판단 하에 국산 햅쌀을 쓰다 재료를 바꿨다"고 말했다. 볶음밥의 원산지변경은 국산 정부미 수급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쌀 원산지를 바꾼 곳은 CJ제일제당만이 아니다. 풀무원식품도 일부 제품에 외국산을 사용한다. 지난 4월만 해도 풀무원의 '고슬고슬 계란코팅 황금밥알 200℃ 새우&갈릭 볶음밥'의 쌀 원산지가 국산이었는데 현재는 외국산이다. 대상은 지난해 11월 '팔선생 잡채볶음밥'의 쌀 원산지를 국산에서 외국산으로 바꿔 썼다. 오뚜기도 '참치치즈 김치볶음밥'에는 국산 쌀을 쓰고 있지만 '불닭철판볶음밥' '진라면볶음밥' 등은 외국산 쌀로 만든다.

국내 볶음밥 제품의 쌀 원산지가 국산에서 외국산으로 변경된 모습/사진= 온라인 쇼핑몰

이는 냉동볶음밥 등에 주로 쓰던 가공식품용 국산 정부미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매년 정부는 국산쌀 수급 조절 등을 위해 시세로 햅쌀 등을 수매해 쌀을 비축해 놓는데 이 중 일부 물량(보통 수확한 지 2~3년이 지난 쌀)을 가공식품용으로 판매한다. 국산 정부미 공급량은 2020년 11만톤에서 지난해 7만톤으로 줄었다. 올해 계획된 공급량은 5만톤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20년 흉작으로 쌀 공급량이 줄었고 그 여파로 가공식품용으로 공급하는 국산 정부미 양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자 정부가 보유한 외국산 쌀을 쓰고 있는 셈이다. 이는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따라 매년 40만8700톤의 쌀을 의무 수입해 비축해 놓는 물량이다. 수입국 중 중국 비중이 가장 높고 이어 미국, 베트남 등의 순이다. 국내 식품업체들이 가공식품용 외국산 정부미를 사용한 양은 2020년 20만7000톤에서 지난해 23만3000톤, 올해 27만톤(계획분)으로 증가했다. 가격은 1㎏당 552원으로 국산 정부미(800~1000원) 대비 55~70% 수준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COVID-19) 이후 냉동밥 등 가공식품 수요가 늘고 한류로 막걸리 등 국산 식품의 수출이 늘면서 국산 정부미 수요가 늘었지만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수급이 어려워졌다"며 "이에 식품 표기 변경으로 추가 비용이 드는 것을 감수하면서라도 외국산 정부미로 원재료를 변경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외국산 쌀은 정부가 수입한 물량으로 사용량 증가폭은 2년간 10만톤이 채 안 되고, 300만톤 이상에 달하는 전체 국내 쌀 소비량 대비 미미한 양"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달 23일 전국쌀생산자협회 소속 회원들은 CJ제일제당 본사 앞에서 외국산 쌀 사용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국회는 국정감사장에 CJ제일제당 부사장을 호출에 미국산 쌀 사용에 대해 추궁할 계획이다.

 

박미주 기자 beyond@mt.co.kr


반응형

이전에... 국내 회사에서 제조한 즉석밥에 들어가는 쌀이 국산에서 외국산으로 바뀌었고.. 이에 농민들이 CJ본사에 가서 집회를 했다는 뉴스가 보도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세상논란거리/사회] - 분노한 농민들 "CJ제일제당 햇반컵반 수입쌀 사용 규탄"

 

왜 쌀을 국산이 아닌 외국산으로 쓴 것인지에 대한 분석 뉴스입니다.

 

그리고 이 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이 있죠.

 

즉석밥은 결국.. 햅쌀이 아닌..2~3년 묵은 쌀로 만들어졌다고... 오래된 식재료도.. 가공하면 오래되었는지 알 수 없죠..

 

그동안..정부는 쌀을 일정량 수매를 해서 보관합니다. 쌀값 안정을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전쟁 재개시 식량을 확보해놓기 위한 것도 있죠..

 

그러나 오래 보관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햅쌀을 정기적으로 매입하면서.. 오래된 쌀은 반출하는데.. 시중가격보다는 낮은 가격으로 반출하고.. 그 쌀을 기업이 매입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게 현재 유통중인 즉석밥이 되는군요.

 

그런데.. 쌀이라는 것이 매년 똑같은 양으로 수확하지 않죠.. 자연의 선택에 따라.. 풍작이 될 수도.. 흉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흉작이 되었다면.. 당연히 매입한 쌀의 양은 줄어들겠죠.. 그리고.. CJ가 즉석밥에 외국산 쌀을 사용할 때가.. 그런 흉작이 되어 매입한 쌀의 양을 줄여 보관한 쌀이 반출되기 시작하는 시기와 맞아 떨어진다고 합니다.. 

이는 냉동볶음밥 등에 주로 쓰던 가공식품용 국산 정부미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매년 정부는 국산쌀 수급 조절 등을 위해 시세로 햅쌀 등을 수매해 쌀을 비축해 놓는데 이 중 일부 물량(보통 수확한 지 2~3년이 지난 쌀)을 가공식품용으로 판매한다. 국산 정부미 공급량은 2020년 11만톤에서 지난해 7만톤으로 줄었다. 올해 계획된 공급량은 5만톤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20년 흉작으로 쌀 공급량이 줄었고 그 여파로 가공식품용으로 공급하는 국산 정부미 양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은 생각하죠.. 현재 쌀값 많이도 떨어졌는데.. 떨어진 쌀값으로 햅쌀을 매입을 할 수 없었느냐.. 라고 말이죠..

 

혹은.. 농협을 통해 매입을 하는데 있어서... 기업이 매입을 못하게 막고 있는거 아니냐.. 라고도 할 수 있겠고요..

 

검색을 해봐도.. 햅쌀을 기업이 가공용으로 매입할 수 없다는 내용의 보도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근데 중요한 내용이 있더군요.. 일반 쌀과 가공용 쌀의 가격이 다르다는걸.. 그리고.. 기업에서 햅쌀을 구매하는 방식은 결국 계약재배라는걸..

 

계약재배.. 아마 수확을 하기 전에 밭떼기라고 해서 미리 계약을 하는걸 말합니다. 그리고 수확을 하면 사들이는 것인데.. 이게 꽤나 부담이 되나 보고요..

 

결국.. 기업이 햅쌀등을 매입하라 요구하는 것과 동시에.. 농가에서도 쌀재배에 대해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관련보도 : [한국농업신문 창간9주년 특집] 가공식품용 쌀 재배를 늘려라②

더보기

(한국농업신문=김흥중 기자)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가 주최한 ‘쌀가공품 품평회’에는 쌀의 무한한 변신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쌀가공 제품들이 출품됐다. 에스프레소, 크림치즈, 딸기 가루 등 재료가 들어간 퓨전떡이 등장했고, 밀가루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쌀가루 97% 이상의 쌀국수도 나왔다. 

점차 발전하고 있는 쌀가공식품 종류만큼이나 산업 규모도 커지고 있다. 지난 2019년 기준 쌀가공식품의 원료 쌀 시장 규모는 8000억원대, 매출액은 약 5조5000원에 달한다. 업체수만 해도 1만7000여개소다. 지난해 쌀가공식품 수출액 또한 약 1억3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쌀가공식품 산업이 성장하면서 덩달아 제품 원료가 되는 가공용 쌀 소비도 늘고 있다.

가공용 쌀 사용량 확대

서구식 식습관, 1인 가구 증가, 핵가족화 등으로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내리막길인 반면, 가공용 쌀 사용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쌀을 원료로 한 가정간편식(HMR)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고, 식사 대용이나 간식 용도의 쌀가공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정용을 제외한 가공용 쌀 소비량은 49만2000여톤에 달한다. 전년보다 6만여톤 감소하긴 했으나, 2016년 43만여톤에서 2017년 49만톤, 2019년 56만톤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쌀 소비량이 많은 업종은 떡류 제조업(32.3%),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29.1%) 순이다. 

떡볶이, 쌀과자, 쌀국수 등 쌀가공식품이 다양하듯 가공용 쌀 품종도 여러 종류가 있다. 떡용으로 주로 쓰이는 동진찰벼, 백옥찰, 대개 가공밥에 들어가는 한아름찰, 쌀국수·과자 등으로 쓰이는 도담쌀까지 다양한 가공용 쌀 전용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기능성 벼, 유색미, 향미 등을 포함하면 특수용도로 개발된 벼 품종만 110종에 육박한다. 이 같은 품종을 개발한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가공용 쌀 품종의 재배면적은 2017년 4만3068㏊에서 2018년 4만9989㏊, 2019년 5만3900㏊로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다만, 다양한 종류의 가공용 쌀이 모두 활발하게 생산되는 건 아니다. 쌀가공식품의 원료로 쓰이는 쌀은 대부분 정부양곡으로 당해연도 신곡보다는 구곡이 많이 쓰인다. 이 쌀들은 가공용이 아닌 밥쌀용이 대부분이다. 

지난해 가공용에 쓰인 49만2000여톤의 쌀 중 정부양곡 쌀은 약 30만톤으로, 60% 이상이 정부에서 공급한 쌀이다. 나머지 19만톤가량만 민간에서 조달됐다. 쌀가공식품 업계가 정부양곡에 의존적인 성향이 강하면서 동시에 국산 가공용 원료곡의 안정적인 공급 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계약재배 관건은 ‘가격’

수량성이 비교적 높은 가공용 쌀은 일반 쌀 시장으로 유출되면 시장 교란을 일으킬 수 있어 대개 농가와 쌀가공식품 업체 간 계약재배로 유통된다. 

국내에서 즉석밥인 ‘햇반’으로 유명한 CJ제일제당은 가공용 쌀을 가장 많이 쓰기로 유명하며, 자회사를 통해 2019년 기준 약 5122톤을 산지에서 계약재배로 사들였다. 국내 굴지의 식품 대기업인 오뚜기, 동원F&B 등도 계약재배로 즉석밥의 원료를 구매하고 있으며, 대형마트인 홈플러스에서도 자체 상품 생산을 위해 계약재배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공용 쌀의 민간조달 물량을 늘리고, 국산 가공용 원료의 공급을 증가하는 방안으로 농가와 업체 간 계약재배가 이뤄지고 있지만, 지난 2018년 기준 민간조달 중 계약재배 비중은 11.4%에 불과했다. 

가공용 쌀 계약재배가 어려운 이유는 가격에 있다. 한 쌀가공식품 업체 관계자는 “정부양곡이 아닌 시중에 나와 있는 쌀을 가공용으로 구매해 쓰기엔 가격이 상당히 부담스럽다. 어떤 제품을 생산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쉽게 접근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쌀가공식품 업계 90% 이상이 영세한 업체인 점에 비춰보면 업체에서는 계약재배로 사들이는 것보다 저렴한 정부양곡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정부양곡에만 기대고 있는 것도 문제다. 올해처럼 정부양곡 물량 자체가 부족해지면 업체에 돌아가는 원료곡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다른 쌀가공식품 업체 관계자는 “정부에서 판매하는 가공용 쌀 물량이 매년 들쑥날쑥하니 해마다 원료 수급에 문제가 생긴다. 지난해 쌀 생산량이 줄어서인지 올해는 유독 더 심했다”고 전했다.

지역에서 이뤄지는 가공용 쌀 재배

농가와 업체 간 계약재배가 쉽지는 않지만, 다행히도 지역 곳곳에서는 가공용 쌀 재배와 계약재배를 늘리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농가에 판로 확보와 소득 보장을, 업체에는 안정적인 원료곡 확보의 이점을 주고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업과 농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아산시의 경우 CJ와 업무협약을 맺고 원료곡으로 사용되는 보람찬벼를 납품하고 있으며, 871농가가 참여해 생산하는 물량만 해도 1만3404톤 정도다. 시에서는 운송비 지원 등 재정적 지원도 하고 있다.

원료 품질을 높여 생산한 제품으로 프리미엄 시장에 진출하고, 지역 내 농가와 상생하는 중·소기업체들도 있다. 충남 서천에서 한산소곡주를 제조하는 업체, 대를 이어오며 조청을 만드는 업체 등이 대표적으로, 이들은 지역 농가와 계약재배를 해 지역의 쌀을 소비하고 있어 안정적인 원료 확보와 동시에 농가 소득에도 보탬이 되고 있다.

경북도에서는 ‘가공용 벼 계약재배단지 조성’ 사업을 시행하며 기업 연계형 가공용 벼 대규모 계약재배단지 조성에 나서고 있다. 햇반용을 제외한 떡용, 주정용, 제빵·제과용, 식초원료용 등으로 가공전용 벼를 재배하는 계약재배 단지를 조성하고, 지자체에서는 비료, 병충해 방제 약제 등 영농자재비를 지원한다. 여기서 재배된 가공용 쌀은 법주, 찹쌀 도너츠 등 지역 특산품의 원료에 들어가 지역 대표 쌀가공식품 생산에 이용된다.

가공용 쌀 재배단지 확대 필요

가공용 쌀 계약재배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들은 고정적인 판로가 확보돼 판매 걱정을 덜고, 안정적인 소득 보장이 가능하다는 점을 계약재배의 장점으로 꼽았다.

최근까지 가공용 쌀 계약재배를 했던 전남 장성의 한 농가는 “무엇보다 판로가 확정돼 있으니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고, 소득도 일반 벼보다 조금 더 나았다”고 말했다. 

상주시 농업정책과 관계자 또한 “시에서 가공용 벼 계약재배단지 조성사업을 302㏊ 규모로 추진하고 있는데, 참여하는 농가들은 대부분 만족해한다. 납품처가 고정돼 있고, 수량도 일반벼보다 더 나오기 때문에 선호하는 편”이라고 밝혔다.

가공용 쌀 시장은 쌀 산업 내에서도 이 같은 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 벼 시장에 비하면 규모가 워낙 작고, 계약단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쌀가공식품 업계의 영세한 산업구조도 계약재배를 더 늘리기 어려운 조건이기도 하다.

농업계 관계자는 “농가와 업체 간 계약재배 시 가격조건을 맞추기 위해 수량성이 많은 가공용 품종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면서 “일반 벼보다 수량성이 30~40% 높은 가공용 품종을 선택하고, 수량이 많은 대신 가격을 낮춰서 판매하는 방식이다. 농가에서는 일반 벼보다 저렴하게 판매해도 수량으로 부족한 가격분을 보전할 수 있고, 업체에서는 원료곡을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밥쌀용 쌀과 달리 가공용 쌀은 대량 생산될 경우 판매에 대한 불확실성이 생길 수 있고, 가공용 쌀이 일반 쌀 시장으로 유출돼 시장 교란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남아 있다.

쌀가공 산업과 농업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농식품가치연구소의 ‘쌀가공사업 현황진단 및 국내산 원료용쌀 소비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햅쌀 소비가 가능한 쌀가공식품을 집중 육성해 관련 쌀가공업체 수요를 조직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원료용 쌀 전용 생산단지를 조성해 계획생산과 계열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한, 가공용 쌀의 계약재배사업이나 가공용쌀 전용 재배단지 지정사업 등을 쌀가공식품산업이 농업·농촌과 상생하고 생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수립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계약재배 단가보다도 낮은 가공용 쌀을 수확하는 것을 말이죠.. 이를 농업신문에서는 가공용 벼 계약재배단지를 언급했네요.. 아예 계약재배를 위한 농지로서..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게 아닌 철저히 기업에게 납품하기 위한 재배로 말이죠.. 대신 일반 벼보다는 저렴하게 기업에 납품하는 것이겠죠.. 대신 품종을 수량성이 높은 품종으로 재배를 하고요.. 가격을 낮추되.. 질보다는 양을 늘리는 선택이겠죠..

 

현재.. 국내 쌀 소비량이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벼 재배를 중단할 수는 없을 겁니다. 식량안보를 생각해서라도 말이죠..

 

그렇기에 쌀 생산에 대해 변화를 줄 시기가 지금 아닐까 싶군요. 쌀소비가 높을때는 생각치 못하겠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