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논란거리/정치

대통령실, '尹 종북 주사파' 발언에 "헌법정신 강조..정치적 왜곡 없길"

by 체커 2022. 10. 19.
반응형

다음

 

네이버

 

[서울=뉴시스] 박미영 기자 =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종북 주사파와는 협치가 불가능하다'라고 했다고 알려지면서 정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커지자 "헌법정신과 대통령의 책무를 강조한 발언을 두고 정치적으로 왜곡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공지를 통해 이날 국방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원외 당협위원장 오찬 간담회에서 '종북 주사파' 발언이 나온 경위를 설명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오찬 간담회에 참석한 한 당협위원장이 윤 대통령에게 최근 북한의 도발을 언급하며 "종북 주사파 세력에 밀리면 안된다"고 했고, 이에 윤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에 공감하면 진보든, 좌파든 협치하고 타협할 수 있지만, 북한을 따르는 주사파는 진보도, 좌파도 아니다. 적대적 반국가 세력과는 협치가 불가능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대통령이 먼저 '종북 주사파'를 언급한 것이 아니며,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주사파'라는 답을 썼을 뿐이라는 의미다.

윤 대통령은 "경제 안보 상황이 어려운데 이런 때일수록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확신을 갖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전했다.

대변인실은 이 발언에 대해 "대한민국을 전복하려는 세력과는 타협할 수 없다는 의미로 '국가 보위'가 첫번째 직무인 대통령으로서 기본적 원칙을 언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같은 발언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헌법 정신을 공유하고 있다면 그 누구와도 협력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헌법정신과 대통령의 책무를 강조한 발언을 두고 정치적으로 왜곡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설명은 앞서 이날 오찬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이 "종북 주사파는 협치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정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이나 특정 정치 세력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자칫 정치적으로 악용되거나 색깔론으로 번질 수도 있어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mypark@newsis.com


반응형

윤석열 대통령이... 오찬간담회에서..

"종북 주사파 세력에 밀리면 안된다"

"자유·민주주의에 공감하면 진보든, 좌파든 협치하고 타협할 수 있지만, 북한을 따르는 주사파는 진보도, 좌파도 아니다. 적대적 반국가 세력과는 협치가 불가능하다"

종북 주사파를 언급했네요.. 주사파... 주체사상을 주장하는 이들로서 북한의 독재 정권을 만들고 이끄는 김일성 3부자를 떠받드는 사상입니다. 김일성주의라고도 불리우죠.. 김문수 위원장이 김일성주의자라고 한것이 결국 주체사상주의자라는 말과 동일합니다.

 

이는 보수쪽에서 진보진영을 공격할 때.. 사상적으로 공격할 때 쓰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주사파.. 분명 한국에 남아 있겠죠.. 남파간첩도 있을 것이고... 북한에서 나와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몰래 들어온 이들도 있을지도 모르고... 북한 간첩들이 종교마냥 일반인들에게 전파하면서.. 넘어간 이들도 있을테니 말이죠..

 

근데.. 솔직히 저 발언을 윤석열 대통령이 했는데.. 이런 생각도 들더군요..

 

자신의 처지를 이해못한거 아닌가...

 

뭔소리냐 할텐데... 뉴라이트.. 뉴라이트라는 단어 많이도 들었을 겁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이 된 후.. 대통령실에 뉴라이트 계열 인사들이 대거 들어왔다는 보도가 나올 정도였고요..

 

[세상논란거리/정치] - '윤석열 대통령실' 핵심에 뉴라이트 출신들.."국민과 소통"은 '뉴라이트'와?

[세상논란거리/정치] - 김성회 "조선 여성 절반 성노리개..우리 꼬라지 알고 분노해야"

[세상논란거리/정치] - '뉴라이트 전사' 전희경 정무비서관..협치될까?

 

참고링크 : 뉴라이트

하지만 현재 한국 뉴라이트의 전신은 아이러니하게도 본래 과격한 학생운동을 했던 운동권을 주축으로, 과거 북한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신봉했던 (즉, 대다수가 과격 NL이자 실제로 북한 공작원과 접촉하거나 몰래 방북했던) 주사파들이다.

89년 동유럽 사회주의권이 붕괴함에 따라 이론적 구심점을 잃게 되고 운동권 출신들의 전향 선언이 잇따랐으며 90년대 후반부터는 96년 연세대 사태와 97년 프락치 오인 살해사건까지 벌어지면서 주사파의 세가 대학가에서 완전히 꺾였다.

그래서 이들이 운동권의 해산과 함께 정치권으로 진출했는데, 운동권도 가리지 않고 받던 김대중 대통령도 이들만큼은 주류 정치권에 편입시키길 거부했다. 이때문에 이들이 이념을 전향하여 뉴라이트를 탄생시켰다.

그래서 뉴라이트 인사 중에는 과거 운동권 출신의 주사파였던 이들이 많다.

그리고 이들은 과거 운동권 내부에서부터 해왔으며, 과거 공산권 운동가들의 전략이었던 벼랑 끝 전술과 당내 계파 싸움 이전투구를 일으켜 내부 분열과 지도부 장악을 노리는 극악한 패거리 정치질에 익숙한 자들이었다.

이들의 방식이 매우 극단적인 이유는 자신들이 전향자라는 과거를 가진 불리한 입지에 놓여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즉 인정 투쟁이라는 것.

이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급속히 세를 키웠는데, 이는 기존의 386 세력 중 한나라당에 우호적인 정치세력이 이들 외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다 보니 보수언론 등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기 때문이다.

이들은 기존의 학자들에게 대립각을 세우면서 보수세력의 관심을 받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급속히 세를 키우게 된다.

종북주의자 시절의 전체주의적 사상을 간직한 채 친일반민족행위 옹호와 극단적인 반북으로 방향만 돌아선 사람들이 바로 뉴라이트다. 겉으로 보이는 성향만 다를 뿐 근본적인 형태는 똑같기 때문에 문제다.

다시 말해 소프트웨어만 갈아끼웠을 뿐, 하드웨어는 그대로인 사람들이다.

뉴라이트... 태생이 주사파인 이들이 전향한게 뉴라이트인데.. 그런 인물들이 대거 대통령실에 들어가 있는데...

 

종북 주사파를 언급한다? 적진에서 적을 조롱한 것과 뭐가 다를까 싶겠더군요.. 물론 뉴라이트에선 북한 주체사상에 대해 극단적으로 비난.. 조롱등을 하긴 합니다.. 근데 태생은 바뀌지 않았죠..그리고 과연 적대를 하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고요.. 마치 자신을 숨기기 위해 일부러 비난등을 하면서 대놓고 표출하는 의도도 의심되고요.. 주사파가 쓰는 수법을 사상만 바꿔서 그대로 써먹는게 뉴라이트들이고.. 일본에게 그리도 찬양하는 것도 뉴라이트입니다.

 

정말 보수라면... 이들을 경계해야 하죠..보수라 함은.. 소속된 국가와 민족을 우선시하는게 보수 아닐까 싶죠. 근데 현재 보수진영은 어떨까요? 정말로 한국만 우선시 하고 있을까요? 아님 한국을 깎아내리면서 미국과 일본을 찬양하고 있지 않나요?

 

대통령실은... 종북 주사파 발언을 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대통령이 먼저 '종북 주사파'를 언급한 것이 아니며,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주사파'라는 답을 썼을 뿐이라는 의미다.

대변인실은 이 발언에 대해 "대한민국을 전복하려는 세력과는 타협할 수 없다는 의미로 '국가 보위'가 첫번째 직무인 대통령으로서 기본적 원칙을 언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같은 발언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헌법 정신을 공유하고 있다면 그 누구와도 협력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헌법정신과 대통령의 책무를 강조한 발언을 두고 정치적으로 왜곡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말을 주어담을려 애쓰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래서..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네요..

 

그나저나.. 이런 사상적 충돌이나 논란이 나오면서.. 이런 말이 나옵니다.. 한국은 보수와 대적점으로서의 진보가 없다고.. 그럼 더불어민주당은 진보정당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수 있는데.. 

 

현재로선... 더불어민주당은 진보정당으로 인정받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링크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대신 진보정당의 역활을 대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죠.. 지금으로선.. 정의당이 진보정당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근데.. 정의당은 현재 국회에서 별다른 힘을 못쓰고 있죠.. 그래서 없던 취급을 당하기에 현재는 진보가 없다는 말이 맞는 것처럼 보이기는 합니다.

반응형

댓글